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생물학 : 과학과 윤리학(biology : Science and Ethics) = 2
과학은 반증 가능한 가설을 검정함으로써 이론을 수립한다 = 5
가설 = 5
학설 = 8
생물계를 설명하는 학설 = 9
실험과학의 가설 검정 = 10
관찰과학의 가설 검정 = 13
혁명적인 과학은 '정상과학'과는 다르다 = 14
과학 혁...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생물학 : 과학과 윤리학(biology : Science and Ethics) = 2
과학은 반증 가능한 가설을 검정함으로써 이론을 수립한다 = 5
가설 = 5
학설 = 8
생물계를 설명하는 학설 = 9
실험과학의 가설 검정 = 10
관찰과학의 가설 검정 = 13
혁명적인 과학은 '정상과학'과는 다르다 = 14
과학 혁명 = 15
생물학의 패러다임으로서의 분자유전학 = 15
과학 사회 = 17
과학자들은 종종 윤리적인 문제를 고려한다 = 20
윤리학 = 20
도덕적 갈등의 해결 = 21
의무론적 윤리학 = 22
공리주의 윤리학 = 23
사회는 어떻게 윤리적인 결정을 내리는가 = 25
실험 대상을 결정할 때 윤리적인 문제가 야기된다 = 27
동물의 사용 = 27
동물 권리 운동 = 28
실험 대상으로서의 인간 = 29
제2장 유전자, 염색체, 그리고 DNA(Genes, Chromosomes, and DNA) = 36
멘델은 표현형을 관찰하고 가설을 세웠다 = 39
완두콩의 형질 = 39
유전자형과 표현형 = 41
유전에 대한 염색체상의 근거는 멘델의 가설을 설명해 준다 = 45
유사분열 = 46
감수분열과 유성 생활환 = 48
유전자 연관 = 50
염색체설의 확인 = 51
멘델의 가설을 더욱 뒷받침해 주는 유전의 분자 생물학적 근거 = 52
DNA와 유전적 형질전환 = 53
DNA의 화학적 조성 = 56
DNA의 3차원적 구조 = 57
DNA 복제 = 59
유전자의 전사와 번역 = 61
돌연변이 = 63
제3장 인류 유전학(Human Genetics) = 70
성염색체 유전자에 의한 성의 결정과 한성 유전현상 = 73
성의 결정 = 74
한성 유전 형질 = 75
염색체 이상 = 76
질병과 질병 체질의 유전 = 79
특정 형질에 대한 유전적 원인 규명 = 79
잘 알려져 있는 유전적 질병들 = 85
분자생물학 기술에 의한 유전 정보 분석 = 89
휴먼 게놈 프로젝트 = 89
DNA 분석에 의한 개인 식별 = 92
유전공학 = 94
기타의 파생 기술들 = 97
유전 정보의 활용 = 99
유전 조사와 상담 = 100
유전자 바꾸기 = 106
집단의 유전적 평형 바꾸기 = 111
유전 요인과 환경 요인의 균형 상태 바꾸기 = 114
제4장 진화와 분류(Evolution and Classification) = 122
다윈의 모델에 의한 생물학적 사고의 재정립 = 125
다윈 이전의 사고 = 126
다윈 사상의 발전 = 126
자연 선택 = 128
변화하는 계통 = 133
화석과 화석 기록 = 137
진화적인 사고에 도전한 창조론자들 = 142
창조론과 다윈의 대답 = 142
20세기 초의 창조론 = 143
오늘날의 창조론 = 144
종의 개념은 현대 진화 모델의 중심 = 146
개체군과 종 = 146
새로운 종의 분화 = 148
상위 분류군들 = 149
자연적 과정에 의한 생명의 기원 = 151
지구 초기 생명의 증거 = 152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 154
생물의 계 = 158
원핵생물 = 158
현재 우점하고 있는 진핵생물 다양성 = 162
원생동물계 = 162
식물계 = 163
진균계 = 164
동물계 = 164
진화의 산물인 인류 = 176
Australopithecus 속 = 178
Homo 속 = 179
진행하는 과정으로서의 진화 = 180
제5장 인간의 변이와 다양성(Human Variation) = 186
생물학적인 변이는 인류의 개체군 안과 개체군들 사이에 존재한다 = 189
연속 변이와 불연속 변이 = 189
인간 개체군 사이의 변이 = 191
인종의 개념 = 192
인간 변이에 대한 연구 = 200
집단 유전학은 인간의 변이를 이해하게 한다 = 202
인간 혈액형과 지리학 = 202
고립된 개체군과 유전적 부동 = 206
인류 개체군 역사의 재건 = 209
말라리아와 다른 질병이 자연 선택의 동인이다 = 211
말라리아 = 211
낫세포 적혈구성 빈혈증과 말라리아의 저항성 = 212
말라리아 병에 저항성을 주는 다른 유전 형질들 = 217
말라리아 저항성의 집단 유전학 = 219
선택 인자로서의 다른 질병들 = 220
물리학적인 요인에 의한 자연 선택이 인간 개체군의 변이를 일으킨다 = 221
인간의 생리 기능과 체격의 다양성 = 221
자연 선택, 피부 색깔, 병에 대한 저항성 = 223
제6장 인구 폭발(The Population Explosion) = 230
인구통계학은 미래의 인구를 예측할 수 있게 돕는다 = 233
성장률 = 234
지수(기하급수적) 성장 = 236
인구에 대한 맬서스의 관점 = 237
로지스틱 성장 = 239
인구통계학적 전환 = 241
인간 생식생물학은 가임과 불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247
생식 해부와 생식 생리 = 247
생식 기술 = 251
인구 성장과 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을까? = 254
피임법 = 254
수정 이후 출생 조절 방법 = 259
산아 조절에 대한 문화적·윤리적 반대 = 260
낙태 논쟁 = 261
인구 조절 운동 = 263
여성의 교육 = 264
인구 영향 조절 = 266
제7장 사회생물학(Sociobiology) = 272
사회생물학은 사회적 행동을 다룬다 = 275
학습된 행동과 선천적 행동 = 275
사회생물학의 패러다임 = 277
사회생물학의 연구 방법 = 279
본능 = 280
사회적 구조는 적응된다 = 283
사회적 집단의 생물학적 이점 = 283
사회 구조의 간단한 형태 = 284
이타주의 : 진화적인 수수께끼 = 285
진사회성의 진화 = 288
생식 전략이 적응도를 바꿀 수 있다 = 292
무성 생식 대 유성 생식 = 292
r-선택과 K-선택 = 293
성 간의 차이점 = 294
교미 체계 = 296
영장류 사회생물학의 복잡성 = 298
영장류의 사회적 행동과 발달 = 298
영장류의 사회 체계 = 301
영장류의 생식 전략 = 303
인간 행동의 몇 가지 예 = 305
제8장 영양과 건강(Nutrition and Health) = 314
소화는 우리 몸이 흡수할 수 있는 화학적 물질로 음식을 분해한다 = 317
화학적·기계적 소화 과정 = 317
소화 체계 = 317
흡수된 영양분은 신체를 순환한다 = 325
순환계 = 325
심장 = 326
모든 인간은 건강을 위해 섭취해야 할 필수적인 음식물이 있다 = 328
탄수화물 = 329
지질 = 331
단백질 = 336
다량 영양소의 세포 내 에너지로의 전환 = 339
섬유 = 340
비타민 = 342
무기염류 = 346
영양 결핍은 건강을 해친다 = 349
나쁜 식사 습관 = 349
단백질 결핍 = 350
영양 부족에 기여하는 생태학적 요소 = 351
가난과 전쟁이 건강에 끼치는 영향 = 352
미량 영양소의 결핍 = 353
제9장 암(Cancer) = 358
다세포 유기체는 세포와조직의 조직화된 집단이다 = 361
구획화 = 361
특수화 = 362
협동과 항상성 = 363
정상 세포에서 세포분열은 엄격하게 조절된다 = 364
세포주기 = 364
세포분열의 조절 = 365
유전자 발현의 조절 = 367
세포의 분화와 조직형성 = 369
세포분열의 한계 = 375
세포분열이 통제되지 않을 때 암이 생긴다 = 377
암세포의 특성 = 377
암유전자와 원 암유전자 = 379
종양 억제 유전자 = 381
많은 돌연변이의 축적 = 381
암으로의 진행 = 382
암은 복합적인 원인과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 384
암에 대한 유전적 소인 = 386
연령의 증가 = 387
바이러스 = 388
물리적·화학적 발암물질 = 389
음식물 요인 = 393
종양 개시자와 종양 촉진자 = 394
암에 대한 내부적 저항 = 396
사회적·경제적 요인 = 397
우리는 암을 치료할 수 있고 그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 399
수술, 방사선, 그리고 화학요법 = 399
새로운 암 치료법 = 400
암의 발견과 소인 = 401
암의 관리 = 403
암의 예방 = 403
제10장 신경계(The Nervous System) = 408
신경계는 온몸에 신호를 전달한다 = 411
신경계와 뉴런 = 411
신경 충격 : 어떻게 신호가 뉴런을 따라 이동하는가 = 413
신경전달물질 : 어떻게 신호가 뉴런 사이에서 전달되는가 = 416
뇌에서의 도파민 회로 : 파킨슨병과 헌팅톤병 = 419
뇌로 들어가고 나오는 신호 = 422
신호 유입 : 감각기관 = 422
뇌에서의 신호 처리 = 428
신호 유출 : 근육의 수축 = 432
뇌에서의 신호 저장과 반추 = 435
학습 : 뇌활동의 저장 = 435
기억 형성과 공고 = 437
알츠하이머병 : 아세틸콜린 부족 = 439
생물학적 주기 : 하루의 시간에 대한 신호 = 440
꿈 : 신호 유출 연습 = 444
정신질환과 신경전달물질 = 445
제11장 약물과 중독(Drugs and Addiction) = 450
약물은 생물학적 과정을 변화시키는 화학물질이다 = 453
약물과 활성 = 453
체내 약물의 진입 경로 = 454
체내 약물 분포 = 457
체내로부터 약물 제거 = 457
약물 수용체와 세포 작용 = 462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 = 463
정신에 영향을 주는 향정신성 약물 = 465
아편과 아편 수용체 = 466
마리화나와 THC 수용체 = 467
니코틴과 니코틴 수용체 = 467
암페타민 : 노르에피네프린 작용제 = 468
LSD : 세로토닌 작용제 = 468
카페인 : 일반적인 세포 자극제 = 469
알코올 : CNS 진정제 = 469
대다수의 향정신성 약물은 중독성이다 = 472
의존성과 금단 현상 = 472
뇌 보상 중심부와 약물 탐닉 행위 = 473
약물 내약력성 = 477
약물 남용은 건강은 해친다 = 478
약물 사용자의 건강에 대한 약물 영향 = 478
배아기와 태아 발달에 대한 약물 영향 = 483
국민 건강 문제로서의 약물 남용 = 485
제12장 몸과 마음(Mind and Body) = 492
몸과 마음은 상호작용을 한다 = 495
면역계는 건강을 유지한다 = 497
면역계와 림프계 순환 = 497
면역세포의 발달 = 499
면역 능력의 획득 = 501
항원 제거 기작 = 503
면역반응의 종결 = 505
수동면역과 내재 면역 = 506
염증과 상처의 치유 = 508
해로운 면역반응 = 508
면역반응의 가소성 = 511
신경내분비계는 뉴런과 내분비선으로 구성된다 = 513
자율신경계 = 513
스트레스 반응 = 516
이완반응 = 518
위약 효과 = 519
신경내분비계는 면역계와 상호 반응한다 = 521
공유하는 시토카인 = 522
면역기관에 위치하는 신경 말달 = 522
시토카인의 기능 연구 = 523
스트레스와 면역계 = 524
스트레스 반응에서의 개인적인 차이 = 526
면역계의 조건반사 학습 = 528
면역반응의 자발적 조절 = 528
제13장 HIV와 에이즈(HIV and AIDS) = 534
에이즈(AIDS)는 면역계의 결핍을 뜻한다 = 537
에이즈는 HIV라는 바이러스가 일으킨다 = 538
HIV와 AIDS를 잇는 연결고리의 발견 = 539
인과관계의 확립 = 542
바이러스와 HIV = 545
병독성의 진화 = 549
HIV 감염은 일정 양상으로 진행되어 대부분 에이즈로 진전한다 = 551
감염된 보조 T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일 = 551
HIV 감염에서 에이즈로 진행 = 552
HIV 감염에 대한 검사 = 555
에이즈에 대한 백신은? = 558
에이즈 보유자를 위한 약물 치료법 = 560
HIV 전반에 대한 지식은 에이즈의 위험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준다 = 562
위험성을 내재한 습관 = 563
전염성 = 564
감수성 대 고위험성 = 567
공중 보건과 공공 정책 = 569
전세계적인 감염 양상 = 573
제14장 식물과 작물(Plants and Crops) = 580
식물은 태양의 에너지를 포획하여 많은 유용한 산물을 생산한다 = 583
사람에게 유용한 식물의 산물 = 583
광합성 = 584
식물 산물을 위해 필요한 질소 = 590
식물체는 독특한 조직과 수송 기작을 사용한다 = 596
식물 조직의 분화 = 596
식물의 수분 수송 = 599
다양한 제한 요인을 극복함으로써 작물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 604
비료 = 604
토양의 개선과 보존 = 607
관개 = 608
수경재배 = 609
화학적 해충 방제 = 610
통합적 해충 관리 = 614
인위 선택을 통한 식물의 개조 = 617
유전공학을 통한 식물의 개조 = 619
제15장 생물다양성과 위협받고 있는 서식지(Biodiversity and Threatened Habitats) = 634
생태학적·진화학적 과정의 결과 만들어진 생물다양성 = 637
생물다양성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638
인류와 생물 다양성의 상호 의존 = 639
멸종에 의해 생물다양성이 감소된다 = 642
멸종의 유형 = 646
멸종 유형의 분석 = 643
오늘날 멸종의 위기에 처한 생물 = 650
일부 지역은 지역 전체가 위협받고 있다 = 652
열대우림 파괴 = 653
사막화 과정 = 664
서식지 가치 = 666
오염은 지구상의 많은 생물을 위협한다 = 672
오염원의 조사, 측정 그리고 방지 = 672
대기 오염 = 674
산성비 = 674
오염된 지역이라도 복원은 가능하다 = 677
기름 오염의 생물복원 = 677
오폐수의 생물복원 = 679
음용수의 처리 = 681
비용과 편익 = 68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