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책머리에 = 4
서론 21세기 한국스포츠의 지향 : 국가, 시장, 시민사회 / 안민석 ; 임현진 ; 정홍익 ; 박홍규 = 15
1. 머리말 = 15
2. 스포츠연구의 새 동향 = 17
3. 한국스포츠의 위상 : 국가, 시장 및 시민사회 = 22
4. 21세기 한국스포츠의 과제 = 28
제1부 지구화시대 스포츠의 의미
제...
목차 전체
<pre>
책머리에 = 4
서론 21세기 한국스포츠의 지향 : 국가, 시장, 시민사회 / 안민석 ; 임현진 ; 정홍익 ; 박홍규 = 15
1. 머리말 = 15
2. 스포츠연구의 새 동향 = 17
3. 한국스포츠의 위상 : 국가, 시장 및 시민사회 = 22
4. 21세기 한국스포츠의 과제 = 28
제1부 지구화시대 스포츠의 의미
제1장 사회이론은 스포츠에 대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줄 수 있는가? / 제이 코클리 = 37
사회학이론 = 37
스포츠와 사회에 대한 이론 = 41
지능주의이론 : 스포츠는 활력소이다 = 43
기능주의이론과 스포츠연구 = 45
기능주의이론의 한계 = 46
갈등이론 : 스포츠는 아편이다 = 48
갈등이론과 스포츠연구 = 49
갈등이론과 한계 = 51
비판이론 : 스포츠는 사회적으로 구축된다 = 53
비판이론과 스포츠연구 = 56
비판이론의 한계 = 61
상호작용이론 : 스포츠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이다 = 61
상호작용이론과 스포츠연구 = 63
상호작용이론의 한계 = 67
사회학이론의 이용 : 비교 = 68
기능주의이론의 응용 = 69
갈등이론의 응용 = 70
비판이론의 응용 = 71
상호작용이론의 응용 = 71
요약 = 72
제2장 체육과 스포츠의 사회문화적 측면 :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전환 / 조지 세이지 = 79
1. 근대성의 위기 = 80
(1) 정치적 불평등과 억압 = 81
(2) 경제적 불평등과 억압 = 85
2. 인간 신체활동의 근대적인 상징적·문화적 의미 : 지배이데올로기의 재생산 = 90
(1) 근대적인 상징적·문화적 의미 : 스포츠와 정치 = 90
(2) 근대적인 상징적·문화적 의미 : 스포츠와 경제 = 91
(3) 근대적인 상징적·문화적 의미 : 스포츠와 사회계급 = 92
(4) 근대적인 상징적·문화적 의미 : 스포츠와 젠더 = 93
(5) 근대적인 상징적·문화적 의미 : 스포츠와 인종 = 94
3. 맺음말 = 95
제3장 세계화와 스포츠 / 조셉 매과이어 = 101
세계화논쟁의 이해 = 102
비교문화적 과정의 이해 : 상쟁하는 전통 = 106
전지구적 질서의 스포츠연구 : 놀이하는 국가? = 119
제2부 스포츠와 정치·경제
제4장 스포츠와 경제 / 윌버트 레오나드 2세 = 137
1. 기업스포츠의 출현 = 138
산업과 스포츠의 연계 = 138
슈퍼보울과 기업의 연계 = 142
마라톤 = 143
2. 프로스포츠 소유주 = 144
3. 프로스포츠 산업의 규모와 수익성 = 147
(1) 관람결정 요소 = 148
(2) 수입분배 = 149
(3) 방송중계권 판매 = 149
(4) 기타수입 = 151
(5) 프랜차이즈 가격 = 151
(6) 스포츠에 적용되는 감가상각법 = 153
(7) 선수계약금의 상각 = 154
(8) 프랜차이즈 소유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156
4. 스포츠 시설물의 재원 = 157
5. 소유비용 = 160
보수인상 유형 = 160
현행 계약 = 162
6. 독점으로서의 스포츠 = 164
1) 보류조항 = 165
2) 선택조항 = 166
3) 신인선수 지명제도 = 167
4) 프로선수의 법적 지위 = 169
7. 요약 = 171
제5장 스포츠와 정치 / 하워드 닉슨2세 ; 제임스 프레이 = 173
1. 스포츠와 미국정부 = 174
2. 국제관계에서 스포츠의 역할 = 177
(1) 외교적 승인을 구하거나 거부하는 수단 = 178
(2) 정치이념을 전파하는 수단 = 179
(3) 국가위상을 높이는 수단 = 180
(4) 국제이해와 평화를 촉진하는 수단 = 180
(5) 저항수단 = 181
(6) 무기 없는 전쟁수단 = 182
3. 스포츠를 통한 신식민주의 = 183
4. 국가발전에서 스포츠의 역할 = 187
(1) 사회통합의 역할 = 187
(2) 사회변화에 필요한 의사소통의 역할 = 188
(3) 사회조직을 조정하는 역할 = 188
(4) 사회발전에 활용되는 기능과 경험을 하는 역할 = 189
(5) 가치와 문화를 현대화하는 역할 = 189
5. 동유럽, 구소련, 남아공의 재건에서 스포츠의 역할 = 192
6. 결론 : 스포츠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세계질서 = 198
제6장 남북평화증진과 스포츠교류 / 안민석 = 205
1. 남북체육교류의 필요성과 의미 = 205
2. 문화교류와 체육교류 구별짓기 = 207
3. 남북체육교류의 경과와 평가 = 210
1) 남북체육교류의 연혁을 통해 본 성과 및 한계 = 210
2) 남북합의서에 나타난 체육교류 = 214
4. 남북체육교류 활성화방안 제언 = 216
(1) 정치와 체육의 분리 = 216
(2) 포용적 자세 견지 = 217
(3) 상호경쟁 지양 = 217
(4) 민간차원의 교류 = 218
(5) 북한체육에 대한 이해 = 219
(6) 체육교류 개념의 확대 = 220
(7) 지속적·단계적 교류 = 220
(8) 법적·제도적 정비 = 221
(9) 관광 등 타 분야 교류와 연계하여 추진 = 222
(10) 체육교류 회담이나 행사의 국제화 = 223
5. 결론 : 남북체육교류의 전망 = 223
제7장 프로야구선수협의회 사태와 프로스포츠 구조 / 안민석 = 229
전진하는 선수협의회 = 229
프로야구, 5공화국의 사생아 = 231
재벌이 소유하고 정치가 통제한다? = 234
프로선수 보수, 과연 높은가? = 238
프로선수 단체의 역사 : 성과와 한계 = 241
KBO규약의 문제점 = 246
선수와 구단이 대등할 때까지 선수협은 현재진행형 = 248
제3부 문화·성 및 미디어
제8장 대중매체와 스포츠 / 조지 세이지 = 253
1. 미국 매스미디어의 권력과 그 행사 = 254
(1) 헌법의 언론자유 보장 = 254
(2) 국민에 대한 언로의 장악 = 254
(3) 기업적 조직 = 255
(4) 이념적 헤게모니 = 256
(5) 보도와 현실 = 258
2. 스포츠계에서 인쇄매체와 전자매체의 역할 = 258
(1) 신문 = 258
(2) 전자매체 = 259
3. 텔레비전과 스포츠의 공조 = 260
1)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기타 연결고리 = 261
2) 텔레비전용 스포츠의 등장 = 263
4. 대중매체, 스포츠, 이념적 헤게모니 = 264
1) 헤게모니 형성과정 = 265
(1) 시청자의 유인 = 265
(2) 프로그램의 선택 = 266
(3) 오직 승리만을 위하여 = 267
(4) 아나운서 = 268
(5) 정치적·도덕적 이념과 미디어스포츠 = 269
5. 성, 인종, 대중매체 = 270
(1) 미디어스포츠에서 남성의 헤게모니 = 270
(2) 미디어스포츠와 여성 = 271
(3) 여성스포츠기자와 아나운서 = 273
(4) 미디어스포츠와 인종문제 = 273
(5) 흑인 스포츠기자와 방송인 = 274
6. 맺음말 = 275
제9장 스포츠와 성 / 제니퍼 하그리브 = 279
1. 머리말 = 279
2. 남녀간 기회의 평등 = 281
3. 분리주의 = 283
4. 긍정적 차별 = 286
5. 불필요한 분리 = 287
6. 자본주의와 성 = 289
7. 계급과 성 = 290
8. 스포츠와 헤게모니 = 292
9. 스포츠계의 남성 헤게모니 = 294
10. 여성스포츠의 정치화 = 295
11. 상처입은 남성 = 297
12. 변화를 위한 전략 = 298
제10장 스포츠의 하위문화 / 피터 도넬리 = 305
1. 스포츠문화와 스포츠 하위문화 = 308
1) 지배적 스포츠문화 = 308
2) 끈기와 지속 = 311
3) 변동 = 317
4) 저항과 대안문화 = 322
2. 토론 = 324
3. 맺음말 = 329
1) 끈기 = 329
(1) 제한적 민주화 = 329
(2) 상대적 고립 = 330
(3) 이민 = 330
(4) 위협에 대한 대응 = 330
(5) 의도적 원형추구 = 331
2) 변동 = 331
(1) 민주화 = 332
(2) 수출과 수입 = 332
(3) 상업화와 신기술의 도입 = 333
(4) 의존성의 증가 = 333
제4부 올림픽과 월드컵의 정치경제
제11장 자본주의, 상업주의, 올림픽 / 리처드 그루노 ; 하트 켄트론 = 341
1. 아마추어리즘, 상업주의와 올림픽에서의 모순들 = 344
2. 올림픽 : 무역박람회의 여흥에서 국제적 스펙터클로 = 350
3. 1984년 로스앤젤레스 : 경제위기와 올림픽 = 354
4. 맺음말 = 360
제12장 시드니올림픽 기사내용 분석 / 이장영 = 367
1. 머리말 = 367
2. 연구방법 = 371
1) 연구대상 = 371
2) 자료수집 및 처리 = 372
3. 올림픽 신문기사의 특성 = 374
1) 자료의 기본적 특징 = 374
2) 경기특성에 따른 차이 = 376
3) 성별에 따른 차이 = 378
4) 민족주의 = 380
5) 가족주의 = 382
4. 요약 및 결론 = 383
제13장 세계적 경기로서 축구의 발전 / 에릭 더닝 = 387
머리말 = 387
중세와 초기 근대 영국의 민속풋볼 = 392
유럽대륙의 민속풋볼 = 399
현대축구의 발전 = 400
민속풋볼의 문화적 주변화 = 401
공립학교 풋볼의 발전 = 402
성문규칙의 발전과 축구와 럭비의 분기 = 404
민족경기 축구의 출현 = 409
축구의 확산 = 416
제14장 2002년 월드컵, 어떻게 치를 것인가 : 문화축제로서 한일협력 / 정홍익 ; 임현진 = 421
1. 지구시대의 스포츠 = 421
2. 월드컵의 정치경제 = 423
3. 공동의 문화축제를 위한 한국과 일본의 과제 = 429
1) '메가이벤트'로서 월드컵 = 429
2) 장사모임에서 문화축제로 = 432
4. 결론 : 월드컵의 문화화 = 435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