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4
제1부 계급과 역사
제1장 한국의 계급과 신분
1. 머리말 = 17
2. 일제하의 계급과 신분질서 = 20
3. 봉건적 계급질서의 동요 : 미군정과 한국전쟁 = 26
4. 발전국가, 계급구조의 재편 및 새로운 신분집단 = 31
5. 세계화와 계급관계의 국제적 확장 = 39
6. 결론 = 42
제2장 미군정기 계급
...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4
제1부 계급과 역사
제1장 한국의 계급과 신분
1. 머리말 = 17
2. 일제하의 계급과 신분질서 = 20
3. 봉건적 계급질서의 동요 : 미군정과 한국전쟁 = 26
4. 발전국가, 계급구조의 재편 및 새로운 신분집단 = 31
5. 세계화와 계급관계의 국제적 확장 = 39
6. 결론 = 42
제2장 미군정기 계급
1. 머리말 = 45
2. 탈식민지 주변부 사회의 계급과 계층 = 48
3. 미군정기 한국의 계급구조 = 53
4. 결론 = 73
제3장 계급과 계층연구사
1. 한국 사회학과 불평등 연구 = 77
2. 해방 이전의 계층론과 계급론 = 80
3. 신분과 계층 연구 :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 = 82
4. 계급의 재발견 : 계급 담론의 폭발 = 87
5. 계급과 계층 연구 방법의 혁신 = 96
6. 계급 및 계층에 대한 관심의 퇴조와 연구의 심화 = 102
7.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불평등에 대한 재인식 = 112
8. 맺음말 = 114
제2부 계급과 불평등
제4장 계급과 임금
1. 머리말 = 121
2. 계급과 소득 불평등 = 124
3. 자료 및 분석 = 135
4. 결론 = 154
제5장 한국의 사회계급과 불평등
1. 머리말 = 157
2. 사회적 불평등에 관한 계급론적 접근 = 160
3. 한국사회 불평등의 특수성 = 166
4. 사회계급별 자산과 소득 실태 = 175
5. 결론 = 184
제6장 지역과 불평등 : 서울시 사례 연구
1. 머리말 = 189
2. 서울의 불평등 : 계급과 지역 = 191
3. 결론 = 212
제3부 경제위기와 계급구조
제7장 IMF 경제위기와 계급구조의 변화
1. 문제제기 = 217
2. 경제위기와 계급구성의 변화 = 219
3. 실업자는 어느 계급으로부터 왔는가 = 232
4. 실업자의 계급분석 = 235
5. 결론 = 240
제8장 중산층 위기
1. 머리말 = 243
2. 중산층은 누구인가 = 246
3. 중산층 위기의 실체 = 247
4. 노동시장의 동요와 중산층의 고용불안 = 256
5. '중산층 신화'의 위기 = 261
6. 동요하는 사회 = 264
참고문헌 = 268
찾아보기 = 28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