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교수공학의 개념적 이해 = 13
1. 기본 개념 = 15
1. 교육의 정의 = 15
2. 학습 = 16
3. 수업(교수)의 정의 및 하위영역 = 18
1) 수업설계 = 20
2) 수업개발 = 21
3) 수업실행 = 22
4) 수업관리 = 22
5) 수업평가 = 23
4. 학습이론 v...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교수공학의 개념적 이해 = 13
1. 기본 개념 = 15
1. 교육의 정의 = 15
2. 학습 = 16
3. 수업(교수)의 정의 및 하위영역 = 18
1) 수업설계 = 20
2) 수업개발 = 21
3) 수업실행 = 22
4) 수업관리 = 22
5) 수업평가 = 23
4. 학습이론 vs. 교수이론 = 24
1) Skinner의 조직적 조건화 이론 = 26
2) Gagn$$\acute e$$의 학습조건 이론 = 29
5. 수업의 도입부 = 32
1) 주의 집중 = 32
2) 목표 제시 = 32
3) 선행학습 상기 = 32
6. 수업의 전개부 = 33
1) 학습자료 제시 = 33
2) 학습안내 및 지도 = 33
3) 연습 = 33
4) 피드백 제공 = 33
7. 수업의 정리부 = 34
1) 형성평가 = 34
2) 파지 및 전이의 고양 = 34
2. 교수공학 = 36
1. 교수공학의 출현배경 = 36
2. 교수공학의 정의의 영역 = 36
1) 설계영역 = 38
2) 개발영역 = 39
3) 활용영역 = 40
4) 관리영역 = 41
5) 평가영역 = 42
3. 교육에서의 공학적 접근 = 43
1) 교육에서의 공학적 접근 = 43
2) 교육의 공학적 접근 = 44
3. 교수공학의 기저이론 = 46
1. 설계 = 48
2. 개발 = 50
3. 활용 = 51
4. 관리 = 52
5. 평가 = 53
제2장 개인차의 이해 = 55
1. 학습자관의 변천과 개인차의 영역 = 57
1. 학습자관의 변천 = 57
2. 개인차의 영역 = 58
2. 장의존성과 장독립성 = 60
1. 개념적 이해 = 60
2. 장의존성/장독립성의 특징적 차이 = 61
3. 장의존성/장독립성과 관련된 개인차 변이 = 61
1) 분석적 추론 = 61
2) 내향성/외향성 = 61
3) 애매모호 내성 = 62
4) 위험감수/조심성 = 62
5) 형식조작적 추론 = 62
4. 장의존성/장독립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 62
1) 잠입도형검사 = 62
5. 이론적 배경 = 63
6. 장의존성/장독립성과 학습 = 64
1) 연구 = 64
2) 시사점 = 64
7. 장의존성/장독립성과 수업 = 65
1) 연구 = 65
2) 시사점 = 66
3. 시각자와 언어자 = 67
1. 개념적 이해 = 67
2. 시각자/언어자의 특징적 차이 = 69
3. 시각자/언어자의 관련된 개인차 변인 = 69
1) 장의존성/장독립성 = 69
2) 총체자/계열자 = 69
3) 내향성/외향성 = 69
4) 정신능력 = 70
4. 시각자/언어자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 70
1) 시각자/언어자 질문지 = 70
5. 이론적 배경 = 70
6. 시각자/언어자와 학습 = 71
1) 연구 = 71
2) 시사점 = 72
7. 시각자/언어자와 수업 = 72
1) 연구 = 72
2) 시사점 = 73
4. 학습유형 = 74
1. Kolb의 학습유형 = 74
2. Dunn & Dunn의 학습유형 = 76
5. 외향성과 내향성 = 80
1. 개념적 이해 = 80
2. 외향성과 내향성의 특징적 차이 = 81
3. 외향성/내향성과 관계된 개인차 변인 = 81
1) Kolb의 학습유형 = 81
2) 애매모호 내성 = 81
3) 인지 속도 = 82
4. 외향성/내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 82
1) Eysenck 성격검사 = 82
5. 이론적 배경 = 82
6. 외향성/내향성과 학습 = 84
1) 연구 = 84
2) 시사점 = 84
7. 외향성/내향성과 수업 = 85
1) 연구 = 85
2) 시사점 = 86
6. 성취동기 = 87
1. 개념적 이해 = 87
2. 성취동기에 관한 특징적 차이 = 88
3. 성취동기에 관련된 개인차 변인들 = 89
1) 통제부위 = 89
2) 위험감수/조심성 = 89
3) 지능 = 89
4.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 89
1) 주제통각검사 = 89
5. 이론적 배경 = 90
6. 성취동기와 학습 = 91
1) 연구 = 91
2) 시사점 = 91
7. 성취동기와 수업 = 92
1) 연구 = 92
2) 시사점 = 93
7. 적응적 수업방안 = 94
1. 선호형 적합화 방안 : 학습자의 강점이나 선호요인을 활용하는 것 = 95
2. 교정형 적합화 방안 : 학습자 특성상의 결함을 제거하는 것 = 96
3. 보상형 적합화 방안 : 기능이나 학습자 특성을 대체하는 것 = 96
4. 도전형 적합화 방안 : 학습자 기능에 도전적 자극을 제공하는 것 = 97
5. 수업설계 과정에서의 개인차 분석 = 98
제3장 코스웨어 설계모형 = 103
1. 코스웨어의 교수-학습 특성 = 105
1.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기능 = 105
2. 학습자중심의 성과지향 교육 = 107
3. 기업교육의 새로운 분류 = 108
4. 멀티미디어 성공요소 : 설계 = 109
1) 지식 전달 = 110
2) 기능 개발 = 110
3) 수행 지원 = 110
4) 통합목표 달성 = 111
2. 학교교육용 멀티미디어 설계·개발과정 = 112
1. 계획단계 = 115
1) 개발 요구분석 및 목적 확인 = 115
2) 개발비용 및 기간의 산정 = 115
3) 개발팀의 구성 및 개발환경의 구축 = 116
2. 설계단계 = 116
1) 교수분석 및 학습자분석 = 117
2) 성취목표 진술 및 검사개발 = 118
3) 교수전략 및 상호작용 전략설계 = 119
4) 흐름도 및 스토리보드 작성 = 124
3. 개발단게 = 128
1) 멀티미디어 요소 제작 = 129
2) 프로그램 저작 = 129
3) 보조자료 개발 = 130
4. 평가단게 = 181
1) 전문가 검토 = 131
2) 일대일 및 소집단 평가 = 131
3) 현장 활용 검증 = 132
4) 보급용 매체 개발 및 총괄평가 = 134
3. 웹의 특성과 교사의 역할 = 135
1. WWW의 교수-학습적 특성 = 136
2. 교사의 역할 = 137
4. 기업교육용 멀티미디어 설계·개발과정 = 138
1. 계획과정 = 140
2. 설계과정 = 140
3. 개발과정 = 141
제4장 멀티미디어 제작의 필요요건 = 143
1. 필수 지식 및 기능 = 145
1. 내용영역에 관한 지식 = 147
2. 내용설명에 관한 경험 = 148
3. 사용자에 대한 지식 = 150
4. 교수 설계 기능 = 151
5. 하드웨어 시스템에 관한 지식 = 154
6. 스토리보드 작성능력 = 155
7. 그래픽 제작/화면 구도 = 157
8. 검사작성/검증 = 159
9. 순서도/상호작용 설계 = 161
10. 저작도구 활용능력 = 163
11. 비디오/오디오 제작능력 = 164
12. 프로젝트 관리기술 = 166
13. 평가/비용분석 기능 = 167
14. 외부 자원의 전략적 활용 = 168
2. 구성주의의 이해 = 169
1. 교육의 가치 : 지적 안목의 확대 = 169
2. 학교교육의 문제점 : 쪽관의 한계 = 170
1) 지식의 과도한 단순화 = 171
2) 지식의 탈 맥락화 = 172
3. 구성주의 교수 - 학습방안 : 지식의 구성 = 173
1) 구성주의의 가정 = 173
2) 참 과제 : 문제중심학습 = 174
3) 상조학습 = 174
4) 지식구축 = 175
5) 다양한 견해 확보 = 175
6) 구성주의 학습평가 = 176
4. 全觀의 가치 : 지식 공유의 중요성 = 176
제5장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설계원리 = 179
1. 거시적 설계 전략원리 = 182
1. 모의상황을 통한 실행학습 = 182
2. 부수적 학습 = 183
3. 성찰학습 = 185
4. 사례를 통한 학습 = 186
5. 탐구학습 = 187
6. 목표주도 학습 = 189
7. 목표 기반 각본의 설계 = 190
2. 미시적 설계방략 원리 = 192
3. 시지각 원리 = 195
1. 전경-배경관계 = 195
2. 첨예화와 평준화 = 198
3. 시각적 비중 = 201
4. 군집효과 = 204
1) 유사성 법칙 = 204
2) 인접성 법칙 = 206
3) 연속성 법칙 = 207
4) 완결성(폐쇄성) 법칙 = 208
4. 수업사상별 멀티미디어 활용방안 = 208
1. 수업의 도입부 = 209
1) 동기유발 = 209
2) 목표 제시 = 210
3) 선행학습 상기 = 210
2. 수업의 전개부 = 211
1) 학습자료 제시 = 211
2) 학습안내 및 지도 = 211
3) 연습 = 212
4) 피드백 제공 = 212
3. 수업의 정리부 = 213
1) 형성평가 = 213
2) 파지 및 전이의 고양 = 213
4. 정보화 매체의 유형 및 특성 = 214
1) OHP(TP) = 214
2) 교육용 CD-ROM = 215
3) Powerpoiont = 215
4) WWW = 216
제6장 아이콘 및 색상 설계원리 = 217
1. 아이콘 설계원리 = 219
1. 정의와 목적 = 219
1)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도와준다 = 220
2) 시각적이고 공간적인 개념을 표현한다 = 221
3) 공간을 절약한다 = 222
4) 정보탐색을 가속화한다 = 223
5) 즉각적인 정보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 223
6) 기억이 잘 되게 한다 = 223
7) 문자정보를 읽어야 할 필요가 없다 = 224
8) 인터페이스를 일반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225
2. 아이콘에 대한 그릇된 인식 = 225
1) 아이콘은 100% 문자를 대신한다 = 226
2) 아이콘은 문자보다 좋지 못하다 = 226
3) 아이콘은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사용하게 한다 = 227
4) 아이콘은 100% 명확한 의미를 전달해야 한다 = 228
5) 아이콘은 그림이다 = 228
6) 아이콘을 설계하는 일은 순수예술이다 = 229
3. 아이콘 활용단계 = 229
1) 아이콘의 의미 모색 = 230
2) 아이콘의 확인 = 231
3) 아이콘의 탐색 = 231
4) 아이콘의 활성화 = 232
4. 아이콘 편집을 위한 체크리스트 = 232
2. 색상의 설계원리 = 236
1. 색상의 활용 맥락 = 236
1) 물리적 맥락 = 236
2) 생리적 맥락 = 237
3) 환경적 맥락 = 238
4) 문화적 맥락 = 238
5) 공학적 맥락 = 240
2. 색상의 활용목적 = 240
1) 정보적 목적 = 241
2) 정의적 목적 = 241
3) 연상적 목적 = 241
4) 상징적 목적 = 242
5) 심미적 목적 = 242
6) 구체인 활용목적 = 242
7) 색상 활용 이유 = 244
3. 색상의 고유 함의 = 249
4. 색상의 선정원리 = 252
1) 가능한 적은 수의 색을 사용하라 = 252
2) 색과 관련된 연상에 의존하라 = 253
5. 화면 색상 설계를 위한 제언 = 254
제7장 차트의 활용원리 = 263
1. 도표 활용의 선결 요소 = 266
1. 차트 제작자의 능력에 관한 문제 = 266
2. 차트 자체에 관한 문제 = 266
3. 차트 사용자에 관한 문제 = 267
2. 차트의 종류 = 267
1. 관련성을 나타내는 차트 = 268
2. 길이, 영역, 부피를 이용한 차트 = 269
1) 길이를 이용한 차트 = 269
2) 영역을 이용한 차트 = 269
3) 부피를 이용한 차트 = 270
4) 그래프 = 270
3. 2차원·3차원 차트 = 271
1) 2차원 차트 = 272
2) 3차원 차트 = 274
4. 차트 유형의 선정 = 275
1) 기본 통계치도 = 276
2) 산포도 = 276
3) 연속도 = 277
4) 막대 그래프 = 278
5) 영역 다이어그램 = 278
6) 분할영역도 = 279
7) 그림도 = 280
8) 편집다이어그램 = 280
9) 상황제시도 = 281
5. 구조적 지식의 도식화 방안 = 282
1) 의미망 = 283
2) 거미망도 = 283
3) 패턴 노트 = 284
4) 개념도 = 285
5) 구조적 도식(schematizing) = 285
6. 도식화 전략의 수업통합 방안 = 286
1) 거미망도의 활용방안 = 286
2) 연쇄사건 계열도의 활용방안 = 287
3) 비교/대조 행렬도의 활용방안 = 288
4) 문제/해결 개요도의 활용방안 = 289
5) 망구조도의 활용방안 = 290
6) 인간 상호작용 개요도의 활용방안 = 291
7) 어골도의 활용방안 = 292
8) 순환도의 활용방안 = 293
제8장 Button 이론 = 297
1. 양질의 코스웨어 : 교육 경쟁력의 핵심 = 299
1. 교사-학생-내용간 상호작용 모형 = 300
2. 학습자 통제 = 303
2. Button 이론 = 305
1. 학습자의 감정 및 의사표현 기능 설계방안 = 308
2. 교사의 학습통제 기능 설계방안 = 312
3. 학습내용에 관한 질문 기능 설계방안 = 316
4. 연구결과 = 323
5. 연구결과의 의의 = 325
제9장 가상강좌 가이드라인 = 331
1. 사이버 강좌 개발 가이드라인 = 333
1. 강좌 수강에 필요한 예비 정보제공 = 333
1) 수강에 필요한 전산 지식의 확인 및 처방 = 333
2) 한 화면에 강의계획서 전체 양식 제시 = 334
3) 강의내용의 시각적 구조화 방안 = 334
4) 강좌의 운영 규정에 관한 세부정보 제공 = 335
5) 학습동기 제고방안 = 335
6) 가상강좌 참여시 학습동기 유발방안 = 336
7) 가상강좌 참여 중 학습동기 유발방안 = 336
8) 가상강좌 종결시 학습동기 유발방안 = 337
2. 가상 수업 도입부의 설계방안 = 337
1) 학습자의 주의집중 확보방안 = 338
2) 명세적인 수업(모듈)목표의 진술 = 339
3) 학습성과(목표)의 유형(Bloom의 목표분류) = 339
4) 학습성과(목표)의 유형(Cagn$$\acute e$$의 목표분류) = 340
5) 선수지식의 확인 및 처방방안 = 341
3. 수업내용 제시방안 = 341
1) 화면 디자인의 일관성 유지 = 342
2) 문서자료의 배치방안 - Ⅰ = 343
3) 문서자료의 배치방안 - Ⅱ = 343
4) 학습요소에 따른 학습활동 설계방안 = 344
5) 학습요소별, 학습자 수준별 제시방안 = 345
6) 다양한 도표(차트) 활용방안 = 346
7) 문서구조에 따른 그래픽 제작방안 = 347
8) 상황(맥락) 제시도의 활용방안 = 348
9) 색상활용 방안 = 348
10) 화면 색상 설계를 위한 제언 = 349
4. 학습자 참여 유도방안 = 350
1) 주제별·소집단별 토론환경 활용방안 = 350
2) 학습영역별 연습설계 방안 = 351
3) 연습의 결과에 대한 교정적 피드백 제공 = 352
4) 학습과정에 대한 담당교수의 권면 제공 = 352
5. 가상강좌 평가방안 = 353
1) 학습과정과 접목된 검사활용 = 354
2)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결과 고려 = 354
3) 웹 학습수행에 대한 평가항목 및 지침 = 355
4) 구성주의 학습원리의 적용(방법과 평가) = 356
6. 강좌 개선을 위한 정보수집 방안 = 356
1) 교수-학습영역 평가문항 = 357
2) 공학-기술영역 평가문항 = 357
3) 화면설계 영역 평가문항 = 358
4) 수업 지원 영역 평가문항 = 358
5) 운영-관리영역 평가문항 = 359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38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