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식민 지배적 남성담론 해체와 차학경 테레사(Theresa Hak Kyung Cha)의『받아쓰기』(Dictee) = (The)deconstruction of the colonial discourse and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 서경숙, 충남대학교, [2005]
-
2.
- "Elitere," the letter-emitting muse : rhetoric and performance in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 Cho, So-jin,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
3.
- 이산의 미학과 다중적 주체 : 데레사 학경 차의 『딕테』 = Aesthetics of diaspora and multiple subject :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 서하나, 부산대학교, [2002]
-
4.
- 한국계 미국소설에 나타난 여성 자아 연구 : 『초당』, 『9월의 원숭이』, 『토담』, 『딕테』, 『종군위안부』를 중심으로 = Women characters' self-awareness in Korean American novels : the Grass roof, September monkey, Clay walls, Dictee, and Comfort woman
- 신행순, 경기대학교, [2006]
-
5.
- Female mourning and rewriting of history in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 차학경의 『딕테』에서의 여성적 애도와 역사 다시쓰기
- 강주연,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
6.
- 차학경의 『딕테』와 필름/비디오 연구 : 조르조 아감벤의 ‘예외상태’와 ‘호모 사케르’ 개념을 중심으로
- 유지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
7.
- 글쓰기-퍼포먼스, 초대받은 관객 : 『딕테』를 받아쓰기
- 김일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
8.
- America and the divided country: Korean American women writers and the Korean War
- Wester, Michelle Black, The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2005]
-
9.
- Racialized English(es): On Asian/American and Latino/a discourses of language
- Hseu, Jane Willy,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2007]
-
10.
- 테레사 학경 차의 예술 수용론과 『딕테』
- 최보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