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PASS 이론 기반 인지기능 향상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재가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a PASS Theory-Based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 o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 안미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
2.
- 건강한 중년 여성과 관절염을 가진 중년 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비교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신미진, 강원대학교, [2017]
-
3.
- 농촌지역 퇴행성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운동수행 의도증진프로그램의 효과 : 김진순
- 김진순, 강원대학교, [2013]
-
4.
- 장년기 여성의 웰다잉 프로그램이 자아통합감, 웰다잉 인식 및 태도,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well-dying program on ego-integrity, well-dying perception and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 장옥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
5.
- 중환자실 환자의 체위에 따른 중심정맥압 비교 = Comparison of central vein pressure according to the body position of patient in an intensive care unit
- 임빛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
6.
- 성공적 노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successful aging program
- 변미경, 강원대학교, [2018]
-
7.
- 다문화가정 가정폭력 예측모형 : 가해자를 중심으로
- 최은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8.
-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증진행위가 수면의 질 · 피로 ·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이시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
9.
- 대학생의 COVID-19 예방접종행동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검증 = Verif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COVID-19 Vaccin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 허연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
10.
- 초등학생의 언어폭력 개선을 위한 모바일 앱을 활용한 공감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 Mobile App-Assisted Empathy Skills Improvement Program for the Relief of the Viol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주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