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수학 학습과 관련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 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inventory in mathematics
- 김태국,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
2.
- 초등학교와 중학교 기하의 내용 계통 및 연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ontent System and Articulation on the Geometry Part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 이승철,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3.
- 수학교과와 정보교과의 학습내용 연계성에 관한 연구 : 2007년 개정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교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이윤숙,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4.
- 수학 교수-학습과 관련한 교사와 학생의 신념 유형 분석 = Analysis of belief typ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강성권,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
5.
-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이차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 그래프 과제 해결능력
- 문소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6.
- 수학학습양식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Relation between Math Learning Styles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 김소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7.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와 일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of Korea and Japan
- 이언기, 건국대학교, [2018]
-
8.
- 함수의 그래프와 관련된 학생들의 오류 분석
- 서이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9.
- 중학교 수학교사의 개인 배경과 학교 환경이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IMSS 2019 결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eacher's Preparation and School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for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 Based on TIMSS 2019 data
- 부지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
10.
- 중학교 수학과 모범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발문 행동에 관한 사례연구 = Teachers' questioning behavior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es : 5 cases
- 김윤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