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머리말
제1부 농경생활의 역사적 이해
제1장 농업기술의 역사적 전개 = 15
1. 농업기술의 생활사적 파악 = 15
2. 원시농경의 발생과 전개 = 17
3. 철제·축력농기구를 통한 농업혁명 = 20
4. 휴한농법의 점진적 극복 = 23
5. 연작상경농법의 보편화 = 25
6....
목차 전체
<pre>
머리말
제1부 농경생활의 역사적 이해
제1장 농업기술의 역사적 전개 = 15
1. 농업기술의 생활사적 파악 = 15
2. 원시농경의 발생과 전개 = 17
3. 철제·축력농기구를 통한 농업혁명 = 20
4. 휴한농법의 점진적 극복 = 23
5. 연작상경농법의 보편화 = 25
6. 기술개발과 집약농업의 확립 = 28
7. 신기술의 기계화영농 = 32
제2장 소 이용의 방식과 농업기술사 = 35
1. 머리말 = 35
2. 소의 길들이기 관행 = 39
3. 소의 이용법과 작업 방식 = 41
4. 소 이용의 농업기술사적 의의 = 51
5. 맺음말 = 64
제3장 호미의 변천 분화와 농업기술의 진전 = 69
1. 머리말 = 69
2. 호미의 두 계열 : 장병서와 단병서 = 73
3. 밭호미에서 논호미의 분화 = 82
4. 호미의 지역성과 농법의 비교 = 94
5. 맺음말 = 111
제4장 五穀 개념의 변천과 중시의 문화적 배경 = 115
1. 머리말 = 115
2. 곡식 종류에 관한 여러 집합개념 = 116
3. 한정적 오곡 개념 = 123
4. 명목적 오곡 개념 = 128
5. 문화현상에 나타난 오곡 = 132
6. 오곡 개념의 변천과 혼란 = 142
7. 오곡 개념이 중시된 사회문화적 배경 = 146
8. 맺음말 = 149
제2부 농경생활의 문화적이해
제5장 소 사육의 관행과 농가경제적 의미 = 155
1. 머리말 = 155
2. 소 사육과 보호의 관행 = 162
3. 소 사육의 산물과 그 효용 = 172
4. 농가경제와 소 사육의 의미 = 188
5. 맺음말 = 196
제6장 水稻作 기술의 문화로서 보의 축조와 이용 = 199
1. 머리말 = 199
2. 조사지의 환경과 특성 = 202
3. 환경적응적인 보의 축조기술 = 206
4. 보 관리와 관개방식의 공동체적 함의 = 218
5. 보에 의한 농업경제 변화 = 225
6. 맺음말 = 238
제7장 논매기의 기술과 농경문화적 의의 = 243
1. 머리말 = 243
2. 조사지의 농업경제적 배경 = 247
3. 공동 논매기의 방식과 논호미의 특성 = 250
4. 논매기의 효율 증대를 위한 유희와 음식 = 258
5. 논매기의 종료를 축하하는 의례 = 264
6. 논매기 문화복합체의 구조와 해체 = 269
7. 맺음말 = 273
제8장 기술과 공동체의식의 변화로 본 水稻재배관행 = 275
1. 머리말 = 275
2. 조사지 농업의 배경과 현대기술의 도입 = 280
3. 작업방법과 농기구의 변화 = 285
4. 노동력 동원형태의 변화 = 285
5. 농경작업 시기와 시간의 변화 = 295
6. 농경유희의 변화 = 300
7. 농경의례의 변화 = 306
8. 맺음말 : 논의를 겸하여 = 309
제9장 농업노동과 놀이의 관련 양상과 그 의미 = 315
1. 머리말 = 315
2. 노동과 놀이의 접점 = 317
3. 노동과 놀이의 결합양상 = 320
4. 노동과 놀이의 분리양상 = 325
5. 노동 놀이 결합의 사적 검토 = 328
6. 노동과 놀이의 농업생산적 상보 논리 = 333
7. 맺음말 = 338
제3부 농업전통의 변용과 재창조
제10장 기계모심기보다 선호되는 현대식 손모심기 = 343
1. 머리말 = 343
2. 조사지역의 자연과 사회경제 조건 = 346
3. 기계모심기의 기술적 과정과 의의 = 352
4. 현대식 손모심기의 기술적 과정과 선호 배경 = 361
5. 맺음말 = 368
제11장 농업생산의 전통과 미래형 농업 = 371
1. 머리말 = 371
2. 우리 농업이 발전해온 여정 = 372
3. 전통농업의 계승과 새로운 지향 = 383
4. 맺음말 = 392
참고문헌 = 395
찾아보기 = 405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