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과학사와 과학교육
제1장 과학사 교수·학습의 의의 = 13
1. 과학사 교수·학습의 중요성 = 13
2. 과학교육과 과학철학 = 18
3. 과학교육과 과학사 = 20
3-1. 과학의 다양한 측면 = 21
3-2. 과학적 방법 = 23
3-3. 개념학습 = 24
3-4. 과학과 인문학의 다리 = 2...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과학사와 과학교육
제1장 과학사 교수·학습의 의의 = 13
1. 과학사 교수·학습의 중요성 = 13
2. 과학교육과 과학철학 = 18
3. 과학교육과 과학사 = 20
3-1. 과학의 다양한 측면 = 21
3-2. 과학적 방법 = 23
3-3. 개념학습 = 24
3-4. 과학과 인문학의 다리 = 28
4. 과학사적 교수의 한계와 과제 = 29
제2장 낙하운동 개념의 과학사적 교수·학습 = 31
1. 낙하운동 개념과 역사적 변천 = 32
1-1.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론 = 32
1-2. 임페투스 이론 = 33
1-3. 갈릴레이의 낙하운동론 = 35
2. 낙하운동에 대한 학생의 오개념 = 36
2-1. 무거운 물체가 더 빨리 떨어진다 = 37
2-2.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속력에 비례한다 = 38
2-3. 운동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 39
2-4. 힘은 물체의 타고난 또는 획득된 성질이다 = 41
3. 과학사를 통한 낙하운동의 학습 = 41
3-1. 낙하운동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학생의 오개념 사이의 유사성 = 41
3-2. 과학사를 이용한 학습지도 방안 = 43
제3장 대기압 개념에 대한 과학사적 교수·학습 = 51
1. 공기에 대한 연구의 시작 = 51
2. 대기압 실험과정의 역사 = 53
2-1. 엠페도클레스와 스트라토 = 53
2-2. 토리첼리 = 54
2-3. 파스칼 = 55
2-4. 게리케 = 56
2-5. 뉴코멘과 와트 = 56
2-6. 오토와 벤즈 = 57
3. 대기압에 대한 학생의 오개념 = 57
4. 과학사를 통한 교수·학습 과정 = 60
제4장 과학적 발견의 우선 논쟁과 과학의 윤리적 측면 = 68
1. 밀리칸의 유적실험 = 69
2. 플레처의 유서와 유적실험의 진행 = 70
3. 노벨상과 진실 = 73
4. 과학학습에의 활용방안 = 75
제2부 과학사와 과학철학
제5장 과학사의 시대별 발달사 = 83
1. 과학의 탄생과 그리스, 알렉산드리아, 로마의 과학 = 84
2. 중세의 과학과 아랍 세계의 과학 = 86
3. 과학혁명, 그 의미와 내용 = 87
4. 과학의 국가적 스타일 = 90
5. 현대 과학과 과학의 나아갈 길 = 91
제6장 과학철학의 기본 개념 = 94
1. 정신현상의 분류와 거시적 학문 분류화 = 94
2. 인식의 정의 = 96
2-1. 인식과 진리 = 98
2-2. 인식과 믿음 = 99
2-3. 인식과 정당화 = 101
3. 인식론과 심리학의 관계 = 103
4. 인식론과 존재론의 관계 = 104
5. 인식론과 의미론의 관계 = 105
6. 인식론과 논리학의 관계 = 107
7. 과학적 지식과 인식론의 정의 = 112
제7장 과학인식론의 주요 패러다임 = 116
1. 플라톤의 인식론 = 116
1-1. 형상과 감각 대상의 구분 : 인식의 가능성을 위한 일차적 조치 = 116
1-2. 상기와 믿음 : 인식의 정의를 위한 보다 근원적인 모색 = 117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식론 = 120
2-1. 인식과 정의 = 120
2-2. 플라톤의 인식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식론의 차이 : 초월과 내재 = 122
2-3. 감각지각과 인식의 기원 = 123
3. 헬레니즘 시대의 인식론 = 125
3-1. 에피쿠로스의 인식론 = 125
3-2. 스토아 학파의 인식론 = 127
3-3. 회의학파의 인식론 = 127
3-4. 신플라톤주의의 인식론 = 128
4. 중세의 인식론 = 129
4-1. 보편 실재론 = 130
4-2. 보편 개념론 = 131
4-3. 보편 유명론 = 132
5. 근세 합리론 = 134
5-1. 데카르트의 인식론 = 134
5-2. 스피노자의 인식론 = 136
5-3. 라이프니츠의 인식론 = 139
6. 영국 경험론 = 142
6-1. 로크의 인식론 = 143
6-2. 버클리의 인식론 = 145
6-3. 흄의 인식론 = 147
7. 18세기의 과학과 칸트의 인식론 = 151
7-1. 칸트 인식론의 위치 = 151
7-2. 판단의 분류 = 153
7-3. 공간과 시간 = 155
7-4. 오성의 범주, 도식 그리고 원리 = 158
7-5. 칸트 인식론의 역사적 의미 :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과 선험적 판단 = 167
8. 현대 과학철학의 방향 = 169
8-1. 과학적 발견의 논리 = 169
8-2. 과학 혁명의 구조 = 171
8-3. 포스트모던 과학 = 172
제3부 과학혁명적 사건
제8장 원자론과 원자모형 = 177
1. 원자론의 시대적 변천사 = 177
1-1. 고대 원자론 = 177
1-2. 근대 원자론 = 181
2. 원자모형의 시대적 변천사 = 183
2-1. 돌턴의 원자모형 = 183
2-2. 톰슨의 원자모형 = 183
2-3. 러더퍼드의 원자모형 = 185
2-4. 보어의 원자모형 = 188
2-5. 현대의 원자모형 = 190
제9장 역학의 변천 - 고전 역학과 양자역학 = 191
1. 아리스토텔레스의 역학 = 192
2. 고전 역학의 등장과 뉴턴 = 194
2-1. 뉴턴 이전의 고전 역학 = 194
2-2. 뉴턴과 고전 역학 = 197
2-3. 뉴턴 과학의 수용과 주요 논쟁들 = 200
3. 양자 역학의 등장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 202
3-1. 양자 역학의 성립 = 203
3-2.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 = 207
제10장 진화와 진화론 = 212
1. 진화 = 213
1-1. 화석에 의한 증거 = 214
1-2. 발생상의 증거 = 214
1-3. 비교 해부학상의 증거 = 215
1-4. 분포상의 증거 = 215
1-5. 분류상의 증거 = 216
2. 생명의 기원에 대한 가설 = 216
2-1. 창조론 = 216
2-2. 자연발생론 = 217
2-3. 진화론 = 218
2-4. 진화론의 발달 = 221
제11장 대륙이동설 = 235
1. 알프레드 베게너 = 236
2. 대륙의 짜맞춤 = 237
3. 육교설과 대륙이동설 = 238
4. 지각평형설 = 239
5. 반대자들과 지지자들 = 241
6. 대륙의 대류 = 243
7. 판구조론 = 244
7-1. 해저확장설 = 244
7-2. 판의 경계 = 246
7-3. 해양판의 이동 = 246
제12장 화학의 혁명 - 원소 발견 및 근대 화학의 확립 = 248
1. 고대 화학 - 연금술 = 249
2. 의화학의 발달 = 251
3. 보일의 사상과 순수 화학의 독립 = 252
4. 플로지스톤 가설 = 253
4-1. 플로지스톤 가설을 지지한 이유 = 255
4-2. 플로지스톤설의 악영향 = 256
5. 새로운 기체 발견 = 257
5-1. 기체의 수상채집 = 257
5-2. 탄산가스 = 258
5-3. 질소 = 259
5-4. 수소 = 260
5-5. 산소 = 261
5-6. 프리스틀리와 산소 기체 = 261
6. 라부아지에와 화학혁명 = 263
6-1. 라부아지에 = 263
6-2. 4원소 전환설 부정 = 265
6-3. 물 조성의 확정 = 266
6-4. 플로지스톤설 부정 = 266
6-5. 질량불변의 법칙 확립 = 268
6-6. 화학 용어의 개혁 및 원소표의 정리 = 268
7. 돌턴의 원자가설 = 270
8. 화학 법칙의 탄생 = 272
8-1. 일정성분비의 법칙 = 272
8-2. 기체반응부피의 법칙 = 274
8-3. 아보가드로의 분자가설 = 276
부록
참고문헌 = 281
과학사 연표 = 296
색인 = 29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