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Chapter 1 미생물학의 소개
1. 미생물학의 발달 = 14
(1) 고대 미생물학 = 14
(2) 근대 미생물학 = 15
(3) 현대 미생물학 = 16
(4) 우리나라 미생물학의 연구 발전 = 17
2. 미생물실험 = 18
(1) 현미경 = 18
(2) 염색법 = 21
3. 생물체를 구성하는 물질 = 23
Chapter ...
목차 전체
목차
Chapter 1 미생물학의 소개
1. 미생물학의 발달 = 14
(1) 고대 미생물학 = 14
(2) 근대 미생물학 = 15
(3) 현대 미생물학 = 16
(4) 우리나라 미생물학의 연구 발전 = 17
2. 미생물실험 = 18
(1) 현미경 = 18
(2) 염색법 = 21
3. 생물체를 구성하는 물질 = 23
Chapter 2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1. 원핵 생물 = 34
1) 원핵세포 = 34
2) 진핵세포 = 48
2. 미생물학의 위치 = 57
(1) 미생물의 분류체계 = 57
1) 미생물의 분류 = 57
2) 미생물의 명명법과 분류 방법 = 58
3) 박테리아의 분류 = 62
3. 진핵생물 = 83
(1) 균류 = 83
1) 분류체계 = 86
2) 균류의 특성 = 87
3) 진균류아문 = 90
4) 변형균아문 = 98
5) 균류와 다른 생물간의 공생관계 = 99
6) 균류와 인간과의 관계 = 99
(2) 동물성 원생생물(원생동물) = 100
(3) 조류 = 105
Chapter 3 바이러스
1. 바이러스의 일반적 특성 = 110
2. 바이러스의 분류 = 114
1) 바이러스의 분류체계 = 115
2) 바이러스 배양과 정량 = 119
3. 바이러스 증식 = 122
1) 박테리오파아지의 증식 = 123
2) 동물성 바이러스의 증식 = 127
3) 식물성 바이러스의 증식 = 132
4) 비로이드와 프리온 = 133
5) 바이러스와 암 = 136
Chapter 4 생장과 조절
1. 미생물의 영양 = 142
2. 미생물 배양 = 143
3. 미생물의 증식 = 148
4. 미생물의 생장과 환경요인 = 152
5. 미생물의 생장 억제 = 159
6. 항미생물제 = 166
Chapter 5 미생물 대사
1. 물질대사 = 182
(1) 효소 = 182
(2) ATP = 186
(3) 산화환원 전위 = 188
2. 호흡대사 = 190
(1) 산소호흡(Aerobic respiration) = 190
1) 포도당 대사 = 190
2) 지방 산화 = 219
3) 단백질 산화 = 223
(2) 혐기성 호흡 = 226
(3) 발효 = 229
Chapter 6 독립 영양 생물
1. 화학 독립영양 생물 = 236
2. 박테리아의 광합성 = 241
(1) 광합성 색소 = 241
(2) 광화학 반응(Photochemical Reaction) = 244
(3) CO₂고정(CO₂Fixation) = 250
2. 질소 고정(N₂Fixation) = 253
Chapter 7 생합성
Chapter 8 미생물과 환경
1. 미생물 생태학 = 280
2. 생화학적 순환 = 286
3. 오염물질의 생물학적 개선 = 292
Chapter 9 미생물 유전
1. 유전물질 = 306
(1) 유전물질의 구조와 기능 = 306
(2) 염색체(Chromosome) = 321
2. 박테리아 유전 = 330
3. 박테리오파아지 유전 = 354
4. 돌연변이 = 367
5. 유전자 공학 = 382
(1) 유전자 조작 = 382
1) 유전자 공학 이해의 기본 연구 = 382
(2) 세포융합 = 394
(3) 핵치환 및 조직배양 = 396
(4) 유전공학의 응용과 미래 = 397
1) 유전공학의 응용 = 397
2) 유전공학의 미래 = 403
Chapter 10 면역학
1. 면역의 종류 = 406
(1) 면역의 종류 = 406
1) 비특이적 면역(자연, 선천 면역) = 406
2) 특이적 면역(획득 면역) = 415
2. 항체의 종류 = 417
(1) 항원과 항체 = 417
1) 항원 = 417
2) 항체 = 418
3) 항체의 종류 = 421
(2)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와 기관 = 422
1) 면역기관 = 423
2) 면역세포 = 432
3. 면역반응 = 439
(1) 채액성 면역 = 439
(2) 세포성 면역(Cell-mediated immunity) = 440
(3) 항원항체반응 = 441
(4) 항체 생산 = 445
4. 면역과 질병 = 451
(1) 과민반응(Hypersensitivity) = 452
1) 제Ⅰ형 : 급성형 과민반응 = 452
2) 제Ⅱ형 : 세포독성 과민반응 = 453
3) 제Ⅲ형 : 면역복합체 과민반응 = 454
4) 제Ⅳ형 : 세포매개(지연성) 과민반응 = 456
(2) 면역결핍성 질환 = 457
1) 일차 면역결핍성 질환(선천성) = 457
2) 이차 면역결핍성 질환(후천성) = 457
(3) 자가면역장애와 이식면역 = 462
1) 자가면역장애 = 462
2) 이식면역 = 463
5. 암과 면역 = 469
6. 면역반응의 응용 = 478
Chapter 11 병원 미생물
1. 질병을 일으키는 과정 = 492
1) 박테리아성 질병 유발과정 = 492
2) 바이러스성 질병 유발과정 = 494
2. 피부질환 = 494
1) 박테리아성 감염질환 = 495
2) 균류 감염질환 = 498
3) 바이러스성 피부감염질환 = 500
3. 호흡계통 질환 = 505
1) 박테리아성 감염질환 = 505
2) 균류 감염질환 = 511
3) 바이러스성 감염질환 = 513
4. 소화계통 질환 = 516
(1) 소화계의 구조와 기능 = 516
(2) 구강 질환 = 516
(3) 위장 질환 = 519
1) 박테리아성 감염질환 = 519
2) 바이러스 감염질환 = 527
3) 원생동물성 감염질환 = 531
5. 비뇨ㆍ생식계통 질환 = 533
1) 박테리아성 질환 = 533
2) 균류 감염 질환 = 539
3) 바이러스성 감염질환 = 540
6. 신경계통 질환 = 541
1) 박테리아성 신경질환 = 542
2) 균류 감염성 신경질환 = 546
3) 원생동물성 감염질환 = 547
4) 바이러스 감염 신경질환 = 549
5) 프리온과 질환 = 552
7. 혈액 또는 면역계 질환 = 556
1) 박테리아성 감염질환 = 556
2) 바이러스 감염질환 = 560
3) 원생동물 감염질환 = 561
Chapter 12 미생물 응용
1. 식품의 보관 = 568
2. 미생물에 의한 식품 생산 = 572
(1) 장류 = 572
(2) 식초류 = 577
(3) 김치 = 578
(4) 유제품(Milk products) = 579
(5) 알코올 음료 = 582
1) 발효주 = 582
2) 증류주 = 587
3. 조미료 = 590
4. 비타민 C와 생장 호르몬 제조 = 592
참고문헌 = 599
찾아보기 = 60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