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편 組織의 基礎理論篇
제1장 經營組織의 特性
제1절 現代經營과 組織論의 重要性 = 3
제2절 組織의 意義와 課題 = 4
1. 組織의 意義 = 4
1) 에치오니의 見解 = 4
2) 힉스와 갈리트의 見解 = 4
3) 테리의 見解 = 4
4) 샤인의 見解 = 5
5) 브라운의 見解 = 5
6) 알렌의 見解 = 5
7) 코몬스의 見解...
목차 전체
목차
제1편 組織의 基礎理論篇
제1장 經營組織의 特性
제1절 現代經營과 組織論의 重要性 = 3
제2절 組織의 意義와 課題 = 4
1. 組織의 意義 = 4
1) 에치오니의 見解 = 4
2) 힉스와 갈리트의 見解 = 4
3) 테리의 見解 = 4
4) 샤인의 見解 = 5
5) 브라운의 見解 = 5
6) 알렌의 見解 = 5
7) 코몬스의 見解 = 6
8) 바나드의 見解 = 6
9) 무우니와 라일리의 見解 = 6
10) 結語 = 6
2. 組織의 課題 = 9
1) 組織의 有效性 = 9
2) 組織의 能率 = 8
제3절 組織目標와 個人目標의 調和 = 9
1. 組織의 目標 = 9
2. 個人의 目標 = 9
3. 個人的 目標와 組織目標의 關係 = 11
1) 全的으로 對立됨 = 11
2) 部分的으로 對立됨 = 11
2) 中立的임 = 12
4) 兩立함 = 12
5) 同一性을 가짐 = 13
4. 組織目標와 個人目標의 統合 = 13
제4절 組織과 個人의 均衡維持-組織的 均衡理論 = 14
1. 經營組織의 存續 = 14
2. 經營組織의 均衡過程 = 16
3. 組織均衡의 諸條件 = 17
4. 組織의 對內的 均衡 = 18
1) 刺戟의 方法 = 19
2) 說得의 方法 = 20
5. 組織의 對外的 均衡 = 20
제5절 組織管理에서 중요시되어야 할 要因들 = 21
1. 組織管理의 시스템化 = 22
1) 目標 = 22
2) 役割 = 22
3) 機能 = 22
4) 構造 = 22
5) 시스템 = 23
2. 組織管理의 調整機能 = 24
1) 相互調整 = 24
2) 直接監督 = 24
3) 標準化 = 25
3. 組織의 柔軟性 維持 = 26
1) 動態的 組織環境과 柔戟性 維持 = 26
2) 柔軟性의 主要 內容들 = 26
4. 組織의 種類와 企業組織의 特性 = 28
1) 組織의 種類 = 28
2) 企業組織의 特性 = 30
5. 組織論의 두가지 틀 = 30
1) 組織管理의 主要過程 = 30
2) 組織의 兩大構造 = 31
6. 組織論의 史的 照明 = 33
1) 放任管理 = 33
2) 科學的 管理 = 33
3) 管理過程論 = 33
4) 官僚制論 = 33
5) 人間關係論 = 34
6) 意思決定論 = 34
7) 시스템理論 = 34
8) 行動科學論 = 34
9) 狀況副應理論 = 34
10)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組織論 硏究 = 35
제2편 組織의 構造篇
제2장 組織構造의 設計
제1절 構造設計에 있어서의 基本的 變數 = 39
1. 事業範圍와 그에 따른 戰略的 狀況變數分析 = 39
2. 課業設計 = 40
3. 役割間 關係 設計 = 40
4. 統制시스템 = 41
5. 情報技術 = 41
제2절 經營組織의 要素 = 42
1. 部門化 = 42
2. 職務의 割當 = 43
3. 權限의 割當 = 43
4. 責任의 確定 = 43
5. 職位 = 44
제3절 經營組織의 諸原則 = 44
1. 專門化의 原則 = 44
1) 職能分化와 專門化의 原則 = 44
2) 職能統合化를 위한 조정 메카니즘 = 45
3) 專門化의 原則과 人間疏外 = 46
4) 專門化와 職務擴大 = 47
2. 命令一元化의 原則 = 48
1) 基本槪念 = 48
2) 本原則의 履行에 있어서 考慮되어야 할 점들 = 49
3. 監督限界 適正化의 原則 = 49
1) 基本槪念 = 49
2) 本原則에 의한 組織構造의 모양 = 51
4. 職能化의 原則 = 52
1) 基本槪念 = 52
2) 파킨슨의 法則과 組織의 浪費 = 52
5. 職務·權限·責任의 三面等價의 原則 = 53
1) 基本槪念 = 53
6. 調整의 原則 = 54
1) 基本槪念 = 54
2) 其他 次元에서의 調整 = 55
제4절 經營業務活動의 分化(Ⅰ) = 56
1. 業務活動의 種類에 의한 分化 = 56
1) 單位的 分化 = 56
2) 過程的 分化 = 57
3) 專門的 分化 = 57
4) 部面的 分化 = 57
2. 業務活動의 階層에 의한 分化 = 57
3. 經營組織의 職能化 方式 = 58
1) 서비스織能의 分化 = 59
2) 關係機能의 分化 = 59
3) 計劃職能의 統合化-計劃部門 = 60
4) 統制職能의 統合化-統制部門 = 61
제5절 經營業務活動分化의 普遍的 方法 = 62
1. 目的이나 製品에 의한 業務分化 = 62
2. 機能에 의한 業務分化 = 63
3. 場所에 의한 部門化 = 64
4. 混合에 의한 部門化 = 64
제6절 經營業務活動分化의 特別한 方法 = 65
1. 橫的 組織의 設計와 調整擔當者 = 65
2. 標的 組織機構와 組織의 形態 = 66
제3장 組織構造의 形態와 狀況變數
제1절 組織構造의 形態 = 67
1. 靜態的 組織 = 67
1) 라인組織 = 67
2) 職能式 組織 = 69
2. 直系參謀組織 = 70
1) 委員會組織 = 72
3. 動態的 組織 = 76
1) 機能的 팀워크 組織 = 76
2) 프로젝트팀 組織 = 77
3) 매트릭스 組織 = 80
4) 自由型 組織 = 82
제2절 組織構造의 選擇과 狀況變數 = 83
1. 技術 = 83
1) 우드워드의 연구 = 84
2) 페로우의 연구 = 86
3) 톰슨의 연구 = 89
4) 技術과 組織構造의 關係에 대한 統合 = 89
2. 規模와 組織構造 = 90
1) 組織規模의 擴大와 構造的 特性 = 91
2) 規模擴大, 專門化 그리고 調整機能 = 92
3) 年輪과 規模에 따른 組織構造選擇에의 影響要因 = 93
3. 環境과 組織構造 = 93
제4장 經營階層의 理解
제1절 經營層의 構成 = 95
제2절 톱 매니지먼트의 機能 = 96
1. 目標의 計劃化와 明確化 = 97
2. 組織의 健全化 = 97
3. 主要 首腦部에 있어서의 인사의 適正化 = 97
4. 效果的인 統制方法 = 97
제3절 톱 매니지먼트의 構成 = 97
1. 受託經營層 = 98
1) 理事會 = 98
2) 社外理事 = 99
2. 全般經營層 = 99
3. 部門管理層 = 101
4. 常務會와 部長會議 = 101
1) 常務會 = 101
2) 部長會議 = 101
제5장 라인과 스탭의 理論
제1절 라인과 스탭의 槪念 = 103
제2절 라인과 스탭의 區別理由 = 104
제3절 라인과 스탭의 權限關係 = 105
1. 라인關係 = 105
2. 스탭關係 = 105
제4절 스탭의 種類 = 106
1. 專門스탭 = 106
1) 서비스權限 = 107
2) 助言權限 = 108
3) 機能的 權限 = 109
4) 本社스탭과 工場(事業部) 스탭과의 關係 = 109
2. 個人스탭 = 111
1) 라인 어시스턴트 = 111
2) 스탭 어시스턴트 = 112
3) 個人스탭의 利害得失 = 113
3. 제너럴스탭 = 114
제6장 責任과 權限의 理論
제1절 職能·職位·責任·權限·諸關係 = 115
1. 職能 = 115
2. 職位 = 116
3. 責任 = 116
4. 權限 = 117
5. 諸關係 = 118
제2절 權限의 源泉 = 118
1. 權限委讓說 = 119
2. 權限受容說 = 119
3. 權限職能說 = 120
제3절 權限의 形態 = 123
1. 經營管理權限과 作業權限 = 123
2. 라인과 스탭의 權限 = 124
1) 라인權限 = 124
2) 스탭權限 = 124
3. 代行權限과 代理權限 = 124
1) 代行權限 = 124
2) 代理權限 = 125
4. 機能的 權限 = 125
제4절 權限委讓 = 126
1. 權限委讓의 意義 = 126
2. 權限委讓의 目的 = 126
3. 權限委讓의 原則 = 127
4. 權限委讓과 管理方針 = 128
5. 權限委讓에 대한 經營者의 態度 = 128
6. 權限委讓의 沮害要因 = 129
1) 委讓者側의 心理的 障害 = 129
2) 被委讓者側의 心理的 障害 = 130
제5절 權力과 權限 = 130
1. 양槪念의 差異 = 130
2. 權力의 基礎 = 132
3. 權力과 權限의 효과적인 利用 = 133
4. 權力과 權限 그리고 參加 = 134
제7장 集權的 管理組織과 分權的 管理組織
제1절 集權과 分權 = 137
1) 決定事項의 重要性 = 137
2) 方針의 統一性 = 138
3) 經營規模 = 138
4) 企業의 業務性質 = 138
5) 企業의 歷史 = 138
6) 管理者의 不足 = 138
7) 統制技術 = 138
제2절 集權管理 = 139
1. 集權管理의 意義 = 139
2. 集權管理의 長·短點 = 139
제3절 稟議制度 = 140
1. 意義 = 140
2. 稟議制度의 性格 = 141
3. 稟議制度의 改善 = 142
제4절 分權管理 = 143
1. 分權的 組織의 性格 = 143
2. 分權的 組織의 必要性 = 143
3. 分權的 組織의 形態 = 144
1) 職能的 分權制 = 144
2) 聯邦的 分權制 = 145
제5절 事業部制組織 = 146
1. 事業部制組織의 性格 = 146
2. 事業部制組織의 目標 = 147
1) 技術革新에 의한 製品의 多樣化 = 147
2) 마케트 엠파시스 = 147
3) 生産·販賣·管理의 直結 = 148
4) 利益採算性의 重視 = 148
5) 管理의 分權化 = 148
6) 經營者의 育成 = 149
7) 動機誘發의 改善 = 149
3. 事業部의 種類 = 149
1) 製品別 事業部制組織 = 149
2) 地域別 事業部制組織 = 151
4. 本社와 事業部의 關係 = 153
1) 本社가 保有하는 權限과 機能 = 153
2) 本社의 事業部에 대한 管理方式 = 153
5. 事業部制를 成功시키기 위한 條件 = 154
1) 分權化를 實行할 것 = 154
2) 利益센터의 制度를 下部의 小單位까지 철저화할 것 = 154
3) 綜合調整의 機能을 강화할 것 = 154
4) 業績評價制度를 確立할 것 = 156
5) 完全主義에 구애되지 말 것 = 156
6. 事業部制組織의 利害得失 = 156
제8장 官僚主義 組織
제1절 官僚主義의 特性 = 159
제2절 官僚主義의 類型 = 161
1. 機械的 官僚主義 = 161
1) 基本構造 = 161
2) 機械的 官僚主義와 관련된 主要 問題點 = 163
2. 專門的 官僚主義 = 165
1) 基本構造 = 165
2) 專門的 官僚主義의 基本的 特性 = 168
제3절 官僚主義의 長短點과 그에 따른 限界 = 168
1. 長點 = 168
2. 短點 = 169
1) 責任回避 = 170
2) 責任轉嫁 = 170
3) 自己欺瞞 = 170
4) 責任分散 = 171
5) 엠파이어 빌딩 = 171
6) 意思決定의 遲延 = 171
7) 形式主義와 儀式主義 = 171
8) 官僚的 怠業 = 172
3. 官僚主義의 限界 = 172
제4절 官僚主義의 修正 = 172
1. 互惠主義를 통한 官僚制의 改善 = 173
2. 適應性 開發을 통한 官僚制의 改善 = 173
제5절 官僚主義의 未來 = 175
1) 애드호크라시 組織 = 175
2) 벤처배열 組織 = 176
3) 미스터 존스 組織 = 177
4) 産業民主主義 組織 = 177
5) 科學的 模型組織 = 178
제6절 정리 = 179
제9장 組織管理의 統合理論
제1절 意思決定論 = 183
1. 意思決定論의 意義 = 183
2. 意思決定의 過程 = 183
3. 意思決定行爲의 合理化 = 184
4. 經營意思決定의 形態 = 185
1) 基本的 意思決定과 日常的 意思決定 = 185
2) 定型的 意思決定과 非定型的 意思決定 = 185
3) 確實性하의 意思決定과 危險性下의 意思決定 및 不確實性下의 意思決定 = 186
4) 業務的·管理的·戰略的 意思決定 = 186
5. 意思決定의 形態와 組織構造 = 186
6. 經營意思決定의 技法 = 187
1) 傳統的 經營意思決定技法 = 187
2) 近代의 計量的 意思決定技法 = 187
7. 行動科學的 意思決定論 = 190
1) 複雜性 = 190
2) 오픈시스템 意思決定 모델 = 190
3) 個人的 意思決定 = 190
4) 集團的 意思決定 = 191
제2절 情報管理論 = 191
1. 情報處理시스템으로서의 組織 = 191
2. 情報處理 要求와 能力의 結合 = 191
1) 네 개의 可能性 = 191
2) 情報處理要求와 課業不確實性 = 193
3) 情報處理能力 = 194
3. 情報處理를 위한 組織設計 = 194
1) 直接的인 接觸 = 194
2) 連結役割 = 195
3) 팀 = 196
4. 經營情報시스템 = 196
1) 經營情報시스템과 컴퓨터 = 196
2) 컴퓨터의 衝擊 = 197
제10장 組織의 生命週期와 組織構造
제1절 組織의 生態的 特性 = 200
1. 出生 = 200
2. 成長 = 201
3. 成熟 = 201
4. 衰退 = 202
5. 死滅 = 202
제2절 規模의 意義 = 202
제3절 組織의 成長 = 203
1. 組織成長을 위한 前提 = 204
1) 外的 要因 = 204
2) 內的 要因 = 204
2. 成長을 위한 인센티브 = 205
1) 經濟的 誘因 = 205
2) 心理的 誘因 = 206
3) 戰略的 誘因 = 207
3. 組織成長의 方法과 構造變形 = 208
1) 現單位의 規模擴大 = 208
2) 組織內部에 同一한 部署의 設置 = 208
3) 差別化와 專門化 = 209
4) 合倂 = 209
4. 成長段階와 組織의 課題 = 211
1) 創意性과 리더십危機 = 211
2) 指揮와 自主性의 危機 = 212
3) 權限委讓과 統制의 危機 = 212
4) 調整과 官僚의 危機 = 212
5) 協力과 未來에 대한 未知의 危機 = 213
제4절 組織의 衰退 = 213
1. 衰退의 樣相 = 214
2. 衰退하는 理由 = 214
1) 衰退期에 있어서의 지나치게 큰 管理的 負擔 = 214
2) 傳統的 構造에의 依存 = 215
3) 合同的 役割關係 = 215
제5절 정리 = 215
제3편 組織의 行爲篇
제11장 組織行爲論의 本質과 人間觀
제1절 組織行爲論의 意義와 特性 = 219
제2절 組織行爲論에서 본 人間觀과 從業員의 特性 = 220
1. 人間의 本質 = 220
1) 思考하는 人間 = 220
2) 만드는 人間 = 220
3) 말하는 人間 = 221
4) 뜻을 찾는 人間 = 221
2. 社會心理學的 人間觀 = 221
1) 精神分析學의 사람들 = 221
2) 行動主義의 사람들 = 222
3) 認知主義의 사람들 = 224
4) 人本主義 心理學의 사람들 = 225
5) 象衛的 相互作用學派 = 226
3. 從業員의 特性 = 227
1) 合理的 經濟人 = 227
2) 社會的 人間觀 = 228
3) 自己實現的 人間觀 = 228
4) 複合人假說 = 229
제3절 組織行爲의 管理와 價値觀의 問題 = 229
1. 價値觀의 意義 = 229
2. 價値觀의 形成과 水準 = 230
3. 價値의 類型 = 231
4. 價値觀의 變化 = 232
1) 普遍化된 變化 = 233
2) 탈모던 社會와 價値觀의 變化 = 233
5. 價値사슬 = 234
제12장 現代組織論의 個人行爲的 側面
제1절 個人行爲와 學習理論 = 235
1. 學習의 意義와 主要 理論들 = 236
1) 學習의 意義 = 236
2) 學習理論 = 236
제2절 學習이 個人의 行爲에 미치는 效果 = 238
1. 行爲의 獲得과 學習 = 238
2. 行爲의 變化와 學習 = 239
3. 强化의 種類와 管理 = 239
1) 强化의 種類 = 239
2) 强化의 管理 = 240
3) 포지티브强化와 네거티브强化 = 241
4. 學習曲線과 學習效果 = 242
5. 學習槪念과 組織管理에의 活用 = 245
6. 學習理論과 벤치마킹 = 245
제3절 個人行爲와 知覺理論 = 246
1. 人間의 行動과 知覺 = 246
2. 知覺選擇의 基本原理 = 247
1) 外的 主意要因 = 247
2) 內的 構成要因 = 247
3. 知覺構成 = 248
1) 前形과 背景 = 250
2) 知覺的 集結 = 250
4. 組織管理에 있어서 知覺의 諸問題 = 251
5. 知覺과 誤謬 = 252
1) 일반화에 의해서 나타나는 知覺의 왜곡 = 252
2) 기대에 의해서 나타나는 知覺의 왜곡 = 253
6. 知覺過程의 管理 = 254
제4절 態度 = 255
1. 人間의 行動과 態度 = 255
2. 態度形成의 基本原理와 影響要因 = 256
1) 態度形成의 基本原理 = 256
2) 態度形成의 影響要因 = 257
3. 年齡과 態度 = 257
4. 態度의 變化 = 258
1) 態度變化의 주요 方法 = 259
5. 從業員 態度變化의 技法 = 260
1) 計劃的인 態度變化 = 260
2) 個人的인 態度變化 = 261
6. 態度調査 = 262
1) 投影法 = 262
2) 態度尺度法 = 262
7. 바람직한 態度의 屬性 = 262
제5절 個人行爲와 人性理論 = 263
1. 人性의 本質 = 263
2. 人性의 形成과 發達 = 264
1) 프로이드의 心理學的 5段階論 = 264
2) 에릭슨의 社會心理學 8段階論 = 266
3) 삐아제의 認知發達 段階理論 = 267
4) 쉬히의 成人期 5段階論 = 268
3. 人性理論 = 269
1) 精神分析理論 = 269
2) 特性理論 = 272
3) 學習理論 = 276
4) 人間主義心理學의 理論 = 276
4. 人性이 組織成員과 管理에 미치는 影響 = 276
1) 뉴로티시즘 = 276
2) 統制點 = 276
3) 成就指向性 = 277
4) 危險負擔 = 277
5) 權威主義 = 277
6) 마키아벨리즘 = 277
제6절 個人差異 = 278
1. 身體·知能面에서의 個人差異 = 278
1) 身體的 個人差異 = 278
2) 知能的 個人差異 = 278
3) 職務能力과 成就面에서의 個人差異 = 279
제13장 人間의 行動과 動機誘發
제1절 人間行動의 動因 = 281
제2절 動機誘發의 主要 理論 = 283
1. 動機誘發의 過程理論 = 284
1) 브룸의 選好期待理論 = 284
2) 해크맨 등의 期待理論 = 285
3) 포터·로울러의 努力·成就理論 = 288
4) 스미스의 努力-滿足-報償의 理論 = 290
5) 通路-目標理論 = 291
6) 페스틴저의 認知不調和理論 = 292
7) 아담스의 公正性理論 = 293
2. 動機誘發의 內容理論 = 295
1) 欲求階層의 理論모델 = 296
2) 成就動機의 理論모델 = 300
3) 허즈버그의 兩要因 모티베이션모델 = 302
4) 앨더퍼의 ERG欲求理論모델 = 310
5) 操作的 條件形成理論모델 = 312
제14장 職務에 대한 포지티브 모티베이션과 네거티브 모티베이션
제1절 남아 있으려는 動機와 떠나려는 動機 = 317
제2절 포지티브 모티베이션(남으려는 동기) = 319
제3절 네거티브 모티베이션(떠나려는 동기) = 320
제4절 머무르는 從業員과 態度特性 = 321
제5절 머무는 從業員과 價値觀 = 324
제15장 從業員 動機誘發과 職務要因
제1절 職務要因이 動機誘發에서 갖는 重要性 = 329
제2절 職務의 反復性과 從業員의 作業態度 = 330
제3절 作業의 人間化와 職務擴大 = 331
제4절 職務擴大와 從業員의 態度反應 = 332
1. 職務擴大戰略의 選別的 活用必要性 = 332
2. 職務擴大를 거부하는 實證的 硏究들 = 334
제5절 職務擴大와 從業員 人性特性 = 336
제6절 從業員 모티베이션과 作業設計 = 338
1. 作業設計理論의 槪要 = 338
1) 核心職務特性 = 338
2) 主要 心理的 狀況 = 338
3) 成長에 대한 個人的 欲求의 强度 = 340
4) 作業設計와 職務充實의 原則 = 340
2. 作業設計와 人間的 配慮 = 341
제7절 職務充實化의 管理 = 342
1. 職務充實化의 基本槪念 = 342
2. 職務充實化의 戰略 = 344
제16장 從業員 모티베이션과 給與要因
제1절 給與要因의 重要性에 대한 認識 = 347
제2절 給與要因이 갖는 組織管理的 役割 = 348
제3절 給與要因과 멤버십 = 348
1. 職業 및 組織의 選擇과 給與要因 = 349
2. 組織 殘留與否의 意思決定指標 = 349
제4절 給與要因과 組織參加 = 352
제5절 給與要因과 職務成果 = 353
1. 個人에게 重要하고 옳은 報償일 것 = 354
2. 네거티브 報償보다는 포지티브 報償일 것 = 354
3. 公開的인 報償體系일 것 = 354
4. 인센티브 시스템의 積極的 導入이 있을 것 = 355
5. 給與體系와 人性-課業的 關係 = 355
제17장 從業員 士氣와 生産性 그리고 모티베이션
제1절 士氣와 生産性간의 關係 = 357
1. 높은 士氣, 낮은 生産性 = 358
2. 낮은 士氣, 높은 缺勤, 移職率 = 359
제2절 從業員 士氣와 모티베이션 = 360
제18장 集團行爲의 管理
제1절 集團行爲管理의 重要性 = 363
제2절 集團의 本質 = 364
제3절 集團의 形成過程과 機能 = 365
1. 集團의 形成過程 = 365
2. 集團의 機能 = 366
1) 公式的인 機能 = 366
2) 心理的인 機能 = 366
제4절 集團의 形態 = 367
1. 公式集團과 非公式集團 = 367
2. 세일즈의 分類 = 368
1) 無關心集團 = 368
2) 변덕集團 = 369
3) 戰略的 集團 = 369
4) 保守的 集團 = 369
3. 스질라지의 分類 = 369
제5절 集團의 構造 = 370
1. 集團構造의 本質 = 370
1) 課業成就의 강조 = 371
2) 參加的 經營 = 372
3) 集團間 競爭 = 372
4) 集團을 해체 = 372
2. 集團構造의 分析 = 372
1) 소시오메트리 = 372
2) 소시오그램 = 372
3) 소시오메트릭 매트릭스 = 373
제19장 集團內行爲
제1절 集團內行爲-그 特性 = 375
제2절 集團力學-理論的 背景 = 376
1. 集團力學의 本質 = 376
2. 集團力學을 이루는 諸要因 = 377
1) 個人的 次元의 要因 = 377
2) 組織的 次元의 要因 = 378
제3절 集團開發을 위한 次元 = 381
1. 배스의 段階 = 381
1) 오리엔테이션 = 382
2) 內的 問題解決 = 382
3) 成長과 生産性 = 382
4) 評價와 統制 = 382
2. 하이넨의 段階 = 382
1) 形成段階 = 383
2) 격정의 段階 = 383
3) 초기의 統合段階 = 383
4) 總體的 統合 = 383
3. 集團開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管理戰略 = 384
1) 個人의 介入을 促進 = 385
2) 集團介入時의 個人的特性과 問題點에 關心을 둔다 = 385
3) 성원의 期待를 把握하고 配慮한다 = 386
4) 規範開發을 적극화하고 凝集力을 키운다 = 386
5) 팀구축을 적극화한다 = 387
제4절 構造的인 次元의 要因 = 387
제5절 集團內 行爲管理의 要諦 = 389
1. 集團의 相互作用이 集團成就에 미치는 影響 = 389
2. 集團成就에 影響을 미치는 變數 = 389
1) 集團成就에 影響을 미치는 變數1 : 成員의 努力 = 389
2) 集團成就에 影響을 미치는 變數2 : 課業成就戰略 = 390
3) 集團成就에 影響을 미치는 變數3 : 成員의 知識과 熟練 = 391
3. 集團有效性 改善을 위한 調整要因 = 391
1) 成員의 努力 = 391
2) 課業成就戰略 = 391
3) 成員의 知識과 熟練 = 393
제6절 集團力學에 대한 實證的 考察 = 393
1. 색터의 硏究調査 = 393
1) 硏究調査의 背景 = 393
2) 硏究調査의 結果 = 394
2. 시쇼의 硏究調査 = 395
제20장 集團間行爲
제1절 集團間 成就改善을 위한 分析體系 = 397
1. 集團間 相互依存性 = 398
1) 共同的 相互依存關係 = 398
2) 連續的 相互依存關係 = 398
3) 互惠的 相互依存關係 = 399
2. 課業의 不確實性 = 399
3. 時間과 目標指向 = 399
제2절 集團間 成就를 위한 管理戰略 = 401
1. 規則과 節次를 强化한다 = 401
2. 階層을 활용한다 = 402
3. 計劃에 의존한다 = 402
4. 連絡·內部境界的 役割部署를 둔다 = 402
5. 課題기동대를 이용한다 = 403
6. 팀을 구성한다 = 404
7. 統合部門 = 404
제3절 集團間 權力關係 = 404
1. 集團間 權力의 領域 = 405
2. 集團間 權力의 決定要因 = 405
1) 不確實性에의 對處能力 = 405
2) 代替性 = 406
3) 統合의 重要性 = 406
3. 權力獲得을 위한 協同的 戰略 = 406
1) 契約 = 407
2) 吸收 = 407
3) 合同 = 407
4. 權力의 諸結果 = 407
제4절 集團間 葛藤 = 409
1. 集團間 葛藤의 本質 = 409
2. 集團間 葛藤의 原因 = 410
1) 相互依存性 = 410
2) 目標의 상치 = 410
3) 意思決定의 要件 = 410
4) 成就期待 = 411
3. 集團間 葛藤의 類型 = 412
1) 形態에 따른 類型 = 412
2) 原因에 따른 類型 = 412
4. 集團間 葛藤의 類型들 = 412
1) 폰디模型 = 413
2) 월튼과 더튼模型 = 413
3) 슈미트와 코한의 模型 = 414
4) 블레이크와 모우튼의 模型 = 415
5. 集團間 葛藤의 結果 = 415
1) 個個 葛藤集團내에서의 變化 = 416
2) 葛藤集團間의 行動特性 = 416
6. 集團間 葛藤의 管理戰略 = 417
1) 葛藤解決의 基本戰略 = 417
2) 集團間 葛藤의 부정적 결과를 감소시키는 方案 = 419
3) 集團間 葛藤의 예방을 위한 要因들 = 419
제5절 集團間 行爲와 組織雰圍氣 = 420
제21장 리더십에 관한 主要 理論들
제1절 理論의 基本틀 = 423
제2절 傳統的 리더십理論 = 423
1. 맥그리거의 X·Y理論 = 423
1) 二重의 管理的 宇宙論 = 424
2) X·Y理論 = 424
3) 兩理論의 統制 = 426
4) 兩理論과 리더십 狀況 = 426
2. 아지리스의 成熟-未成熟理論 = 426
1) 組織目標와 個人目標의 상치 = 427
2) 社會的·自我的 欲求 = 427
3) 健康한 組織과 病弱한 組織 = 428
4) 病弱한 組織과 健康回復 = 429
5) 傳統的 組織論과의 關係 = 431
3. 리커트의 管理 시스템理論 = 432
1) 連結핀 理論 = 432
2) 相互作用에 의한 영향력 = 433
3) 네 개의 管理시스템 = 433
4) 人的資源會計 = 434
5) 그 밖의 硏究 = 434
제3절 過渡期的 리더십理論 = 435
1. 管理格子理論 = 435
2. 정리 = 438
제4절 近代的 리더십理論 = 438
1. 狀況副應理論 = 438
1) 리더십 스타일 = 439
2) 리더십 狀況 = 439
3) 狀況에 가장 적합한 리더십 = 440
4) 정리 = 442
2. Y능가 理論의 模型 = 443
1) 理論의 背景 = 443
2) 硏究의 計劃 = 443
3) 硏究의 結果 = 444
4) 정리 = 448
3. 에반스의 리더십理論 = 449
1) 理論의 要約 = 449
2) 理論의 特性 = 449
4. 하우즈의 通路-目標理論 = 452
1) 理論의 槪要 = 452
2) 理論의 內容 = 452
3) 狀況要因과 效率的 리더십 = 453
5. 리더십의 有效性理論 = 455
1) 理論의 槪要 = 455
2) 狀況的 要因 = 458
6. 리더십의 生活週期理論 = 460
1) 理論의 槪要 = 460
2) 리더십生活週期理論과 모티베이션理論 = 466
3) 리더십의 適應사이클 = 467
제22장 커뮤니케이션과 人間關係管理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本質 = 477
1. 커뮤니케이션의 組織管理的 重要性 = 477
2. 커뮤니케이션의 意義 = 477
3. 커뮤니케이션의 네트워크 = 478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類型 = 478
1. 上意下達式 커뮤니케이션 = 479
2. 下意上達式 커뮤니케이션 = 479
3. 水平的 커뮤니케이션 = 480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改善方案 = 480
1. 傾聽하는 숙련 = 482
1) 듣는 것과 경청하는 것 = 482
2) 傾聽效果의 改善方案 = 483
2. 非言語的 커뮤니케이션 = 483
제4절 人間關係 改善을 위한 管理 = 483
1. 提案制度 = 483
1) 意義와 目的 = 483
2) 提案制度의 要件 = 484
3) 提案制度의 運營 = 484
2. 職場會議 = 485
1) 職場會議의 重要性 = 485
2) 會議進行의 要領 = 486
3. 從業員態度·士氣調査 = 488
1) 態度·士氣調査의 意義 = 488
2) 士氣앙양의 技法 = 488
3) 態度·士氣調査의 方法 = 488
4. 從業員 相談制度 = 489
1) 相談의 意義 = 489
2) 相談의 種類 = 489
제5절 人間關係 改善을 위한 自己省察 = 491
1. 組織人으로서의 自我省察 = 491
2. 에릭 베른의 人間分析 = 492
1) 意思去來分析 = 492
2) 어버이, 어른, 그리고 아이 = 492
3) 生活의 姿勢 = 493
4) 意思去來分析의 例 = 495
3. 죠하리 창 = 497
제23장 適應과 葛藤의 理論
제1절 役割賦與와 適應의 問題 = 499
제2절 組織에의 適應樣式 = 500
1. 適應의 與否를 재는 指標들 = 500
1) 認知不調和의 與否 = 500
2) 環境變數와 個人 適應欲求의 調和 = 501
3) 不適應管理와 職務滿足의 確保與否 = 501
2. 職場의 適應條件 = 502
1) 職務滿足과 適應 = 502
제3절 組織行爲에 있어서의 葛藤 = 502
1. 葛藤과 個人 = 502
2. 目標葛藤 = 504
1) 接近-接近葛藤 = 504
2) 接近-回避葛藤 = 504
3) 回避-回避葛藤 = 504
3. 役割葛藤 = 505
4. 組織的 葛藤 = 505
5. 欲求挫折과 適應메카니즘 = 506
1) 努力 = 506
2) 攻擊 = 506
3) 諦念 = 506
4) 逃避 = 507
5) 口實 = 507
6) 退行 = 507
7) 同化 = 507
8) 固着 = 507
6. 組織과 精神衛生 = 508
1) 缺勤 = 508
2) 苦情 = 508
3) 事故 = 508
7. 適應開發 = 509
8. 스트레스의 管理 = 510
1) 스트레스의 原因 = 510
2) 스트레스의 管理 = 512
3) 스트레스의 自家診斷方法 = 512
제24장 組織文化와 組織開發
제1절 組織文化 = 517
1. 組織文化의 組織管理的 意義 = 517
2. 組織文化의 意義 = 517
3. 組織文化의 構成要素 = 518
1) 파스케일과 피터스의 分析體系 = 518
2) 딜과 케네디의 分析體系 = 519
4. 組織文化의 開發 = 519
1) 開發의 필요성 확인 = 519
2) 開發의 過程 = 520
3) 組織文化開發의 성공요인 = 520
제2절 組織文化的 次元에서 본 美·日經營比較 = 521
1. 美·日經營比較의 意義 = 521
2. 美·日經營比較의 主體 = 521
3. 經營學의 比較 = 522
4. 勤勞者의 比較 = 523
5. 社會比較 = 524
6. 日本經營의 特性 = 525
7. 日本의 文化的 特性 = 526
8. 시사하는 점들 = 526
9. 우수기업의 組織文化 = 527
1) 신축성있는 企業活動 = 528
2) 傳統價値 = 528
3) 價値指向的 單一目的 = 528
4) 組織運營의 簡素化 = 529
5) 人間主義 經營 = 529
6) 放任과 統制의 調和 = 529
10. 韓國企業의 組織文化的 特性 = 529
1) 家族中心主義의 經營 =529
2) 創業者精神의 承繼와 集權的 經營體制 = 530
3) 家父長的 組織과 忠誠心 높은 組織成員들 = 530
4) 溫情主義 組織觀과 古參制度의 支配 = 530
5) 政府主導型 産業化와 個人主義 = 530
6) 한탕주의적 價値觀과 좀비족의 出現 = 531
제3절 組織開發에서 接近 = 531
1. 組織開發의 意義 = 531
2. 組織開發의 目的 = 532
3. 組織開發의 方向 = 533
1) 組織開發의 기본방향 = 533
2) 본서에서 대상으로 중요시하는 OD전략 = 535
4. 組織開發의 基本的 節次 = 535
1) 組織에 대한 진단 = 536
2) 組織開發의 實行 = 536
5. 組織開發의 技法 = 537
1) 個人的 개입활동 = 539
2) 集團 및 팀개입활동 = 542
3) 組織的 개입활동 = 546
事項索引 = 55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