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 영양 결핍의 종류 및 영양 지원 대상 = 9
Ⅰ. 서론 = 11
Ⅱ. 영양 실조의 종류 = 14
1. Kwashiorkor = 14
2. Marasmus = 15
Ⅲ. 영양 지원의 적응증과 금기증 = 17
1. 경정맥 완전영양공급(TPN) = 17
2. 말초정맥 영양공급(PPN) = 19
3. 경장 영양공급(EN)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 영양 결핍의 종류 및 영양 지원 대상 = 9
Ⅰ. 서론 = 11
Ⅱ. 영양 실조의 종류 = 14
1. Kwashiorkor = 14
2. Marasmus = 15
Ⅲ. 영양 지원의 적응증과 금기증 = 17
1. 경정맥 완전영양공급(TPN) = 17
2. 말초정맥 영양공급(PPN) = 19
3. 경장 영양공급(EN) = 19
제2장 : 영양 평가 및 지원 = 21
Ⅰ. 영양 평가 방법 = 23
1. 주관적 평가 = 23
2. 객관적 평가 = 24
3. 평가 방법의 선택 및 판독 = 29
4. 수술 예후 판정과 영양상태 평가 = 30
5. 영양 평가 및 공급의 증례 = 31
Ⅱ. 영양소 및 열량 요구량의 결정 방법 = 42
1. 수분 요구량 = 43
2. 칼로리 요구량 = 45
3. 단백질 요구량 = 46
4. 지방 요구량 = 47
5. 전해질 요구량 = 48
6. 미량 원소 및 비타민의 요구량 = 49
7. 재 영양공급(Refeeding) = 50
Ⅲ. 환자 영양의 간호지침 = 52
1. 경장 영양의 간호지침 = 52
2. 경정맥 영양의 간호지침 = 54
Ⅳ. 영양지원팀(NST)의 역할 = 66
1. 영양지원팀의 구성과 기능 = 66
2. 영양지원팀의 효과 = 68
3. 영양지원팀의 의무 = 68
4. 의사와 영양지원 = 70
5. 간호사와 영양지원 = 70
6. 약사와 영양지원 = 71
7. 영양사와 영양지원 = 72
8. 영양지원팀의 회진 = 72
제3장 : 경장 영양 공급(EN) = 75
1. 영양 지원 경로 = 77
2. 경관 급식의 투여 경로 = 78
3. 경장 영양 관리의 흐름도 = 80
4. 영양 필요량 산정 = 81
5. 경관 formula의 선택 = 82
6. 경관 급식의 주입 방법 = 85
7. 경장 영양의 monitoring = 86
8. 경장 영양의 합병증 = 88
9. 과도기 급식 = 91
제4장 : 경정맥 영양 공급(TPN) = 95
Ⅰ. 중심 정맥을 이용한 TPN = 97
1. 공급 route 확보 = 97
2. 수액과 영양소 종류 = 97
3. 시작, 유지 및 중단 방법 = 105
4. TPN의 조제 및 약물 첨가 = 106
5. 경정맥 영양 공급의 처방 종류 = 114
6. TNA(Total Nutrient Admixture) = 116
7. TPN 중 환자 관리 = 125
8. 합병증 = 126
Ⅱ. 말초 정맥을 이용한 TPN(PPN) = 133
Ⅲ. Home TPN = 138
1. 적응증 = 138
2. 비 적응증 = 139
3. 환자 선택 = 139
제5장 : 특수 질환 상태의 영양 공급 = 141
Ⅰ. 간질환 = 143
Ⅱ. 위장관 질환 = 153
Ⅲ. 당뇨병 = 175
Ⅳ. 고혈압 = 182
Ⅴ. 심폐질환 = 185
Ⅵ. 폐질환 = 189
Ⅶ. 신부전 = 194
Ⅷ. 위급한 질환 = 206
Ⅸ. 암 = 216
Ⅹ. 수술 전후의 영양공급 = 222
XI. 소아의 경정맥·경구 영양 지침 = 224
제6장 : 면역영양요법(Immunonutrition) = 241
1. 면역영양요법과 관련된 영양소들 = 244
2. 면역영양요법을 언제 사용해야 하는가? = 245
제7장 : 수기 = 247
Ⅰ. 쇄골하 정맥 삽관의 방법 = 249
1. 해부 = 249
2. 환자의 준비와 삽관 = 250
Ⅱ. 내경정맥 삽관의 방법 = 253
1. 해부 = 253
2. 환자의 준비와 삽관 = 254
Ⅲ. 경피내시경하 위루술(PEG) = 258
1. 적응증 = 259
2. 금기증 = 259
3. 전처치 = 259
4. 시술방법 = 260
5. 시술 후 환자관리 = 262
6. 합병증 및 대책 = 264
7. 경피내시경하 위·공장루술 = 264
제8장 : 한국인의 표준 인체 계측기 = 267
1. 성별에 따른 키, 몸무게, TSF, MAC, MAMC,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 = 268
2. 한국 건강 성인 남녀의 키의 분포 = 269
3. 한국 건강 성인 남녀의 체중의 분포 = 270
4. 한국 건강 성인 남녀의 Triceps Skinfold Thickness = 271
5. 한국 건강 성인 남녀의 Mid Arm Circumference = 272
6. 한국 건강 성인 남녀의 Mid Arm Muscle Circumference = 273
찾아보기 = 27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