총 350건 중 350건 출력
,1/35페이지
-
1.
- 베베른의 「현악3중주 Op.20」의 분석ㆍ연구 : 제1악장을 중심으로
- 김영희, 단국대학교, [2005]
-
2.
- 드라마음악, 현악3중주, 영화음악에 관한 컴퓨터 영상음악의 제작 연구 = (A) production study of computer picture music about drama music, string trio, film music
- 배옥순, 동의대학교 영상정보대학원, [2008]
-
3.
- 최정훈의『현악3중주를 위한 "내면(內面)"』의 분석 = An Analysis on the 『"Inner Mind" for String Trio』by Jeong-Hun Choi
- 최정훈, 단국대학교, [2002]
-
4.
- 심선향의 「현악3중주를 위한 "열정" 」의 분석
- 심선향, 단국대학교, [2003]
-
5.
- 슈베르트의 가곡과 실내악곡 비교 분석 연구 : 피아노5중주 A장조 Op.114, D.667 <송어> 4악장, 현악4중주 a단조 No.13, D.804 <로자문데> 3악장, 현악4중주 d단조 No.14, D.810 <죽음과 소녀> 2악장을 중심으로
- 곽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
6.
- F. J. Haydn의「현악 4중주 op. 64, no. 5 "종달새"」와 「현악 4중주 op. 76, no. 3 “황제"」비교 분석 연구
- 박영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7.
- 바르토크(B.Bartók)의 현악4중주 제1번∼6번 분석 및 제3번, 5번 감상지도 방안 = A study of Bela Bartok's String Quartet No.1∼6 and teaching plans for the appreciation of No.3&5
- 민수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
8.
- 벨라 바르토크의 현악4중주 제4번 분석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n Béla Bartók's String Quartet No.4
- 심주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
9.
- 헬무트 락헨만(Helmut Lachenmann)의 <현악 4중주 1번, 2번, 3번>에 대한 분석 연구 : 미학적 변화를 중심으로
- 문소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
10.
- 엘리엇 카터(Elliott Carter)의 <현악 4중주 제 3번> (1971) 분석 연구
- 유한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