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Ⅰ부 리더와 리더십
제1장 리더가 왜 필요한가? = 15
1. 조직은 관리자를 필요로 한다 = 15
2. 조직이란 무엇인가? = 16
3. 조직 발전 = 18
제2장 리더의 기능과 역할 = 23
1. 대인·대표·상징적 역할 = 24
2. 목표 제시의 역할 = 26
3. 의사 결정의 역할 = 27
4. 정...
목차 전체
목차
제Ⅰ부 리더와 리더십
제1장 리더가 왜 필요한가? = 15
1. 조직은 관리자를 필요로 한다 = 15
2. 조직이란 무엇인가? = 16
3. 조직 발전 = 18
제2장 리더의 기능과 역할 = 23
1. 대인·대표·상징적 역할 = 24
2. 목표 제시의 역할 = 26
3. 의사 결정의 역할 = 27
4. 정확한 의사 전달 = 32
5. 교육·훈련의 역할 = 38
6. 경영·관리의 역할 = 40
7. 시너지 효과(synergy effect)의 창출 역할 = 44
8. 확인의 역할 = 46
9. 베푸는 역할 = 50
10. 직위에 따른 책임 = 53
11. 요약 = 57
제3장 리더의 조건과 자질 = 61
1. 성공적 리더의 정형이 있는가? = 62
1) 신체적 특징이 있는가? = 63
2) 외모, 성격은 어떠한가? = 63
3) 가문, 성장 배경 = 66
4) 생활 습관 = 67
5) 경력 = 68
6) 리더는 양성되는가? = 71
2. 성공적 리더에게 공통적인 특성은 있는가? = 74
1) 상당한 수준의 교육 = 74
2) 지능 = 76
3) 건강 = 77
4) 적극적·낙관적 사고 = 86
5) 강하고 독립적인 성격 = 89
6) 인간 이해 = 91
7) 직업 전문 지식과 우월성 = 92
8) 비정과 온정 = 96
9) 인격 = 97
10) 생사관(生死觀) = 99
제4장 지휘 통솔의 본질적 속성 = 102
1. 가변성 = 102
1) 리더 = 102
2) 추종자 = 103
3) 상황, 환경 = 103
2. 역동적 상호 작용 = 104
3. 불변적 요소 = 104
1) 결과주의 = 104
2) 인간 본성의 불변성 = 105
3) 인간 심리의 동원 = 105
4) 집단 역학 = 105
제5장 리더는 태어나는가? 양성되는가? = 107
1. 위인론(the great man theory) = 107
2. 특성 이론(trait theory) = 109
1) 손자(孫子)의 주장 = 110
2) 오자(吳子)의 주장 = 111
3) 육도삼략(六韜三略) = 111
4) 통수강령(統帥綱領) = 112
5) 통어(通御) = 112
6) 소크라테스의 주장 = 112
7) 삭스(Maurice de Saxe)원수의 주장 = 113
8) 나폴레옹의 주장 = 113
9) 죠미니의 주장 = 113
10) 클라우제비츠의 주장 = 113
11) 대(大)몰트케의 주장 = 114
12) 퍼싱(John J. Pershing) 원수의 주장 = 114
13) 와벨(Archibald Wavell) 원수의 주장 = 114
14) 몽고메리 원수의 주장 = 115
15) 아이젠하워 원수의 주장 = 115
16) 루즈벨트 대통령의 주장 = 116
17) 케네디 대통령의 주장 = 116
18) 릿지웨이(Matthew B. Ridgway) 장군의 주장 = 116
19) 하딩(Lord Harding) 원수의 주장 = 117
20) 덱카 장군의 주장 = 117
21) 테일러 대장의 주장 = 117
22) 세브리 소장의 주장 = 117
23) 마샬(S.L.A. Marshall) 장군의 주장 = 118
24) 마운셀(Maunsell) 장군의 주장 = 118
25) 티드(Ordway Tead)의 주장 = 119
26) 야전 교범(野戰敎範) (F. M. 22-100) = 119
27) 지휘 통솔(Taking Command) = 119
28) 초급 지휘 참고서 = 119
29) 막스 베버(Max Weber)의 주장 = 120
3. 상황 이론(situation theroy) = 121
4. 수용 이론(acceptance theory) = 122
제6장 지휘 통솔의 원칙 = 124
1. 리더 자신에 관련된 제 원칙 = 128
1) 몽고메리 원수의 제시 원칙 = 128
2) 성경 = 128
3) 기브(C.A. Gibb)의 제시 원칙 = 128
4) 호만스(G.C. Homans)의 제시 원칙 = 129
5) 로스(I. Rose), 헨드리(A. Handry)의 제시 원칙 = 129
6) 알버스(H. Albers)의 제시 원칙 = 129
2. 리더의 부하나 상황 처리에 관련된 제 원칙 = 129
1) 몽고메리 원수의 제시 원칙 = 129
2) 와벨 장군의 제시 원칙 = 130
3) 마샬 장군의 제시 원칙 = 130
4) 클라인의 제시 원칙 = 130
5) 기브(C.A. Gibb)의 제시 원칙 = 131
6) 호만스(G.C. Homans)의 제시 원칙 = 131
7) 레어드(D. Laird)의 제시 원칙 = 132
8) 로스(I. Rose), 헨드리(A. Handry)의 제시 원칙 = 132
9) 알버스(H. Albers)의 제시 원칙 = 132
제7장 지휘 통솔 스타일 = 134
1. 리더의 성격에 따르는 지휘 통솔 스타일 = 134
2. 조직 계층에 따르는 지휘 통솔 스타일 = 136
제8장 리더십 정의 = 139
1. 리더십 정의 = 139
2. 리더십의 개념과 본질 = 141
1) 리더십의 개념 = 141
2) 리더십의 본질 = 142
제9장 급변하는 시대, 리더의 과제 = 146
1. 미래 조직 환경의 특성 = 146
1) 불확실성 = 146
2) 기술 혁신 = 146
3) 성원의 교육 및 욕구 수준 상승 = 147
4) 창조화 시대의 도래 = 147
2. 미래 조직 리더의 과제 = 147
1) 미래 예측, 위기 관리 능력 = 147
2) 새로운 지식, 사고, 기술의 이해와 습득 = 148
3) 인간 행동의 동기 유발 능력 = 148
제10장 리더의 평가 = 152
제11장 한국적 리더십 정립을 위한 제언 = 155
1. 우리나라 리더십의 문제는 어디에 있는가? = 156
1) Noblesse Oblige의 부재 = 156
2) 지도층의 부재 = 158
3) 책임감 부재 = 161
4) 오도(誤導)된 권력관 = 162
5) 인기에의 영합 = 164
6) 경영 관리 능력의 부족 = 164
2. 바람직한 리더십 정립을 위하여 = 166
1) 올바른 리더십 교육 = 166
2) 솔선 수범 = 168
3) 지도층 형성 = 169
4) 지휘도를 뒷받침할 리더십 철학 = 169
제Ⅱ부 리더의 승계
대통령직 승계의 문명화 방안 = 172
제1장 리더 승계의 준거 = 173
1. 글의 전개 목적 = 173
2. 글의 전개 방법과 범위 = 174
3. 왜 승계가 불가피한가? = 175
4. 정치적 엘리트의 충원 = 176
제2장 지난 반세기 우리나라 대통령직 승계 = 178
제3장 미국의 대통령직 승계 분석 = 180
1. 정상적 승계 = 180
2. 병사(病死) = 182
3. 암살 = 182
4. 탄핵에 의한 승계 = 183
5. 분석 = 183
제4장 한·미 대통령직 승계 비교 = 186
제5장 역사적 접근 = 189
1. 한국 = 189
2. 이스라엘 남북 왕조 = 194
1) 북왕국 이스라엘 = 194
2) 남왕국 유다 = 195
3. 로마 제국 = 197
1) 공화정 시대 = 197
2) 원수정 시대 = 199
3) 격동의 시대 = 201
4) 제정 말기 = 202
4. 러시아 제국 = 206
1) 루리크 왕조 = 206
2) 로마노프 왕조 = 207
3)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210
5. 프랑스 = 214
6. 영국 및 미국 = 218
1) 영국 = 219
2) 미국 = 230
7. 한·미 역사의 비교 = 231
제6장 종교적 접근 = 235
1. 한국 = 235
2. 미국 = 238
제7장 안보적 접근 = 241
1. 한국 = 241
2. 미국 = 242
제8장 사회 경제적 접근 = 245
1. 한국 = 245
2. 미국 = 248
제9장 정치적 접근 = 253
1. 권력 분립의 실체 = 253
2. 정당과 선거 = 255
3. 지도자의 선택 = 258
4. 사법부의 독립 = 260
5. 미국과 중국의 사이 = 262
제10장 심리적 요인 및 기타 = 266
1. 승계의 심리 = 266
1) 매력 있는 위험한 포스트 = 267
2) 바른 계승과 마이너스의 계승 = 270
2. 임기 = 272
3. 인계 인수의 시점과 의의 = 275
4. 전임자의 예우 = 276
제11장 새 시대의 지향 = 277
1. 면면히 이어 가야 할 우리의 역사 = 277
2. 21세기를 맞으며 = 287
참고문헌 = 29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