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발레전공자의 공연 전 무대공포와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erformance stage phobia and somatization of ballet major student
- 전수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
2.
- 플로어발레테라피 프로그램의 치유적 경험 : 아로마 트리트먼트의 활용 = Healing experience of floor ballet therapy program : application of aromatic treatment
- 김다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
3.
- 무용전공자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지지, 진로성숙도, 무용열정의 인과관계 =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rofessor support, passion for dance and career maturity for strengthening employment cap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최태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
4.
-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활용한 엄마와 함께하는 유아홈발레의 효과 = The effect of home ballet for children with mothers through non-face-to-face online class
- 장한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
5.
- Richard Dawkins의 밈(meme) 이론을 적용한 창작발레 무용수 움직임 개발 탐색 =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ballet dancers' movements applied with Richard Dawkins' meme theory
- 김성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
6.
- 사무직 근로자 직무스트레스의 대처를 위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활용 = Utilization of dance/movement threpy to mitigate stress induced from working environment
- 최예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7.
-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무용전공자의 학습동기와 심리기제의 현상학적 탐색 = A phenomenological exploration of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mechanisms in dance majors due to social distancing
- 장선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
8.
- 중국 무용치료 교육과정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탐색 : 무용치료사의 경험적 이해 = A Phenomenological Exploration of the Perception of the Chinese Dance Therapy Curriculum :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dance therapists
- 류봉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
9.
- 무용치료가 산후우울을 경험한 산모의 신체상,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dance therapy on the body image, depression and self-esteem for mothers suffering from postpartum depression
- 김연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
10.
-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프로그램의 블렌디드-러닝(Blended-Learning) 방안 연구 = A study on Blended-Learning methods of dance programs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 이은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