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펴면서 = 3
제1장 정상 태반분화와 발육 = 17
1. 태아측 태반의 발달 = 18
2. 모체측 태반의 발달 = 21
3. 태아측 태반의 구조 = 22
4. 모체 자궁태반 순환계 = 23
5. 모체 혈액 순환계와 태아-태반소엽과의 관계 = 24
6. 태반 융모의 조직소견 = 26
제2장 태반착상에 관여하는 인자 = 32
1. 동물실...
목차 전체
목차
책을 펴면서 = 3
제1장 정상 태반분화와 발육 = 17
1. 태아측 태반의 발달 = 18
2. 모체측 태반의 발달 = 21
3. 태아측 태반의 구조 = 22
4. 모체 자궁태반 순환계 = 23
5. 모체 혈액 순환계와 태아-태반소엽과의 관계 = 24
6. 태반 융모의 조직소견 = 26
제2장 태반착상에 관여하는 인자 = 32
1. 동물실험 모델 = 33
2. Cytokines와 이들의 수용체 양상 = 34
3. 임신을 위한 자궁의 준비 = 35
1) 호르몬은 Cytokines 유전자 표현을 조절한다 = 36
2) Cytokines는 자궁 조혈세포를 조절한다 = 36
3) 자궁에 주는 기타 Cytokines 자극 신호 = 37
4. 수정란의 성숙과 발전에 관여하는 Cytokines = 37
5. 포배 부착과 착상에 관여하는 Cytokines = 38
6. 인간 세포영양막의 침습 = 39
7. Cytokines 신호를 통한 모체의 임신 인식 = 40
8. 모체-태아 면역학 = 41
1) 태아-태반 단위가 면역학적 생존을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 42
2) 모체 면역의 수동적 이동 = 43
3) 경태반 면역 = 43
제3장 태반 및 태아의 생리현상 = 48
1. 태반 생리 = 48
1) 태반의 대사 및 성장 = 48
2) 태반물질 이동 = 50
3) 태반의 혈액순환 = 55
2. 태반의 면역학적 성상 = 56
3. 양수의 용적 = 57
4. 태아생리 = 59
1) 성장과 신진대사 = 59
2) 태아혈액 순환 = 61
3) 태아신장 = 67
4) 태아 위장관 계통 = 68
5) 태아부신과 갑상서 = 69
6) 태아 중추신경계 = 70
제4장 태반 호르몬과 대사작용 = 75
1. 인간 태아-태반 단위의 생산물질 = 76
2. 태반 생산물질의 대사효과 특성에 따른 문제점 = 78
3. 태반 생산물질의 모체대사 영향 = 80
1) 모체 대사에 영향이 적은 태반 생산물질 = 80
2)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의 효과 = 80
3) hPL의 영향 = 81
4) 태반 성장 호르몬 효과 = 84
5) 태반 protein 5의 영향 = 84
6) 태반 protein 12의 영향 = 84
4. 모체대사에 관련된 태반 생산물의 임상적 의의 = 85
제5장 제대혈관의 생리현상 = 95
1. 제대혈관 수축의 기전 = 96
2. 제대동맥의 폐쇄 = 98
3. 제대 각 근섬유의 기능 = 99
4. 논쟁의 정리 = 101
제6장 제대혈 가스 분석 = 105
1. 태아 산-염기 생리현상 = 106
2. 주산기 질식 = 107
3. 제대혈 채위 = 108
4. 제대혈 가스분석 결과의 해석 = 110
5. 제대혈 가스분석의 임상적 이용 = 113
1) 비정상적 FHR형태 = 113
2) 지연임신 = 114
3) 다태임신 = 115
4) 태변착색된 양수 = 115
5) 진통의 결과 = 115
6) 양막강내 감염 = 116
6. 분만방법 = 116
7. 둔위분만 = 117
8. 제대혈 산-염기 분석을 위한 혈액채취 protocol = 117
제7장 태반이상 = 123
1. 태반은 태아질환을 반영한다 = 124
1) 양막의 이상 = 124
2) 태반병변과 태아성장 제한, 반복유산 및 태아사망 = 128
3) 수증 = 132
4) 태반은 기형을 반영한다 = 132
5) 자궁내 태아사망 = 133
2. 양수과다증 = 134
1) 빈도 = 134
2) 원인 = 135
3) 증상 = 135
4) 진단 = 135
5) 예후 = 136
6) 치료 = 136
3. 양수과소증 = 136
1) 원인과 예후 = 136
4. 태반형성 이상 = 137
1) 다발성 태반 = 137
2) 부태반 = 138
3) 링 모양 태반 = 138
4) 막양 태반/산재 태반 = 138
5) 창문 태반 = 138
6) 외융모성 태반 = 138
7) 대형 태반 = 139
8) 태반용종 = 139
9) 서양 제기채상(배드민턴 모양) 태반 = 139
10) 난막태반 = 139
5. 순환계 이상 = 140
1) 태반경색 = 140
2) 태반 석회화 = 140
3) 태아 동맥 혈전증 = 141
6. 제대이상 = 141
1) 제대의 발육이상 = 141
2) 제대부착의 이상 = 143
3) 제대의 물리적 손상, 혈류장애 유발 = 144
7. 태반은 모체질환을 반영한다 = 147
1) 모체의 질환과 태반병리 = 148
제8장 태반의 외과병리 검사 = 151
1. 태반조직등록 = 152
2. 병리검사를 위한 태반조직 취급과 처리 = 154
3. 육안적 검사 = 155
1) 다태임신의 태반검사 = 158
2) 쌍태아 수혈 증후군 = 159
4. 태반이상의 임상적 측면 = 160
5. 자궁내 감염에 대한 태반 반응 = 163
6. 진단과 치료에 중대한 태반변화 = 166
7. 사산아의 태반검사 = 167
제9장 전치태반 = 174
1. 빈도와 원인 = 175
2. 진단 = 177
3. 처치 = 179
제10장 주산기 태아 질식의 병태생리 = 187
1. 주산기 태아 질식의 정의 = 188
2. 병태생리 = 189
1) 혈류역동 변화 = 190
2) 태아 가스 교환과 pH조절 = 193
3) 내분비성 조절 = 196
4) 신진대사 조절 = 196
5) 뇌기능 조절 = 197
6) 심한 질식에 대한 반응 = 197
3. 질식동안 뇌손상의 발생기전 = 198
1) 산증의 발생 = 199
2) 세포 독성산의 축적 = 199
3) 산소 라디칼 형성과 칼슘 이온 독성 = 199
4) 허혈성 손상에 따르는 세포내 칼슘의 변화 = 201
5) 허혈성 손상에 따르는 세포막 인지질의 변화 = 202
4. 자궁내 감염, Cytokines, 뇌실주위 백질연화증과 뇌성마비 = 210
5. 태아 뇌손상의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혈핵학적 지표 = 211
제11장 임신중 일산화질소의 역할 = 217
1. 일산화질소 생산량 측정 = 219
2. 일산화질소 생산 억제와 작용 = 220
3. 정상임신에서의 혈관조절 = 220
1) 모체-태아 및 태반 혈관 = 220
2) 정상임신중 NO생산 = 222
3) NO와 제대/태반 순환계 = 222
4) NO와 자궁의 긴장 = 223
4. 일산화질소와 자궁혈류 = 225
5. 일산화질소와 임신 전자간증 = 226
1) 병태생리 = 226
6. 혈관내피 기능장애의 증거 = 227
7. 일산화질소 pathway에 관한 실험 = 230
8. 임신 전자간증의 선별 = 232
제12장 모체 혈액순환 속의 태아세포 = 243
1. 태아세포를 함유한 모체혈액 획득 = 245
1) 세포표면 표식자 = 247
2. 세포증강 테크닉 = 248
3. 유전학적 분석-기회와 문제점 = 250
4. 검사의 타당성과 정도관리 표준에 대한 설정 수용 = 253
5. 모체 순환 속의 태아세포 검사 내용 = 256
6. 제대혈이식의 임상적 응용 = 256
7. 세포분열 중간기의 세포내 핵산 교잡 = 258
제13장 착상 전 산전진단 = 268
1. 미세조작 = 269
2. 접합자의 유전학적 분석 = 271
3. 분할구 생검 = 273
4. 포배 생검 = 274
5. 윤리적 사회적 문제 = 274
제14장 양수천자, 융모세포 생검 및 태아혈 채취검사 = 279
1. 양수천자 = 279
1) 양수천자의 기법 = 280
2) 양수천자의 위험과 합병증 = 281
3) 다태임신의 양수천자 = 284
4) 임신초기 양수 천자 = 285
2. 융모세포 생검 = 286
1) 경관식 융모세포 생검 = 286
2) 경복식 융모세포 생검 = 288
3) 경질식 융모세포 생검 = 289
3. 태아혈 채취 = 291
1) 제대천자의 적응증 = 292
2) 제대천자의 술식 = 294
3) 태아혈액 가검물 평가 = 295
4) 제대천자 위험도와 합병증 = 295
4. 태아피부 생검 = 297
5. 태아수혈 방법 = 298
6. 제대혈 채취의 국내 현실 단면 = 300
제15장 도플러 초음파와 태아-태반 안녕평가 = 306
1. 제대순환 = 310
1) 정상임신의 제대순환 = 311
2) 제대순환계 혈류속도파형해석을 얻기 위한 실험 연구 = 313
3) 비정상 제대 도플러 FVW의 병태생리 = 315
4) 고위험 임신에서 비정상 제대 도플러 FVW의 임상적 관련성 = 316
5) 제대 도플러 FVW와 특수 임신 합병증 = 319
2. 제대 정맥 용적 혈류검사 = 321
3. 제대 도플러와 태아안녕 검사와의 관계 = 322
4. 기타 태아 도플러 검사 = 324
1) 태아동맥 = 324
2) 태아 뇌출혈 순환 = 325
3) 모체 자궁순환 = 325
제16장 태반의 초음파 영상 = 335
1. 태반의 발생 = 335
2. 정상 초음파 소견 = 337
3. 태반형태 = 339
4. 태반위치 = 340
5. 태반이상의 초음파 소견분류 = 343
6. 태반의 도플러 평가 = 347
제17장 양수용적의 생리적 조절 = 351
1. 임신기간 양수용적 변화 = 352
2. 양막강 수분 출입 경로 = 352
3. 역사적 조망 = 353
4. 특수경로를 통한 양수흐름 = 354
5. 양수용적 조절 = 356
6. 저산소증이 양수용적에 미치는 영향 = 357
제18장 양수의 평가 = 360
1. 양수의 생리학적 측면 = 360
2. 양수용적 평가를 위한 새로운 수기 = 362
3. 양수용적의 이상 = 365
1) 양수과다증 = 365
2) 양수과소증 = 366
3) 임상적 적용 = 367
제19장 양수를 이용한 태아숙성 검사 = 377
1. 표면 활성물질의 조성 = 379
2. 태아 폐성숙 평가 = 379
1) 폐표면 활성물질의 생화학적 정량 = 379
3. 표면활성물질 기능의 생물리적 측정 = 383
1) 양수혼탁도 검사 = 384
4. 고위험 임신의 태아 폐성숙 검사 평가 = 385
1) 폐성숙이 가속되는 임신상태 = 385
2) 지연된 폐성숙과 관련된 임신상태 = 386
3) 기타 고위험 임신 상태 = 388
4) 양수용적의 이상 = 389
제20장 양수과다증 = 393
1. 정의 = 393
2. 빈도 = 394
3. 원인 = 395
4. 모체/태아 합병증 = 395
5. 평가 = 396
6. 치료선택 = 397
1) 직접 태아치료 = 397
2) 보존적 처치 = 398
3) 연속적 양수천자 = 398
4) 프로스타글란딘 합성효소 억제제 = 398
21장 양수과소증 : 초음파 진단과 임상적 응용 = 407
1. 양수의 형성 = 407
2. 양수용적의 초음파 평가 = 409
3. 양수과소증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 = 412
4. 양수과소증의 원인 = 414
5. 임신 제2분기 양수과소증 = 415
6. 조기파수 = 415
7. 자궁내 성장제한 = 416
8. 과숙아 증후군 = 417
9. 태아기형 = 417
제22장 조기파수 = 423
1. 파수의 이유는 무엇인가? = 428
1) 정상 융모막 조직소견 = 428
2) 생물리적 연구 = 429
3) 생화학적 자료 = 430
2. 임상적 위험 인자 = 431
1) 과거 만기전 조기파수 = 433
2) 질출혈 = 433
3) 흡연 = 433
3. 양막강내 미생물 침입 = 438
1) 세균동정 = 438
2) 진통과 미생물 침입과의 관계 = 438
3) 감염 경과 = 439
4) 결과 = 439
5) 미생물 침입 : 조기 파수의 원인인가 결과인가 = 440
4. 태반조기박리 = 440
5. 진단 = 441
6. 일차적인 처치 = 443
1) 비수축 검사, NST = 444
2) 양수용적 = 445
3) 태아호흡운동 = 446
4) 태아전신운동 = 447
5) 생물리계수, BPP = 447
7. 융모양막염 = 448
8. 만기 조기파수 = 449
9. 만기전 조기파수 = 452
10. 임신중기 조기파수 = 463
제23장 임신중기 조기파수의 처치 = 482
1. 빈도 = 483
2. 원인 = 483
3. 조기파수의 진단 = 485
4. 일반적인 조기파수 처치 = 486
1) lowa대학의 보존적 처치 = 486
2) Maryland 대학의 만기전 조기파수의 처치 = 487
5. 합병증 = 487
6. 예방적 항생제 투여 문제 = 488
1) 만기전 조기파수의 항생제 치료 = 489
2) 항생제의 선택 = 490
7. 만기전 조기파수와 태아 폐성숙 문제 = 491
8. Glucocorticoid 투여문제 = 493
9. 전문적인 처치 = 496
10. 초미숙아의 산과적 처치 = 499
제24장 만기전 조기파수에서 양막낭내 수액 주입 = 505
1. 새로운 진전 = 506
2. 양막내 수액 주입 = 507
3. 만기전 조기파수시 양막낭내 수액주입 = 507
1) 융모양막염 = 508
2) 제대압박 = 509
4. 양막내 수액주입의 기타효과 = 509
1) 개선된 초음파 영상 = 509
2) 인공폐표면활성제 양막내 주입 = 510
3) 양막내 수액주입의 위험/금기증 = 511
4) 양막낭내 수액주입의 결점 = 511
5) 고정용 경관 카테터 = 511
제25장 다태임신 = 516
1. 다태임신의 산전관리 = 518
1) 조기진단 = 518
2) 임상진단 = 518
3) 초음파 진단 = 519
4) 산전관리 = 525
5) 산전방문 및 태아평가 = 526
6) 양수천자 = 526
7) 모체합병증 = 527
8) 일측 사산아 처치 = 528
9) 산전합병증 = 528
2. 진통관리 = 529
3. 분만관리 = 531
1) 분만을 위한 준비 = 531
2) 분만절차 및 계획 = 531
3) 분만수기 = 534
4) 예기치 못한 다태아 처치 = 535
5) 산후관리 = 535
제26장 다태임신과 선택적 유산 = 539
1. 환자와 술식의 선택 = 541
1) 자궁경관 진공흡인술 = 541
2) 경질 흡입술 = 541
3) 경복부 KCI주입 = 541
4) MFPR의 예후 = 543
5) 불임치료와 다태임신 = 543
6) MFPR 이후의 임신관리 = 544
2. 윤리적 문제 = 544
1) 옵션 : 손상의 정도 = 544
2) 다태 배아수 줄이기와 유산권리 = 545
3. 예방 = 545
4. 선택적 임신중절 = 546
제27장 쌍태아 수혈 증후군 = 550
1. 진단 = 551
1) 임상증상 = 551
2) 초음파 소견 = 551
3) 신생아 진단범주 = 552
4) 태아혈채취 = 552
2. 병태생리 = 553
1) 태아소변의 양수용적 조절 역할 = 553
2) 태반 해부학 = 554
3) 수분-삼투압 변화도 = 556
4) 기타기전 = 556
5) 심장 기능장애 = 557
6) 뇌혈류 관류 = 557
3. 쌍생아 수혈 증후군의 치료 = 558
1) 보존적 치료 = 558
2) 내과적 치료 = 559
3) 양수용적 축소 = 559
4) 레이저 분리술 = 560
4. 태아 안락사 = 561
제28장 태반과 제대의 외과수술 = 566
1. 태반과 제대를 위한 특수외과 장비와 물품 = 567
1) 태아경 = 567
2) 레이저 분리 = 571
3) 혈전형성 코일 = 572
4) 봉합술 = 573
5) 혈관내 용액주입 = 573
2. 태아수술 = 574
제29장 태반원인에 의한 태아기형 = 580
1. 원발성 태아기형 = 581
1) 체부착경 기형 = 583
2) 제대형성부전을 동반한 하지 복벽 결손기형 = 585
3) 무심증 = 585
2. 일산성 쌍태아에 관련된 기형 = 587
1) 융합 쌍태아 = 587
2) 쌍태아 수혈증후군 = 587
3. 태반파열 = 587
1) 사지단축결손과 융모세포 생검술 = 587
2) 양막 대 증후군 = 589
3) 지연된 양막파열과 양수과소증 후유증 = 589
4) 언어기형 = 590
5) 제한적 태반 모자이시즘(CPM)과 Uniparental Disomy = 591
제30장 임신중 체중증가와 에너지 섭취 = 596
1. 최근 임신부 체중증가 권장사항 = 598
2. 임신부 체중증가와 건강 예후 = 599
1) 태아성장 = 599
2) 쌍태아에서 태아예후 = 599
3) 기타임신 예후 = 599
4) 산후 체중감소 = 600
3. 모체체중 증가는 매우 변화가 많다 = 601
4. 모체 특성의 영향 = 601
1) 임신전 체중-대-신장 = 601
2) 모체신장 = 602
3) 모체민족, 인종 = 602
4) 사춘기 = 602
5) 기타사항 = 603
6) 에너지 섭취 = 603
5. 임상 가이드 라인 = 605
제31장 영양이 태아성장에 미치는 영향 = 609
1. 산전 태아성장과 발육 = 609
1) 태반의 역할 = 611
2) 손상된 태아성장의 양상 = 612
2. 태아성장에 미치는 모체인자 = 613
1) 수태 전과 유년기 인자 = 613
2) 사회 인구학적 특성 = 613
3) 육체적 활동과 스트레스 = 615
4) 산과력 = 615
5) 인체측정 인자 = 616
6) 임신부의 식사 = 619
제32장 염분과 임신 = 622
1. 염분요구와 임신 = 624
1) 혈청 소디움 = 624
2) 소디움 배설 조절 = 624
2. 소디움 배설을 증가시키는 인자들 = 625
1) 사구체 여과율(GFR)의 증가 = 625
2) 황체호르몬 = 625
3) Arginine vasopressin = 625
4) 심방 소디움 요배설 항진인자 = 625
3. 소디움 배설을 감소시키는 인자들 = 626
1) 알도스테론 = 626
2) Deoxycorticosterone = 626
3) Renin-Angiotensin 시스템 = 627
4) 자세의 변화 = 627
5) 요관폐쇄효과 = 627
4. 소디움 조절과 임신전자간증 = 628
1) 신장생리와 임신전자간증 = 628
2) 혈장용적 변화 = 628
3) 호르몬 변화 = 628
4) 심방 소디움 요배설 항진인자 = 628
5) 소디움 전달 방해물질들 = 629
5. 염분섭취, 고혈압과 임신 = 629
1) 비임신 여성에서 염분제한 = 629
2) 소디움 부하, 제한과 임신 = 630
6. 임신중 이뇨제 사용 = 633
제33장 임신중 미량 영양물질 = 641
1. 철분 = 644
1) 임신중 철분요구량 = 644
2) 철분 결핍의 영향 = 644
3) 철분상태의 평가 = 645
4) 권장된 출분 섭취량 = 645
2. 아연 = 647
1) 임신중 zinc 요구량 = 647
2) 임신중 zinc 결핍 영향 = 647
3) Zinc상태의 평가 = 648
4) 권장되는 zinc 섭취량 = 649
3. 셀레니움 = 649
1) 임신중 Selenium 요구량 = 649
2) Selenium 부족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649
3) Selenium 상태의 평가 = 651
4) 임신중 selenium 섭취 권장량 = 650
4. 요오드 = 650
1) 임신중 요오드 결핍의 영향 = 650
2) 임신중 요오드와 갑상선 호르몬 대사 = 651
3) 임신중 요오드 상태의 평가 = 651
4) 임신중 요오드 섭취 권장량 = 651
5. 구리 = 652
제34장 산후 체중 변화 = 655
1. 산후 체중 변화 = 656
1) 산후 1-3개월간 체중감소 = 656
2) 산후 6-12개월간 체중감소 = 657
2. 산후 체중 변화에 미치는 위험인자 = 658
1) 산전 체중 증가 = 658
2) 모유 수유 = 658
3) 기타 위험인자 = 658
3. 운동과 식사조절 = 661
1) 운동 = 661
2) 식사조절 = 662
3) 임상적 권장사항 = 662
한글색인 = 665
영문색인 = 70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