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13
1. 문화와 정체성의 다양성 재발견 = 21
국민의 형성과 문화적 동질성 = 23
인종의 문제, '민족부흥'과 지역주의(1960∼1970) = 26
이민, 과격 전통주의, 신(新)민족주의, 그리고 '새로운' 소수(1980∼1990) = 30
다양성의 여러 가지 측면 = 38
2. 경제적·이념적 갈등에서 문화전쟁으로? = 43
경...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13
1. 문화와 정체성의 다양성 재발견 = 21
국민의 형성과 문화적 동질성 = 23
인종의 문제, '민족부흥'과 지역주의(1960∼1970) = 26
이민, 과격 전통주의, 신(新)민족주의, 그리고 '새로운' 소수(1980∼1990) = 30
다양성의 여러 가지 측면 = 38
2. 경제적·이념적 갈등에서 문화전쟁으로? = 43
경제적·이념적 갈등은 끝났는가? = 44
문화와 문명은 전면전으로? = 49
문화의 다양성은 유럽 통합에 걸림돌이 되는가? = 52
다민족국가의 실패? = 55
민족적·문화적 분열과 경제적·사회적 불평등 = 59
3. 문화 그리고 정체성의 다양성에 관한 국가 차원의 대책
민족적·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국가관리 '모델'? = 67
동화주의적 접근 = 72
다원주의적 접근 = 74
차별적 포섭/배제 = 76
국가 차원의 모델과 현실의 괴리 = 79
4. 다문화주의란 무엇인가? = 87
사회적 시행 : '온건' 다문화주의 = 89
공공정책, 소수집단에 보장된 권리 = 94
소수집단의 정치적 결사 : '정체성 정책' = 101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기도 : '강경' 다문화주의 = 105
시장(市場)의 다문화주의 = 108
5. 다문화주의의 위험 = 111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본질주의적이고 근본주의적인 접근 = 112
문화, 정체성, 공동체 안에서의 개인의 고립 = 117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의 은폐 = 122
억압받고 분리된 소수들의 사회로? = 124
새로운 도덕질서? = 126
6. 다문화적 민권, 민권적 다문화주의로? = 129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정의 = 133
모두에게 평등한 권리와 의무 = 136
다양성의 상징적 인정 = 139
법적인 인정과 공공정책 : 유연성의 조건 = 144
일상에 있어서의 양식과 선의 = 148
소수집단의 정치적 대표성 = 149
결론 = 153
참고문헌 = 158
역자 후기 = 16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