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목차
제1장 무용의 본질 = 9
Ⅰ. 무용의 개념 = 9
1. 무용의 정의 = 9
2. 무용의 목적 = 12
1) 무용의 가치 = 13
2) 기타 특수한 목적 = 15
3) 궁극적 목적 = 16
Ⅱ 무용의 종류 = 18
1. 특질상의 분류 = 18
2. 시대에 따른 분류 = 19
3. 수에...
목차 전체
<pre>
목차
제1장 무용의 본질 = 9
Ⅰ. 무용의 개념 = 9
1. 무용의 정의 = 9
2. 무용의 목적 = 12
1) 무용의 가치 = 13
2) 기타 특수한 목적 = 15
3) 궁극적 목적 = 16
Ⅱ 무용의 종류 = 18
1. 특질상의 분류 = 18
2. 시대에 따른 분류 = 19
3. 수에 따른 분류 = 20
4. 자격 소속에 따른 분류 = 21
5. 목적에 따른 분류 = 21
6. 주·객관성에 따른 분류 = 22
7. 기타 무용의 분류 = 22
제2장 무용의 발달 = 23
Ⅰ. 원시시대의 무용 = 23
1. 원시무용의 특징 = 23
2. 무용 발생설 = 24
1) 본능설 = 24
2) 모방설 = 24
3) 유희설 = 24
4) 종교설 = 25
3. 원시무용의 형태 = 26
1) 수렵무용 = 26
2) 전투무용 = 27
3) 무기무용 = 27
4) 기도무용 = 28
5) 마법무용 = 28
6) 성무용 = 29
Ⅱ. 동양 각국의 무용발달 = 30
1. 한국 무용의 발달 = 30
1) 상고의 무용 = 30
2) 삼국시대의 무용 = 31
3) 고려의 무용 = 33
4) 조선시대의 무용 = 34
5) 현대의 무용 = 35
6) 우리나라 무용계의 현황 = 38
2. 중국의 무용 = 42
3. 인도의 무용 = 45
4. 일본의 무용 = 47
5. 이슬람문화지역의 무용 = 48
1) 사라센(Saracen)무용 = 48
2) 아랍(Arab)무용 = 49
Ⅲ. 서양무용의 발달 = 50
1. 고대의 무용 = 50
1) 이집트의 무용 = 50
2) 그리이스 무용 = 51
3) 로마 무용 = 52
2. 중세의 무용 = 53
3. 근세의 무용 = 55
1) 르네상스의 무용 = 55
2) 궁중에서 시작된 발레 = 56
3) 발레의 발달 = 57
4. 근대무용의 발달 = 61
5. 현대 무용 = 65
6. 무용의 국제적 현황 = 71
제3장 인간발달과 무용지도 = 75
Ⅰ. 인간생활과 발달과업 = 75
1. 인생의 단계 = 75
2. 생활과 학습 = 75
3. 인간생활과 발달 과업 = 76
Ⅱ. 인간발달과 무용지도 = 77
1. 무용지도의 시작 시기 = 77
2. 무용지도의 원리 = 79
1) 자연운동의 추구 = 79
2) 무용지도의 방향 = 79
제4장 무용미와 예술 = 83
Ⅰ. 미의 본질 = 83
1. 미란 무엇인가 = 83
2. 미의 법치 = 85
Ⅱ. 무용미와 예술 = 86
1. 예술의 본질 = 86
1) 예술의 정의 = 86
2) 예술의 요소와 분류 = 87
2. 예술의 분류 = 87
3. 무용미의 특질 = 90
4. 창작예술로서의 무용 = 91
제5장 무용의 창작 및 작품구성 = 92
Ⅰ. 창작의 기반 및 관통 표현 = 93
1. 창작의 기반 = 93
1) 심리적욕구(Psychological need) = 93
2) 동기(Motive) = 93
3) 주제(Theme) = 94
4) 대상(Object) = 94
5) 관찰(Observation) = 95
6) 이미지(Image)구성 = 95
2. 관통표현 = 95
1) 관통표현 단계 = 96
2) 관통표현의 발동 = 96
Ⅱ. 작품의 구성 = 97
1. 작품구성의 의의 = 97
2. 구성의 요소 = 98
1) 표현운동 = 99
2) 기본형식 = 102
Ⅳ. 작품의 효과요소 = 106
1. 음악 106
2. 무대 = 107
3. 조명 = 108
4. 의상 = 108
5. 기타 요소 = 109
6. 창작무용의 훈련 = 109
1) 신체육성법 = 109
2) 즉흥법 = 110
3) 공간구성법 = 110
4) 리듬 훈련 = 111
5) 무용형식론 = 111
제6장 무용연구 및 평가 = 112
Ⅰ. 무용 연구 = 112
1. 무용 연구의 개념 = 112
1) 무용 연구의 의의 = 112
2) 무용 연구의 필요성 = 113
3) 무용 연구의 영역 = 114
2. 무용 연구의 역사 = 116
1) 서양에서의 무용 연구 = 116
2) 동양에서의 무용 연구 = 119
3) 한국에서의 무용 연구 = 119
3. 무용 연구의 종류 = 120
1) 철학적연구(Philosophical) = 121
2) 역사적 연구(historical research) = 121
3) 실험적 연구(experimental research) = 121
4) 조사 연구(inquiral research) = 122
5) 현장 연구(Action research) = 122
4. 무용 연구의 과정 = 123
1) 주제설정(연구문제의 선정) = 123
2) 연구방법 및 계획수립(연구계획서의 작성) = 124
3) 실행 = 124
4) 연구 결과의 발표 및 활용 = 124
Ⅲ. 무용의 평가 = 126
1. 무용 평가의 개념 = 126
1) 무용 평가의 뜻 = 126
2) 무용 평가의 목적 = 126
2. 무용 평가의 방법 = 127
1) 비교에 의한 방법 = 128
2) 시험지(Paper)에 의한 방법 = 128
3) 관찰법(Observation method) = 129
4) 질문지법9Questionnaire method0 = 129
5) 면접법(Interview method) = 130
6) 사례연구법(case study) = 130
7) 기타의 방법 = 130
3. 무용 평가의 원리(좋은 평가의 특징 ) = 131
1) 평가는 타당성(validity)이 있어야 한다. = 131
2) 평가는 신뢰성(ralibility)이 있어야 한다. = 131
3) 평가는 객관성(Objectivity)이 있어야 한다. = 131
4) 평가는 실용성(utility)이 있어야 한다. = 132
Ⅲ. 무용 연구 및 평가를 위한 기초 통계 = 133
1. 무용에 있어서 통계의 의미 = 133
2. 측정치와 빈도 = 133
1) 측정치9scale value) = 133
2) 빈도(modian) = 135
3. 집중경향 = 135
1) 최빈치(mode)= 135
2) 중앙치(modian0 = 135
3) 평균치(mean) = 135
4. 변산도(variability) = 136
1) 번위(rongel) = 136
2) 시분편차(quartile daviation) = 136
3) 평균편차(average deviation) = 136
4)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 136
5) 표준점수(Standard score) = 137
5. 상관관계 = 137
6. 순열·조합·확률 = 138
1) 순열(permutation) = 138
2) 조합(combination0 = 139
3) 확률(probabilit) = 139
부록 = 141
무용 용어 = 142
Ⅰ. 한국 무용 = 142
Ⅱ. 발레 = 158
Ⅲ. 현대 무용 = 176
무용단 = 184
Ⅰ. 한국 무용 = 184
Ⅱ. 외국의 무용 = 188
세계의 주요 무용작품 = 200
Ⅰ. 한국 무용 = 200
Ⅱ. 외국 무용 = 210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