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서문 = 7
제1부 모성론의 흐름과 쟁점
제1장 여성의 시각에서 본 '모성론' / 이연정 = 21
1. 머리말 = 21
2. 모성론의 흐름 = 24
3. 모성의 구조적 측면 : 성별분업 = 27
4. 모성의 심리학적 측면 : 정신분석학적 접근 = 28
5. 모성의 이데올로기적 측면 = 3...
목차 전체
<pre>
서문 = 7
제1부 모성론의 흐름과 쟁점
제1장 여성의 시각에서 본 '모성론' / 이연정 = 21
1. 머리말 = 21
2. 모성론의 흐름 = 24
3. 모성의 구조적 측면 : 성별분업 = 27
4. 모성의 심리학적 측면 : 정신분석학적 접근 = 28
5. 모성의 이데올로기적 측면 = 34
6. 결론 = 38
제2장 페미니즘과 모성 : 거부와 찬양의 변증법 / 이정옥 = 43
1. 새로운 어머니상 : 〈마요네즈〉, 〈돈 크라이 마미〉 신드롬 = 43
2. 서구 모성의 제도화 과정 = 47
3. 페미니즘과 모성 : 거부와 예찬 사이에서 = 55
4. 서구 페미니즘과 한국의 모성 담론 = 61
5. '차이'는 분열의 지름길인가? = 65
제3장 한국 여성운동과 모성담론의 정치학 / 문소정 = 69
1. 여성운동이란 = 69
2. 여성운동과 모성담론의 정치학 = 71
3. 한국 여성운동과 모성담론의 지형 = 73
4. 한국 모성담론의 정치학 = 83
제4장 자아의 정치, 모성의 공백? : 프리단을 다시 읽기 / 김수정 = 89
1. 들어가면서 = 89
2. 맥락과 입장 = 91
3. 《페미닌 미스틱》의 '미스틱' : 탈신비화하기 = 103
4. 자아의 정치, 모성의 공백? = 109
5. 맺으면서 = 112
제2부 모성, 국가, 정책
제5장 한국가족법에서 어머니는 어디에 있(었)나 / 양현아 = 117
1. 가족법과 모성제도 = 117
2. 부성제도 속의 모성 = 120
3. 모성제도의 시공간성과 남녀 평등 = 133
제6장 출산통제와 페미니스트 정치 : '가족계획' 이전의 담론 지형 / 배은경 = 137
1. 들어가며 = 137
2. 페미니스트 정치와 여성의 몸 = 140
3. 출산통제와 인구통제 = 142
4. '정책' 벗어나기 = 146
5. 1950년대 말 1960년대 초의 출산통제 담론 = 148
6. 출산통제를 향한 열망 = 152
7. "국민에게 방법과 도구를 다오" = 159
8. 맺음말 = 161
제7장 발전 국가와 모성 : 1960∼1970년대 '부녀정책'을 중심으로 / 황정미 = 167
1. 서론 = 167
2. 이론적 검토 = 169
3. 5·16이전의 부녀정책 분석 = 174
4. 5·16이후의 부녀정책 = 178
5. 맺음말 = 193
제8장 잘 자랄 권리, 잘 키울 책임 : 보육정책의 현주소 / 이혜숙 = 197
1. 머리말 = 197
2. 보육정책의 발달과정과 유형 = 198
3. 한국사회와 보육정책 = 202
4. 보육정책의 전망과 과제 = 213
5. 맺음말 = 215
제9장 한국과 일본의 현모양처 사상 : 개화기로부터 1940년대 전반까지 / 가와모토 아야 = 221
1. 서론 = 221
2. 한국에서 현모양처 사상의 전개 = 223
3. 일본에서의 현모양처 사상의 전개 = 230
4. 현모양처 사상의 적용 : 한국과 일본 비교 = 237
5. 결론 = 240
제10장 현대일본의 모성 인식 / 정진성 = 245
1. 서 = 245
2. 근대화와 모성인식의 시작 = 246
3. 모성논쟁 = 250
4. 전시의 모성동원과 모성보호 = 255
5. 전후의 모성인식과 모성보호운동 = 258
6. 맺음말 = 262
제3부 모성, 문화, 일상생활
제11장 영화 속의 모성, 영화 밖의 모성 / 김현숙 ; 김수진 = 267
1. 가족, 여성, 영화 = 267
2. 영화 밖의 사회, 영화 속의 모성 = 271
3. 모성 이데올로기와 모성성의 구조 = 278
4. 영화 속에 드러난 모성성의 구조와 역사 = 283
5. 모성성, 그 갈등과 통합의 담론 = 289
제12장 정상성과 병리성의 경계에 선 모성 : 박완서의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엄마의 말뚝2〉와 아니예츠카 홀랜드의 〈올리비에, 올리비에〉를 중심으로 / 김수진 = 293
1. 모성의 '부정'에서 모성의 '해체'로 = 293
2. 텍스트와 숨겨진 텍스트 = 296
3. 아들의 어머니 : 승인된 광기 = 304
4. 어머니의 딸, 딸의 어머니 = 309
5. 분열된 여성 : 딸-어머니 = 314
제13장 대중매체에 나타난 여성상과 모성 / 부정남 = 319
1. 낭만적 사랑과 모성 = 320
2. 가상의 환경과 모성 = 322
3. 대중매체와 여성성, 그리고 모성 = 325
4. 맺음말 = 338
제14장 가사기술과 한국 여성의 삶 / 윤정로 = 343
1. 머리말 = 343
2. 가사기술·정보화·가사노동 = 345
3. 가사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 = 349
4. 가사기술과 일상생활의 변화 = 354
5. 맺음말 = 357
제15장 '자식바라기' 어머니의 전통성과 성찰성 : 대입 수험생 어머니의 삶과 정체성 / 심영희 = 361
1.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 = 361
2. 어머니들의 일상생활과 정체성 : 전통, 현대, 탈현대의 혼재 = 363
3. 전통적 모성의 지속과 변화가능성 = 382
제16장 1990년대 모성의 변화 : 희생의 화신에서 욕구를 가진 인간으로 / 신경아 = 389
1. 시작하는 말 = 389
2. 전통적 모성 : 강하고 희생적인 어머니 = 391
3. 1990년대 어머니 경험과 어머니 의식의 변화 = 393
4. 맺는말 : 경제위기와 모성의 변화 = 410
필자소개 = 415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