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1부 결혼과 가족의 기초
1장 결혼과 가족 생활방식의 선택
1. 결혼과 가족 생활방식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 세 가지 변화 = 18
1) 경제 상황의 변화 = 19
2) 인구통계학적 변화 = 19
3) 성역할의 변화 = 26
2. 결혼가 관련된 세 가지 생활양식 = 28
...
목차 전체
<pre>
1부 결혼과 가족의 기초
1장 결혼과 가족 생활방식의 선택
1. 결혼과 가족 생활방식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 세 가지 변화 = 18
1) 경제 상황의 변화 = 19
2) 인구통계학적 변화 = 19
3) 성역할의 변화 = 26
2. 결혼가 관련된 세 가지 생활양식 = 28
1) 결혼 = 28
2) 동거(사실혼) = 36
3) 독신 = 41
3. 결혼 준비의 필요성 = 47
2장 사회적 성과 성역할
1. 성(sex, gender, 性)의 의미 = 51
2. 성역할의 습득 = 53
1) 성역할 습득이론 = 53
2) 성역할 측정 = 54
3) 성역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7
3. 성역할 습득의 결과 = 64
1) 남녀 능력의 차이 = 64
2) 행동 방식의 영향 = 67
3) 사랑의 표현방식과 성행동의 차이 = 74
4. 평등한 성역할을 위한 방안 = 74
3장 사랑
1. 사랑의 의미 = 82
2. 사랑의 속성 = 83
3. 사랑의 유형 = 85
1) 사랑의 기본색 = 87
2) 사랑의 이차색 = 89
4. 사랑에 대한 이론적 접근 = 97
1) 사회심리학적 접근 = 97
2) 사회학적 접근 = 113
5. 성공적인 사랑을 실현시키는 태도 = 114
6. 이성 교제 = 116
1) 이성 교제의 의의 = 116
2) 이성 교제의 기능 = 117
3) 이성 교제의 단계 = 121
4) 이성 교제의 해소 = 121
4장 성과 성행동
1. 성의 개념과 중요성 = 129
2. 성지식 측정 = 132
3. 남녀의 생리적 구조 = 133
1) 남성의 생식구조 = 134
2) 여성의 생식구조 = 138
4. 남녀의 성반응단계 = 145
1) 흥분 단계(excitement) = 146
2) 고조 단계(plateau) = 147
3) 절정 단계(orgasm) = 148
4) 회복 단계(resolution) = 150
5. 남녀의 성에 관한 그릇된 관념들 = 151
5장 성과 성문제
1. 혼전 성관계 = 159
2. 성폭력 = 163
3. 성병 및 성기능 장애 = 168
1) 성병 = 168
2) 세균성 성감염증 = 169
3) 에이즈(AIDS) = 171
4) 성기능 장애 = 175
4. 성교육 = 179
1) 피임 = 179
2) 낙태 = 192
2부 결혼준비와 계획
6장 배우자 선택
1. 배우자 선택 = 201
1) 배우자 선택의 이론 = 201
2) 배우자 선택의 기준 = 205
3) 배우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14
4) 현대의 배우자 선택 방법들 = 216
5) 배우자 선택시 고려할 점 = 219
2. 결혼준비 = 226
1) 결혼 의미의 탐색 = 227
2) 결혼준비의 실제 = 236
3) 결혼식과 신혼 여행 = 241
7장 결혼생활의 계획
1. 일과 가족의 조화 = 247
1) 일과 가족의 연계성 = 248
2) 일과 관련된 가족의 유형 = 250
3) 일과 관련된 가족생활주기의 유형 = 254
4) 가사분담 = 258
2. 가족계획과 부모관 = 260
1) 가족계획 = 261
2) 부모됨의 의미 = 261
3) 부모가 되는 동기 = 263
4) 부모역할의 특징 = 265
5) 자녀 양육 유형과 효과적인 부모역할 = 270
3. 재정계획 = 272
1) 가계경제 = 273
2) 재정계획의 필요성 = 275
3)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재정계획 = 276
4) 재정계획의 실제 = 281
4. 친족관계 = 285
1) 현대 사회의 친족관계 = 285
2) 노부모와의 관계 = 288
3) 고부관계 = 291
5. 갈등해결 = 295
1) 부부 갈등의 양상 = 296
2) 부부 갈등의 해결 = 297
3)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 = 300
4) 효과적인 의사소통 = 303
3부 결혼과 가족 생활방식에 대한 대안과 전망
8장 다양한 가족유형
1. 맞벌이가족 = 311
1) 맞벌이가족의 실태 = 311
2) 맞벌이가족의 특징 = 314
3) 맞벌이가족의 문제점과 전망 = 315
2. 분거가족(commuter family) = 320
1) 분거가족의 실태 = 320
2) 분거가족의 특징 = 323
3) 분거가족의 문제점과 전망 = 325
3. 자발적 무자녀가족(voluntarily childless family) = 327
1) 무자녀가족의 정의 = 327
2) 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하는 동기 = 328
3) 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하는 과정 = 329
4) 자발적 무자녀가족의 특징 = 332
5) 자발적 무자녀가족의 문제점과 전망 = 333
4. 한부모가족 = 334
1) 한부모가족의 실태 = 335
2) 한부모가족의 특징과 사회적 요구 = 336
5. 재혼가족 = 346
1) 재혼의 실태 = 346
2) 재혼가족의 정서적 특징 = 348
3) 재혼가족의 문제 = 352
6. 동성애자가족 = 357
1) 동성애의 현황 및 특징 = 357
2) 동성애적 성향의 형성 = 363
3) 동성애자 가족 = 368
7. 공동체가족 = 376
1) 공동체가족의 역사와 배경 = 376
2) 공동체가족의 특성 = 380
3) 공동체가족의 문제 = 381
4) 우리나라의 공동체가족의 실태 = 382
9장 가족법
1. 가족법의 구성 = 391
1) 친족법 = 392
2) 상속법 = 392
2. 현행 가족법의 주요 내용 = 393
1) 가제도 = 393
2) 혼인제도 = 394
3) 부모와 자 = 396
4) 상속 = 397
3. 친족관계에 관한 법 = 398
4. 부부관계에 관한 법 = 400
1) 약혼 = 400
2) 혼인 = 401
3) 부부관계의 해소 = 404
5. 친자관계에 관한 법 = 406
1) 부모와 자 = 406
2) 양자 = 408
3) 친권 = 410
4) 후견 = 411
5) 호주와 호주 승계 = 412
6. 유언과 상속에 관한 법 = 414
1) 상속 = 414
2) 유언 = 417
3) 유류분 제도 = 419
7. 현행 가족법의 해결 과제 = 422
10장 바람직한 결혼과 가족을 위한 전망
1. 결혼에 대한 결정 = 427
1) '나'를 알기 = 428
2) 친밀한 관계 형성에 대한 결정 = 429
3) '내 파트너' 알기 = 430
4) 결혼에 대한 결정 = 432
2. 결혼·가족 관련 자료 = 433
1) 결혼 관련 책 자료 = 434
2) 결혼·가족 관련 인터넷 사이트 = 438
3) 결혼·가족 관련 기관 = 440
4) 가족생활교육 교육기관 = 441
참고문헌 = 443
찾아보기 = 451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