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서정시와 정신주의적 극복 = 13
정신주의와 우리 시의 창조적 지평 = 18
정신주의와 생명 사상 - 김지하론 = 39
1990년대의 새벽을 바라보며 = 52
1990년대 젊은 시인들의 길 찾기 = 61
1990년대 시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72
현대 시사(詩史) 서술 방법과 방향 = 88
제2부
유가적 인본주의와 현대적 고...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서정시와 정신주의적 극복 = 13
정신주의와 우리 시의 창조적 지평 = 18
정신주의와 생명 사상 - 김지하론 = 39
1990년대의 새벽을 바라보며 = 52
1990년대 젊은 시인들의 길 찾기 = 61
1990년대 시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72
현대 시사(詩史) 서술 방법과 방향 = 88
제2부
유가적 인본주의와 현대적 고고(孤高) - 김종길론 = 103
무욕과 새 - 천상병론 = 118
웅덩이와 거울 - 신봉승, 「草堂洞 아라리」 = 128
개구리와 투구게의 시학 - 황동규와 황지우의 최근 시들 = 140
삶의 슬픔과 뿌리의 약 - 김영석, 「썩지 않는 슬픔」 = 156
해체된 출구를 찾아가는 길 - 김승희, 「어떻게 밖으로 나갈까」 = 170
설악산의 새벽꽃 향기 - 이성선론 = 183
제3부
한국 현대 소설의 형성사 서설 = 195
「날개」론의 방향 - 이상론 = 249
역사에의 증언과 삶의 진실 - 김정한론 = 258
삶과 문학의 대가적 아름다움 - 황순원의 단편을 중심으로 = 274
예술가 소설과 인간상의 탐구 - 정한숙론 = 281
부서진 세계 속에서 유전하는 삶의 고리 - 유재용론 = 304
제4부
실증적 자료와 시사(詩史) 서술 - 김용직, 「韓國近代詩史」 = 325
비평가의 정신사와 독자적 개성 - 김주연, 「문학, 그 영원한 모순과 더불어」 = 331
주체적·비판적·창조적 자기 확립을 위한 시론 - 윤재근, 「詩論」 = 334
면밀한 작품 해석과 비평적 통찰 - 조남현, 「한국 현대 소설의 해부」 = 337
시를 위한 비평과 비평가의 논리 - 정효구, 「시와 젊음」 = 345
전통과 시인의 비평적 정열 - 황동규, 「나의 시의 빛과 그늘」 = 34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