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역자 서문 = 5
한국어판 저자 서문 = 7
저자 서문 = 8
감사의 글 = 11
제1장 개관 = 21
1. 계획의 필요성 = 21
2. 계획의 주요 관심내용 = 21
3. 계획가는 누구인가? = 24
4. 만족과 불만족 = 25
5. 이 책의 내용과 구성 = 25
제1부 현대 도시계획의 배경과 발전
제2장 미국의 도시화 = 29
1. ...
목차 전체
목차
역자 서문 = 5
한국어판 저자 서문 = 7
저자 서문 = 8
감사의 글 = 11
제1장 개관 = 21
1. 계획의 필요성 = 21
2. 계획의 주요 관심내용 = 21
3. 계획가는 누구인가? = 24
4. 만족과 불만족 = 25
5. 이 책의 내용과 구성 = 25
제1부 현대 도시계획의 배경과 발전
제2장 미국의 도시화 = 29
1. 19세기의 도시화 = 29
1) 도시성장의 힘 = 30
2) 도시집중과 밀도 = 31
3) 분산화의 시작 = 35
2. 20세기 도시화 추세 = 37
1) 도시성장과 대공황 = 38
2) 교외지역으로의 대이동 = 38
3) 지역적 변화 = 41
4) 중심도시의 침체시대 = 41
5) 도시와 빈곤 = 42
6) 1990년대의 추세 = 45
3. 요약 = 46
참고문헌 = 46
제3장 계획의 역사(Ⅰ) = 47
1. 미국개척시대 = 47
2. 제한된 수단과 성장의 문제점 = 50
3. 개혁에 대한 압력 = 51
1) 위생개혁 = 51
2) 도시개방공간 = 53
3) 주거개혁 = 54
4) 도시개량의 전통 = 56
5) 도시예술운동 = 56
6) 도시미화운동 = 57
4. 현대도시계획의 탄생 = 59
5. 사유재산권의 공적인 통제 = 61
1) 지역지구제 확산 = 61
2) 지역사회 기본계획의 발전 = 63
6. 지역과 주 계획의 출현 = 65
7. 광대한 구상 = 69
8. 요약 = 72
참고문헌 = 73
제4장 계획의 역사(Ⅱ) = 74
1. 계획과 대공황 = 74
2. 전후 시대 = 78
1) 도시계획의 확대 = 78
2) 도시재개발 = 79
3) 고속도로계획시대 = 79
4) 환경계획 = 80
5) 성장억제와 성장관리 = 81
6) 주 광역계획의 발전 = 82
7) 경제개발계획 = 82
8) 스마트 성장(smart growth)의 도전 = 83
9) 계획과 공공안전 = 84
3. 요약 = 86
참고문헌 = 86
제2부 현대 도시계획의 구조와 내용
제5장 계획의 법적 근거 = 91
1. 헌법상의 틀 = 91
1) 권한과 한계 = 92
2. 사유재산에 대한 공공통제 = 93
3. 주정부의 법률제정 = 102
1) 주 계확과의 법적인 연계 = 103
4. 연방의 역할 = 104
1) 연방정부의 책임위임 = 106
5. 요약 = 107
참고문헌 = 107
제6장 계획과 정치 = 108
1. 왜 계획은 정치적인가? = 108
2. 계획가와 권력 = 110
3. 권력의 분해 = 112
4. 계획의 유형 = 113
1) 중립적인 공무원으로서의 계획가 = 114
2) 지역사회 합의 형성자로서의 계획가 = 114
3) 기업가로서의 계획가 = 115
4) 옹호자로서의 계획가 = 116
5) 급진적 변화의 주체로서의 계획가 = 117
5. 계획기관은 어떻게 조직되는가? = 117
1) 계획 컨설턴트 = 119
2) 대중에게의 접근 = 120
6. 요약 = 121
참고문헌 = 121
제7장 사회적 쟁점 = 123
1. 주택계획에 있어서 사회적 쟁점 = 124
1) 민간 공동단지 건립 사례 = 128
2) 노숙자문제 = 132
3) 다른 사회적 쟁점들 = 134
2. 사회계획은 누가 담당할 것인가? = 136
3. 요약 = 136
참고문헌 = 136
제8장 종합계획 = 138
1. 종합계획의 목표 = 138
2. 종합계획 과정 = 141
1) 계획 조사 = 142
2) 지역사회의 목표 설정 = 145
3) 계획 수립 = 146
4) 계획 실행 = 147
5) 재검토와 수정 = 147
3. 요약 = 148
참고문헌 = 149
제9장 토지이용계획 수단 = 150
1. 공공자본투자 = 150
1) 자본비용조달 = 151
2. 토지이용규제 = 153
1) 획지분할규제 = 154
2) 지역지구제 = 155
3) 최근 발전된 지역지구제 = 166
4) 지방의 토지이용규제형태 = 176
3. 자본투자와 토지이용규제의 연계 = 17
4. 지방정부의 규제권한 = 179
1) 상위당국의 토지이용규제 = 180
2) 상위 당국에서의 규제는 왜 필요한가? = 180
5. 요약 = 181
참고문헌 = 182
제3부 분야별 계획
제10장 도시설계 = 185
1. 도시설계란 무엇인가? = 187
2. 도시설계과정 = 192
1) 분석 = 192
2) 종합 = 194
3) 평가 = 194
4) 집행 = 195
3. 양질의 도시설계란? = 195
1) 근린지구개념 = 201
4. 교외도시의 재계획 = 203
5. 에지시티(Edge City) = 206
6. 미래도시의 전망 = 209
7. 요약 = 212
참고문헌 = 213
제11장 도시재개발과 지역사회개발 = 214
1. 도시재개발 = 215
1) 도시재개발의 기원 = 216
2) 목표와 실제 = 218
3) 도시재개발 정책의 평가 = 221
2. 지역사회개발 = 224
1) 도시재개발과 지역사회개발의 비교 = 227
3. 주택문제 = 228
4. 주택계획 = 230
1) 연방정부의 요구조건 = 231
2) 주택계획의 종합접근방식 = 232
3) 주택계획이 얼마나 효과적인가? = 232
5. 요약 = 233
참고문헌 = 234
제12장 교통계획 = 235
1. 최근의 도시교통추세 = 235
2. 교통부문의 지출 = 238
3. 교통계획과 토지이용 = 239
4. 교통계획과정 = 240
1) 대도시 교통모델 = 241
2) 정책의사결정 = 245
3) 대중교통계획 = 248
5. 연방정부의 역할변화 = 249
6. 교통시스템의 조절 = 251
1) 통행수요관리 = 251
7. 지능화 고속도로와 교통수단, 그리고 새로운 교통수단 = 251
8. 요약 = 255
참고문헌 = 256
제13장 경제개발계획 = 257
1. 역사적 배경 = 258
2. 지역경제개발에 대한 시각 = 259
1) 지역경제개발에 대한 연방정부의 개입 = 259
3. 주정부의 경제개발 노력 = 263
4. 지역경제개발 프로그램 = 266
1) 중요한 차이 = 267
2) 경제성장을 위해 지역사회가 할 수 있는 일 = 267
3) 경제개발계획에 대한 체계적 접근 = 269
5. 향후 전망 = 271
6. 요약 = 272
참고문헌 = 273
제14장 성장관리계획 = 274
1. 성장관리의 기원 = 275
2. 성장관리의 역학 = 277
3. 성장관리의 승자와 패자 = 282
1) '기득권 보호' 문제 = 283
4. 지역 성장관리 프로그램의 예 = 284
5. 주정부 차원의 성장관리 = 288
6. 성장관리, 찬성인가 반대인가? = 294
7. 요약 = 294
참고문헌 = 295
제15장 환경계획과 에너지 계획 = 296
1. 환경계획의 문제 = 296
2. 국가 차원의 환경개선 = 297
3. 지구의 기후변화문제 = 300
1) 부시 행정부의 환경정책 = 302
4. 환경계획에 대한 정부간 정황 = 304
1) NEPA의 절차 = 306
5. 환경계획에서의 정치, 경제적 쟁점 = 309
1) '슈퍼펀드'의 사례 = 310
2) 우호적 비판론 = 312
3) 비우호적인 비판론 = 313
6. 지역의 환경계획 = 314
1) 물리적 환경 분석 = 314
7. 환경계획의 사례 = 317
8. 에너지 계획 = 320
9. 요약 = 323
참고문헌 = 324
제16장 대도시권지역계획 = 326
1. 정치적 문제 = 326
2. 대도시권지역계획의 역사 = 328
1) 공공사업기관 = 328
2)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광역계획 = 329
3) 자치단체협의회 = 330
3. 미니애폴리스 - 세인트폴: 두 도시의 한 이야기 = 332
1) 무엇이 이루어졌는가? = 334
4. 뉴욕ㆍ뉴저지항만청 = 335
1) 폐해는 없는가? = 340
5. 애틀랜타지역위원회 = 341
6. 요약 = 343
참고문헌 = 344
제17장 미국의 국토계획 = 345
1. 미국에 국토계획이 있는가? = 345
2. 정착패턴 = 346
3. 철도망의 건설 = 348
4. 물과 서부 = 349
1) 과거 서부의 치수정책 = 354
5. 체계적 지역계획 = 356
6. 주간 고속도로체계 = 358
7. 교외개발보조 = 362
1) 교외화와 과세정책 = 363
2) 이러한 것들이 과연 계획인가? = 364
8. 토지관리 = 364
9. 요약 = 366
참고문헌 = 367
제18장 다른 나라의 도시계획 = 368
1. 서유럽의 도시계획 = 368
1) 영국의 도시계획 = 371
2) 프랑스의 도시계획 = 379
3) 네덜란드의 도시계획 = 383
4) 스칸디나비아의 도시계획 = 386
5) 독일의 도시계획 = 391
2. 동유럽의 도시계획 = 395
3. 제3세계 도시계획 = 397
1) 주택확보를 위한 도시계획 = 400
4. 요약 = 403
참고문헌 = 404
제19장 계획이론 = 405
1. 이론은 필요한가? = 405
2. 공공계획과 민간계획의 차이 = 407
3. 계획과정 = 408
1) 합리모형 = 408
2) 점진모형 = 412
3) 절충모형 = 414
4. 옹호계획 = 416
5. 좌파계획과 우파계획 = 418
1) 우파의 견해 = 419
2) 좌파의 견해 = 421
6. 요약 = 425
참고문헌 = 42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