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피마자 유칠(油漆)을 이용한 문화유산 단청마감재의 적용성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ltural Heritage Dancheong Finishing Materials using castor oil
- 한보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4]
-
2.
- 한국어와 중국어의 재귀 대명사 대조 연구 : 한국어 '자기', '자신'과 중국어 '自己'를 중심으로
- 유단청, 부산외국어대학교, [2011]
-
3.
- 중국 대학의 한국어과 교육과정 및 인식 연구
- 류단칭, 대진대학교, [2017]
-
4.
- 淸代官話音系硏究 : 以北京, 中原, 江淮地區官話爲主
- 崔麗紅, 이화여자대학교, [2000]
-
5.
- 중국어 청취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 김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6.
- 韓國木造建築의 造形性을 통한 陶瓷表現 연구 : 기둥과 공포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ermic Expression in the Korea's Wooden Construction through Formation
- 이승연,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2]
-
7.
- 조선시대 천연 유성도료 명유(明油)의 전통과 재현 = Tradition of the Natural Oil Paint Myeongyu of the Joseon Dynasty and Reproduction
- 장영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
8.
- AI기술을 활용한 수묵 애니메이션의 특징과 활용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Ink-Wash Animation Utilizing AI Technology
- 훠청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
9.
- 한국 불교문화상품을 위한 패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고순, 국민대학교, [2016]
-
10.
- 명대(明代) 수륙화(水陸畫)와 조선시대(朝鮮時代) 감로탱(甘露幀) 연구 = A Study on the SuryukHwa(水陸畫) Painting of the Ming Dynasty and the GamNoTaeng(甘露幀) of Joseon Dynasty
- 진천화,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