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제1장 음악학의 제요소
1. 음악사 ... 15
2. 음악 이론 ... 16
3. 음향학 ... 17
4. 비교 연구 ... 19
5. 일반적인 음악 문헌 ... 19
6. 체계적 음악 연구로서의 음악 미학 ... 20
제2장 전체 문화 영역 내에서의 음악의 위치
1. 음악과 과학 ... 23
2. 음악과...
목차 전체
서문
제1장 음악학의 제요소
1. 음악사 ... 15
2. 음악 이론 ... 16
3. 음향학 ... 17
4. 비교 연구 ... 19
5. 일반적인 음악 문헌 ... 19
6. 체계적 음악 연구로서의 음악 미학 ... 20
제2장 전체 문화 영역 내에서의 음악의 위치
1. 음악과 과학 ... 23
2. 음악과 여타 예술 ... 23
3. 시간 예술로서의 음악 ... 24
4. 가장 추상적인 예술로서의 음악 ... 25
5. 음악과 개별 문화 시대 ... 26
6. 음악의 시초와 전개 ... 31
7. 음악과 언어 ... 37
제3장 음악적 청취
1. 지각 개념 ... 38
2. 평균율 체계 ... 38
3. 이명동음적(耳鳴同音的) 혼동 ... 39
4. 원시적 정신 상태와 예술가적 소질 ... 40
5. 이국 음악 (異國音樂)의 청취 ... 40
6. 분석적 청취와 종합적 청취 ... 41
7. 배음 (倍音)의 청취 ... 41
8. 절대음감 (絶對音感) ... 42
9. 상대음감 (相對音感) ... 43
10. 귀울음 (耳鳴) ... 43
11. 습관과 연습 ... 44
12. 개인적인 체험 상태 ... 44
13. 작곡가의 개성에 대한 인식 ... 45
14. 신문을 통한 암시 ... 46
15. 소박한 청취와 반성 ... 46
16. 객관적 판단 ... 48
17. 음향학적인 사실들 ... 49
제4장 조성 체계
1. 음악의 수직적 성격 ... 53
2. 화음의 요소 ... 54
3. 5도권의 뒤나믹 (Dynamik) ... 56
4. 음조의 특성 ... 60
제5장 음악의 내용과 표현
1. 경험의 의미 ... 71
2. 주관적 체험의 동기로서의 음악 ... 75
3. 음악의 순수한 내용 (미적 범주들) ... 77
4. 시적 (詩的) 범주 ... 81
5. 범주의 혼합형 ... 82
6. 순수 요소와 연상적 요소의 결합 ... 84
제6장 절대음악과 연관음악
1. 절대음악 ... 90
2. 연관음악 ... 94
제7장 음악 양식
1. 개인 양식과 시대 양식 ... 111
2. 바하 양식 ... 113
3. 개별 작품의 양식 ... 114
4. 재료 양식 ... 115
5. 비인의 고전기 ... 117
6. 낭만주의 양식 ... 118
7. 인상주의 ... 123
8. 표현주의 ... 124
9. 고전주의 ... 126
10. 복고적 (復古的) 경향 ... 126
11. 이국적 경향 ... 127
12. 조성의 초월 ... 127
13. 절충주의 ... 128
14. 지역적-민족적 양식 ... 131
15. [무조성]의 경향 ... 134
제8장 음악 창조 행위
1. 착상 ... 138
2. 창조 과정 ... 139
3. 외적 자극 ... 140
4. 창조 행위의 유형 ... 141
5. 내적 체험과 외적 형성 ... 142
6. 음악 창조 행위의 소질 ... 143
제9장 음악 예술 작품의 제시
1. 형식적 관점에서의 객관적 재현 ... 145
2. 주관적 재체험의 필연성 ... 147
3. 창작과 모방 ... 148
4. 원형(原形)을 정착시키는 기술화의 문제 ... 148
제10장 공연 음악 비평
1. 감성과 권리 ... 151
2. 비평가의 사명 ... 152
3. 정기 간행물에서의 비평 ... 154
4. 비평의 결함 ... 156
제11장 음악 행위
1. 어린이와 원시적인 형(型) ... 158
2. 비전문적인 형 ... 159
3. 건반악기의 연주 활동 ... 159
4. 지휘
5. 독주자와 비르투오소 ... 160
6.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의 구성원 ... 161
7. 직업적인 연주가 ... 161
8. 애호가 ... 163
9. 즉흥 연주와 환상적 연주 ... 164
제12장 음악의 교육과 수업
1. 인간의 음악 교육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경향 ... 168
2. 음악의 교육적 장점 ... 170
3. 음악 교육을 위한 방침 ... 172
4. 음악의 사회 교육 ... 174
제13장 음악적 소질
1. 음악적 재능의 파악 ... 175
2. 음악적 재능의 일반적인 동인 (動因) ... 177
3. 재능에 대한 기본 요소 ... 178
4. 정해진 양식을 위한 계획 ... 179
5. 정해진 범주에 대한 소질 ... 180
6. 적합한 연주 형태에 대한 재능 ... 180
7. 명확한 이해와 체험의 형태 ... 180
8. 음악적 판단에 대한 재능 ... 181
9. 재생과 생산적인 재능 ... 182
10. 음악적 기억력 ... 182
11. 청취와 상상력의 발달, 색청 (色聽) ... 182
12. '비음악적'인 것 ... 183
제14장 색채와 음
1. 귀와 눈의 관계 (환시-幻視) ... 184
2. 눈과 귀의 관계 ... 188
3. 물리학적인 이론 ... 188
4. 예술의 과제 ... 190
제15장 음악과 공간성
1. 초시간적인 것과 시간 외적인 음악의 특징 ... 192
2. 음악의 공간적 요소 ... 193
3. 음악의 현상적 공간 ... 194
4. 음악의 상징적 공간 요소 ... 195
5. 색청의 공간성 ... 197
6. 공간예술에서의 음악의 요소 ... 199
제16장 음악의 본질
1. 사적 (史的) 해석 ... 201
2. 본질적 해석의 가능성 ... 202
3. '음악' 개념의 다양성 ... 203
4. 형이상학적 문제의 해답 ... 203
5. 심오한 성격의 전달자로서의 음악 ... 20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