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9세기 초중반 가집 『흥비부』의 노랫말 변용 양상
19세기 초중반 가집 『청구영언 육당본』의 노랫말 변용 양상
『흥비부』와 『청구영언 육당본』을 통해 본 노랫말 변용의 두 흐름
19세기의 시조 한역과 한시의 시조화
상촌 신흠 시조의 발생태와 수용태
사설시조 <각시내 내 첩이 되나>의 의미와 의미 변용
17세기 자연시가의 양상과 그 역사적 성격 ...
목차 전체
19세기 초중반 가집 『흥비부』의 노랫말 변용 양상
19세기 초중반 가집 『청구영언 육당본』의 노랫말 변용 양상
『흥비부』와 『청구영언 육당본』을 통해 본 노랫말 변용의 두 흐름
19세기의 시조 한역과 한시의 시조화
상촌 신흠 시조의 발생태와 수용태
사설시조 <각시내 내 첩이 되나>의 의미와 의미 변용
17세기 자연시가의 양상과 그 역사적 성격
조선후기 향촌사대부 시가와 취향의 문제
<독락팔곡>과 <전과팔곡>의 거리
조선후기 향촌사족층 여성의 삶과 시집살이 서사
<존재 위백규 문학평전>을 위한 예비적 검토
참고 문헌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