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머리말
제1장 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전망 = 15
1. 사회학적 전망의 본질 = 15
2. 종교의 정의 = 19
1) 전략적 정의 = 20
2) 본질적 정의 = 21
3) 기능적 정의 = 24
4) 대표적인 종교정의들 = 28
3. 종교의 여러 측면들 = 30
1) 종교적 신앙...
목차 전체
<pre>
머리말
제1장 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전망 = 15
1. 사회학적 전망의 본질 = 15
2. 종교의 정의 = 19
1) 전략적 정의 = 20
2) 본질적 정의 = 21
3) 기능적 정의 = 24
4) 대표적인 종교정의들 = 28
3. 종교의 여러 측면들 = 30
1) 종교적 신앙 = 31
2) 종교적 의례 = 32
3) 종교적 경험 = 34
4) 종교공동체 = 37
4. 종교사회학의 발전 = 38
5. 요약 = 41
6. 본서의 핵심 = 41
제2장 의미와 소속감의 제공 = 45
1. 종교와 의미체계 = 45
1) 사회집단의 의미 = 47
2) 개인의 의미체계 = 50
2. 의미의 위기 = 53
1) 신정론 = 53
2) 아노미 = 55
3) 미로(迷路)방식의 해체 = 56
3. 공동체와 종교적 소속 = 58
1) 사회적 통일체의 표현으로서의 종교 = 59
2) 의미의 설득력구조 = 59
3) 하부사회적 설득력구조 = 60
종파주의 = 61
종족주의 = 62
지방색 = 63
4. 적용의 확장 : 현대 사회운동에 나타난 천년왕국설과 이원론 = 64
1) 대립하는 두 원칙 : 선과 악 = 66
이원론-아노미에 대한 응답 = 68
신정론으로서의 이원론 = 70
2) 천년왕국의 도래 = 71
종교적 천년왕국설 = 73
사회적·정치적 천년왕국설 = 74
사회운동에서 이원론과 천년왕국설 = 75
5. 요약 = 77
제3장 개인의 종교 = 81
1. 개인종교의 형성 = 82
1) 어린이, 가족, 공동체 = 83
2) 의미, 소속, 정체성 = 84
가족 = 85
공동체 = 87
현대사회에서 가족과 공동체의 문제 = 88
가족과 공동체의 대안양식 = 90
3) 청년기 = 93
4) 결혼, 성, 출산 = 96
5) 중년 = 100
6) 노년기 = 102
2. 회심 = 106
1) 회심의 종류 = 107
극단적 변화 = 107
결합 = 107
재확인 = 108
유사회심과 수사학(修辭學) = 108
2) 회심에 대한 설명 = 110
회심의 요인 = 110
세뇌 = 112
3) 회심의 요인들 = 114
4) 상호작용의 초기 단계 = 115
5) 회심의 상징화 = 118
3. 헌신 = 120
1) 경쟁적 충성의 포기 = 122
2) 종교집단에의 몰두 = 124
4. 요약 = 127
제4장 공식종교와 비공식종교 = 131
1. 종교의 공식모델 = 132
1) 교리 = 132
2) 윤리 = 133
3) 제의적 표현 = 133
4) 제도적 조직 = 134
2. 공식모델에서의 개인의 종교성 = 135
3. 공식모델과의 차이 = 136
4. 종교성의 측정 = 139
1) 단차원적 측정 = 140
2) 다차원적 측정 = 141
5. 비공식종교와 종교성 = 144
1) 공식종교의 '대중적'표현 = 145
2) 미신과 주술 = 146
3) 비정상적인 것과 신비종교 = 147
4) 비공식종교의 해석 = 151
6. 적용의 확장 : 여성의 종교와 성별 역할의 사회적 정의 = 153
1) 성별 역할의 정의 = 154
2) 계급의 종교적 정당화 = 158
상징체계와 신화 = 158
도덕적 규범 = 160
조직 = 160
의례적 표현 = 160
여성의 종교적 역할 변화 = 162
3) 힘과 성 = 164
4) 성과 여성들의 종교적 이미지 = 165
5) 여성의 종교적 정체성 = 167
자신이 고귀한 존재라는 느낌 = 167
이탈자에 대한 제재 = 169
6)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대한 대안적 정의 =171
여성의 종교집단 = 171
신종교운동 = 174
비공식종교 = 176
7) 결론 = 177
7. 요약 = 177
제5장 종교집합체의 역동성 = 181
1. 종교조직의 유형들 = 181
1) 교회-종파 이분법의 발전 = 182
2) 다른 유형들의 발전 = 184
3) 유형론의 세련화 = 186
교회 = 188
종파 = 189
교파 = 190
신흥종교 = 190
변증법적 과정 = 191
4) 조직유형에 관련된 변수들 = 192
2. 종교 지향성의 양식 = 195
1) 종교 지향성의 유형들 = 196
종파적 지향성 = 197
교파적 지향성 = 197
신흥종교적 지향성 = 198
교회적 지향성 = 198
2) 갈등하는 지향성들 : 내부 불일치 = 201
콜리기움 경건주의 = 201
프라터니타스 = 202
교단 = 203
3. 종교집합체의 역동성 = 204
1) 종파와 신흥종교의 형성 = 205
박탈 = 205
사회적 달구 = 207
사회경제적 변동 = 208
2) 운동조직들 = 209
3) 조직의 여러 변형 = 211
제도화 : 오데아 = 211
종파변형 = 215
신흥종교 변형 = 220
교파변형 = 222
교회변형 = 223
4) 조직변형의 함의 = 224
현대사회의 종파주의 = 224
현대사회의 사생활화된 종교성 = 224
4. 적용의 확장 : 출현중인 종교운동들 = 226
1) 출현중인 종교운동들의 다양성 = 227
2) 가톨릭 카리스마 쇄신운동 = 231
3) 실바 마인드 컨트롤 = 235
4) 신종교운동들의 함의 = 239
5. 요약 = 241
제6장 종교, 사회적 결속 그리고 갈등 = 245
1. 종교와 사회적 결속 = 246
1) 사회통합의 요건으로서의 종교 : 가능주의적 접근 = 247
2) 사회결속의 표현으로서의 종교 : 뒤르켕 = 249
3) 시민종교 논제 = 252
미국 시민종교 : 벨라 = 254
사제적 양식과 예언자적 양심 = 257
경험적 증거 = 259
종교와 민족주의 = 261
시민종교의 형태들 = 262
2. 종교와 사회갈등 = 264
1) 결속의 다른 면으로서의 갈등 = 265
2) 갈등의 사회적 원천들 = 266
사회적 분열 = 266
마르크스주의적 전망 = 268
권위의 기반들을 뛰어넘는 갈등 = 270
3) 종교의 본질 속에 내재된 원천들 = 272
외부인들과의 갈등 : 경계들 = 272
외부인들과의 갈등 : 특수주의 = 273
종교집단의 내적 갈등 : 일탈과 통제 = 274
내적 갈등 : 권위와 이단의 문제 = 276
3. 적용의 확장 : 북아일랜드의 갈등 = 279
1) 종교적 갈등? = 279
2) 갈등하는 시민종교들 = 280
3) 사회적 맥락 = 282
4) 역사적 배경 = 284
식민과 반란 = 284
깊어지는 분열 = 287
분할 이후 = 289
5) 가톨릭 시민종교 = 294
6) 개신교 시민종교 = 296
7) 국가건설 없는 민족주의 = 299
4. 요약 = 300
제7장 사회변동에 미치는 종교의 영향 = 303
1. 사회변동의 요소들 = 303
2. 사회 현상태를 지원하는 종교 = 305
1) 이익이론 : 마르크스와 엥겔스 = 306
2) 이익이론 : 배버 = 308
3) 종교적 정당화 = 309
4) 종교적 사회화 = 311
5) 사회통제 = 312
3. 사회변동을 촉진하는 종교 = 314
1) 종교와 사회동력 : 네오마르크스주의적 접근 = 315
2) 종교관념의 의미 = 316
종교적 약진 : 베버 = 316
관념과 개인주의 : 베버 = 318
종교적 심상 = 320
3) 종교 지도력 = 321
4) 종교집단 = 324
4. 종교와 사회변동의 상호관계를 구체화하는 요소들 = 326
1) 신앙과 실천의 특질 = 326
2) 문화의 인지틀 = 328
3) 종교의 사회적 위치 = 330
4) 종교집단과 종교운동의 내적 구조 = 335
5. 적용의 확장 : 미국의 흑인종교 = 337
1) 흑인교파 = 337
역사적 뿌리 = 338
카스트 체계로서의 흑인교파 = 339
흑인 행동주의와 정적주의의 사회요소들 = 341
내부조직 = 343
전도사의 역할 = 344
2) 흑인종파와 신흥종교 = 346
종파 = 346
신흥종교 = 347
흑인종파의 역동성 = 348
정적주의적 태도 = 349
3) 사회 행동주의에 효력을 미치는 흑인종교 내의 변동요소들 = 351
6. 요약 = 352
제8장 세속화 = 355
1. 세속화의 개념 = 355
2. 종교쇠퇴로서의 세속화 = 357
1) 증거에 대한 탐구 = 358
종교적 신앙 = 359
교회구성원과 예배참석 = 363
종교쇠퇴에 대한 대중의 인지 = 365
개인적 특징 = 366
제도적 통제 = 367
2) 평가 = 368
3. 종교변형으로서의 세속화 = 370
1) 종교진화 : 벨라 = 370
원시종교 = 371
고대종교 = 372
역사종교 = 372
초기 근대종교 = 373
근대종교 = 374
2) 주변적인 교회 지향적 종교 : 루크만 = 375
3) 평가 = 377
4. 종교변동과 사회변동 = 377
1) 제도적 분화 = 378
개인적 함의 = 379
사회적 함의 = 381
2) 경쟁하는 정당성의 원천들 = 382
경쟁하는 권위의 원천들 = 383
다원주의 = 384
미국에서의 다원주의와 정당성 = 386
사회적 수준에서의 문제들 = 388
불안정한 정당성의 원천들 : 펜 = 390
개인적 수준의 문제들 = 394
3) 합리화 = 396
합리화 대 근대화 = 397
세계의 탈주술화 = 399
4) 사생활화 = 401
5)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 = 403
5. 적용의 확장 : 건강과 치료의 세속화 = 404
1) 분화 = 405
2) 합리화 = 408
3) 정당화와 사회통제 = 410
의학적인 일탈 = 410
사회통제와 권력 = 412
4) 사생활화 : 병의 치료에서 의미와 소속의 위치 = 414
민속치료 = 415
의료체계와 의미 = 417
6. 요약 = 421
제9장 에필로그 = 425
부록 1 종교사회학 자료 찾기
부록 2 필름 자료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