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역자서문 = 3
서문 = 5
제1장 동기문제의 유형 = 17
1. 방어적인 방석 = 17
2. 무기력한 무일 = 19
3. 안전제일주의 안숙 = 21
4. 만족해 하는 만수 = 23
5. 불안해 하는 부영 = 24
6. 결론 = 25
제2장 성취동기의 정의와 측정 = 27
1. 성취동기의 정의 = 27
1) 이론적 틀 = 27
...
목차 전체
목차
역자서문 = 3
서문 = 5
제1장 동기문제의 유형 = 17
1. 방어적인 방석 = 17
2. 무기력한 무일 = 19
3. 안전제일주의 안숙 = 21
4. 만족해 하는 만수 = 23
5. 불안해 하는 부영 = 24
6. 결론 = 25
제2장 성취동기의 정의와 측정 = 27
1. 성취동기의 정의 = 27
1) 이론적 틀 = 27
2) 동기의 소재 = 32
2. 동기문제의 확인 = 34
1) 행동관찰 = 34
2) 동기문제의 확인과 설명 = 35
3)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동기문제 = 36
4) 학습환경 고찰 = 37
5) 동기문제와 학년차 = 38
3. 결론 = 39
제3장 강화이론 = 41
1. 이론 = 41
2. 교육적 함의 = 44
1) 토큰경제 = 47
2) 보상과 벌의 문제점 = 49
(1) 보상의 효과 = 50
(2) 보상의 이용 가능성 = 51
(3) 의도한 행동에 대한 보상 = 52
(4) 보상의 부정적 효과 = 53
(5) 효과의 단기성 = 54
(6) 벌의 효과 = 55
3) 요약 = 57
3. 칭찬 = 57
4. 결론 = 61
제4장 사회인지이론 = 67
1. 서론 = 67
1)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에 있어서의 자기효능감 = 70
(1) 자기효능감 판단의 근원 = 70
(2) 자기효능감의 결과 = 72
2) 요약 = 74
2. 자기조정 = 74
1) 인지적 행동수정 = 75
(1) 자기기록 = 76
(2) 자기교수 = 78
(3) 자기강화 = 79
2) 초인지 전략 = 81
3. 결론 = 82
제5장 인지이론의 적용 = 85
1. Atkinson의 기대×가치이론 = 85
2. Rotter의 사회학습이론 = 90
1) 통제=전략+능력 = 92
2) 통제소재의 측정 = 93
3) 교실맥락과 통제에 대한 신념 = 94
3. Weiner의 귀인이론 = 95
1) 귀인의 선행요소 = 96
2) 귀인성향 = 97
3) 측정 = 98
4) 귀인의 결과 = 100
(1) 기대 = 100
(2) 무기력 = 100
(3) 정서 = 103
4. 결론 = 105
제6장 능력지각 = 107
1. '능력'의 의미 = 108
2. Convington의 자기가치이론 = 110
1) 실패의 원인이 능력 부족으로 지각되는 것을 피하기 = 112
2) 학습하지 않고 성공하기 = 116
3) 요약 = 117
3. 성별에 따른 능력지각 = 118
4. 연령에 따른 능력지각의 변화 = 119
1) 학급에서의 실제적인 효과 = 122
5. 능력에 대한 참조의 틀 = 125
6. 능력지각의 측정 = 127
7. 결론 = 131
제7장 긍정적인 성취관련 신념 유지 = 133
1. 효과적인 실천원리 = 135
1) 과제 = 135
2) 목표 = 137
3) 평가 = 140
4) 도움 제공 = 145
5) 직접 진술 = 147
6) 학급구조 = 150
2. 포괄적 프로그램 = 154
1) 숙달학습 프로그램 = 154
2) 협동유인구조 = 157
3. 결론 = 161
제8장 내재적 동기 = 163
1. 유능동기 = 164
1) 최적의 도전원리 = 165
2) 숙달에 따른 정서적 반응 = 166
3) 사회적 환경의 영향 = 167
4) 유능성에 대한 자기지각과 내재적 동기 = 168
2. 신기성 = 169
3. 자기결정 = 171
1) 요약 = 172
4. 내재적 동기의 장점 = 172
1) 학교 밖의 학습활동 = 172
2) 도전 선호 = 172
3) 개념 이해 = 173
4) 창의성 = 173
5) 즐거움과 참여 = 174
5.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보상 = 175
1) 보상의 통제적 기능과 정보적 기능 = 177
6. 개인차 = 179
1) 동기에서의 개인차 측정 = 180
2) 연령에 따른 변화 = 184
7. 결론 = 185
제9장 가치·목표·인간관계 = 187
1. 자기결정과 내면화된 동기 = 188
1) 내면화된 동기의 측정 = 191
2) 요약 = 191
2. 기대×가치 = 192
1) 가치의 효과 = 193
2) 성취가치의 근원 = 194
3) 연령에 따른 변화 = 196
4) 가치의 측정 = 197
5) 요약 = 198
3. 목표이론 = 198
1) 목표의 함의 = 199
2) 적절한 모험성과 도전 추구 = 200
3) 관심의 초점 = 200
4) 학습행동 = 201
5) 귀인 = 201
6) 정서 = 202
7) 학습 = 203
8) 수행목표를 설정해서는 안되는가? = 203
9) 성취와 무관한 목표 = 204
10) 인종·문화·가치·목표 = 205
11) 학생들의 성취관련 목표 측정 = 206
12) 요약 = 210
4. 인간관계 = 211
1) 인간관계의 결과 = 212
2) 교사-학생간의 인간관계 측정 = 213
3) 연령에 따른 변화 = 215
4) 요약 = 215
5. 결론 = 216
제10장 내재적 동기·숙달목표·소속감의 극대화 = 219
1. 교사의 과업 = 219
2. 과제 = 221
1) 요약 = 231
3. 평가와 보상 = 232
1) 요약 = 238
4. 통제 = 239
1) 요약 = 245
5. 학급풍토 = 245
6. 결론 = 250
제11장 성취불안 = 253
1. 불안 측정 = 254
2. 불안과 성취 = 257
1) 사전처리수준과 처리수준 = 258
2) 산출수준 = 259
3) 요약 = 260
3. 성취불안의 근원 = 260
4. 교과별 불안 = 262
1) 수학 = 202
2) 쓰기 = 264
5. 불안의 부정적인 영향 최소화하기 = 266
1) 사전처리수준 = 267
2) 처리수준과 산출수준 = 268
3) 시험불안 감소시키기 = 270
제12장 기대전달 = 273
1. 교사기대의 근원 = 274
1) 교사의 자기효능감 = 276
2. 교사기대의 안정성 = 278
3. 교사기대의 영향 = 280
1) 기대수준에 따른 교사의 행동 = 280
2) 호의적이지만 비생산적인 교사의 행동 = 282
3) 능력별 집단편성과 계열구분 = 285
4. 학생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차별적 행동 = 286
5. 교사기대에 대한 학생의 지각 = 289
6. 교사기대의 부정적 영향 제거하기 = 291
7. 결론 =295
제13장 학습동기의 실천전략 = 297
1. 다섯 명의 가상 학생 = 297
1) 방어적인 방석 = 297
2) 무기려한 무일 = 299
3) 안전제일주의 안숙 = 300
4) 만족해 하는 만수 = 302
5) 불안해 하는 부영 = 304
2. 현장에서의 실천원리 = 305
1) 원리 적용상의 유의점 = 305
2) 다양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 = 307
3) 통제권 이양 = 308
4) 학생에 관한 이해 = 309
5) 자기점검 = 310
6) 교수활동간의 관련성 = 310
3. 교실 이외에서의 지원전략 = 311
1) 개방적인 학교풍토 = 312
2) 협동과 협력 = 312
3) 시간 = 313
4) 자율성 = 313
5) 학교정책 = 314
4. 실천 가능성 = 315
부록 = 319
참고문헌 = 331
찾아보기 = 37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