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3·1運動의 地方示威에 관한 硏究 = (The)March 1s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1919) in the local perspective
- 이정은, 서울大學校, [2006]
-
2.
- 裵敏洙의 民族意識 形成과 民族運動 變化 硏究 = Study on the formation of Bae Min Su's national movement and the process of its development
- 주명식, 延世大學校 聯合神學大學院, [2003]
-
3.
- 1930년대 초 함경도 지방의 탄광노동운동 = (A) case study of the coal mining-labor movements in Hamkyung province in the early 1930's
- 김은정,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
4.
- 의열단에 가담했던 기독교인들의 신앙관 연구
- 박선경, 계명대학교, [2004]
-
5.
- 허헌연구 : 북한정권 수립과정에서의 허헌의 역할 = A Study of the Heo Hun
- 홍현지, 동국대학교, [2021]
-
6.
- 황매천 시문학 연구 : 사상적 경향과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 김영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