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Ⅴ
책을 옮기며 = VI
역자소개 = Ⅵ
1부 운동생리학
1장 운동생리학의 역사와 미래
1. 유럽의 운동생리학 역사 = 4
2. 하버드피로연구소 = 4
3. 건강체력 = 6
4. 체육교육에서 운동과학 = 8
5. 운동생리학 분야의 연구와 대학원 = 8
6. 체육협회와 학회지 = 9
7. 운동생리학의 현장적용 = 10...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Ⅴ
책을 옮기며 = VI
역자소개 = Ⅵ
1부 운동생리학
1장 운동생리학의 역사와 미래
1. 유럽의 운동생리학 역사 = 4
2. 하버드피로연구소 = 4
3. 건강체력 = 6
4. 체육교육에서 운동과학 = 8
5. 운동생리학 분야의 연구와 대학원 = 8
6. 체육협회와 학회지 = 9
7. 운동생리학의 현장적용 = 10
8. 한국 운동생리학의 발자취 = 11
2장 인체 내부의 환경조절
1. 항상성 : 역동적 안정성 = 16
2. 신체 조절체계 = 17
3. 조절체계의 원리 = 18
1) 부적피드백 = 18
2) 조절체계의 긍정적 효과 = 19
4. 항상성 조절의 예 = 19
1) 동맥혈압의 조절 = 19
2) 혈당조절 = 20
3) 항상성 조절을 위한 스트레스 단백질의 역할 = 21
5. 운동 : 항상성 조절의 예 = 21
3장 생체에너지학
1. 세포구조 = 24
2. 생물학적 에너지 전환 = 25
1) 세포의 화학적 반응 = 26
2) 산화-환원반응 = 27
3. 운동을 위한 에너지원 = 29
1) 탄수화물 = 29
2) 지방 = 30
3) 단백질 = 30
4. 고에너지 인산염 = 31
5. 생체에너지학 = 31
1) 무산소성 ATP 생산 = 33
2) 유산소성 ATP 생산 = 35
6. 유산소성 ATP의 계산 = 42
7. 산화적 인산화의 효율성 = 42
8. 생체에너지 조절 = 43
1) ATP-PC 체계의 조절 = 44
2) 해당과정의 조절 = 44
3) 크렙스 사이클과 전자전달계 조절 = 44
9. 유산소성 및 무산소성 ATP 생산의 상호작용 = 46
4장 운동대사
1. 안정시에서 운동으로 전환 = 50
2. 운동 후 회복기 : 대사 반응 = 51
3. 운동에 따른 대사적 반응 : 강도와 지속시간의 영향 = 53
1) 단시간의 고강도 운동 = 53
2) 장시간 운동 = 54
3) 점증부하 운동 = 54
4. 운동 중 연료이용의 평가 = 57
5. 연료선택의 결정요인들 = 58
1) 운동강도와 연료선택 = 58
2) 운동시간과 연료선택 = 59
3) 지방/탄수화물대사의 상호작용 = 60
4) 신체연료 = 61
5장 운동과 호르몬 반응
1. 신경내분비학 = 68
1) 혈액 호르몬 농도 = 69
2) 호르몬과 수용기 상호작용 = 70
2. 호르몬 : 조절과 활동 = 72
1)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 72
2) 갑상선 = 75
3) 부갑상선 = 76
4) 부신 = 76
5) 췌장 = 79
6) 고환과 난소 = 79
3. 운동시 기질 동원을 위한 호르몬 조절 = 84
1) 근육의 당원 이용 = 84
2) 운동시 혈당의 항상성 = 85
3) 호르몬과 기질의 상호작용 = 92
6장 일ㆍ파워ㆍ에너지소비량 측정
1. 측정단위 = 98
1) 미터법 = 98
2) 국제단위체계(SI) = 98
2. 일과 파워 = 98
1) 일 = 98
2) 파워 = 99
3. 일과 파워의 측정 = 100
1) 벤치스텝 = 100
2) 자전거 에르고미터 = 100
3) 트레드밀 = 100
4. 에너지소비량의 측정 = 102
1) 직접열량측정법 = 102
2) 간접열량측정법 = 103
5. 에너지소비량 평가 = 104
6. 운동효율성 계산 = 106
1) 운동효율성의 영향요인 = 107
7. 효율적인 달리기 = 108
7장 신경계 : 신경의 구조와 운동조절
1. 일반적인 신경계의 기능 = 112
2. 신경계의 조직 = 112
1) 신경원의 구조 = 112
2) 신경원의 전기적 활동 = 113
3. 감각정보와 반사 = 117
1) 고유수용기 = 118
2) 근화학수용기 = 119
3) 반사 = 119
4. 신체 운동 기능 = 120
5. 전정기관과 균형 = 121
6. 뇌의 운동조절 기능 = 121
1) 뇌간 = 121
2) 대뇌 = 122
3) 소뇌 = 122
7. 척수의 운동 기능 = 122
8. 운동 기능의 조절 = 123
9. 자율신경게 = 125
10. 운동에 의한 두뇌건강 향상 = 125
8장 골격근 :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1. 골격근의 구조 = 128
2. 근신경 연접 = 129
3. 근수축 = 130
1) 근세사활주설 이론의 개요 = 130
2) 수축을 위한 에너지 = 133
3) 자극-수축작용 조절 = 133
4. 섬유 형태 = 137
1) 골격근의 생화학적 특성 = 137
2) 근섬유 형태의 특성 = 139
3) 근섬유 형태와 수행능력 = 140
5. 운동을 통한 근섬유 형태의 변화 = 141
6. 연령 변화에 따른 골격근 변화 = 141
7. 근수축 = 142
8. 근수축과 이완속도 = 144
9. 근육의 힘 조절 = 145
10. 힘-속도/파워-속도의 상관관계 = 146
11. 근육 내 수용체 = 147
1) 근방추 = 147
2) 골지건기관 = 149
9장 운동 중 순환계 반응
1. 심혈관계 = 154
1) 심장구조 = 154
2) 폐순환과 체순환 = 155
2. 심장 : 심근과 심장주기 = 155
1) 심근 = 155
2) 심장주기 = 156
3) 동맥혈압 = 158
4) 심장의 전기적 활동 = 159
3. 심박출량 = 161
1) 심박수의 조절 = 162
2) 1회 박출량의 조절 = 164
4. 혈액 동역학 = 166
1) 혈액의 물리적 특징들 = 166
2) 압력, 저항, 혈류 간의 상관관계 = 166
3) 혈관저항의 원인 = 167
5. 운동 중 근육으로의 산소운반 = 167
1) 운동 중 심박출량의 변화 = 167
2) 운동 중 동정맥 산소함유량의 변화 = 168
3) 운동 중 혈액의 재분배량 = 170
4) 운동 중 국부 혈류량의 조절 = 170
6. 운동시 순환계의 반응 = 171
1) 감정적인 영향 = 171
2) 안정시에서 운동으로의 전환 = 171
3) 운동으로부터의 회복 = 171
4) 점진적인 운동 = 171
5) 팔운동과 다리운동 = 172
6) 간헐적인 운동 = 173
7) 장시간의 운동 = 173
7. 운동에 대한 심혈관반응의 조절 = 174
10장 운동 중 호흡조절
1. 폐의 기능 = 178
2. 호흡계의 구조 = 178
1) 공기 전달영역 = 179
2) 호흡 교환기관 = 180
3. 호흡의 원리 = 181
1) 홉기 = 181
2) 호기 = 181
3) 기도 저항 = 181
4. 폐에서의 환기 = 184
5. 폐용적과 폐용량 = 185
6. 가스의 확산 = 186
7. 폐로의 혈류 = 187
8. 환기와 폐혈액 관류의 관계 = 188
9. 혈액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 189
l)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운반 = 189
2) 산화형 헤모글로빈의 해리곡선 = 189
3) 근육 내 산소의 운반 = 191
4)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운반 = 192
10. 환기와 산ㆍ염기 조절 = 193
11. 운동 중 호흡과 혈액-가스의 변화 = 194
1) 안정시에서 운동시로의 전환 = 194
2) 고온에서 장시간 운동 = 194
3) 점진적 운동 = 194
12. 호흡조절 = 196
l) 안정시 호흡조절 = 196
2) 최대하 운동시 호흡조절 = 198
3) 고강도 운동시 호흡조절 = 198
13. 폐는 최대운동 수행능력을 제한할까? = 199
11장 운동 중 산ㆍ염기 평형
1. 산, 염기, 산도 = 206
2. 운동 중 수소이온의 변화 = 207
3. 운동 중 산ㆍ염기조절의 중요성 = 208
4. 산ㆍ염기 완충체제 = 208
1) 세포 내 완충제 = 208
2) 세포 외 완충제 = 209
5. 호흡계가 산ㆍ염기 평형에 미치는 영향 = 210
6. 신장을 통한 산ㆍ염기 평형조절 = 210
7. 운동 중 산ㆍ염기 평형조절 = 210
12장 체온조절
1. 운동 중 열평형 = 216
2. 운동 중 체온 측정 = 216
3. 열생성과 열손실 = 217
1) 열생성 = 217
2) 열손실 = 217
4. 체온 자동조절 장치 : 시상하부 = 219
1) 발열로 인한 시상하부 열조절 장치의 변화 = 220
5. 운동 중 체온 변화 = 220
6. 고온에서의 운동 = 221
1) 고온에서의 운동수행 = 222
2) 성별과 연령에 따른 열조절 차이 = 225
3) 열순응 = 225
4) 열순응에 따른 손실 = 226
7. 추위에서의 운동 = 226
1) 추위의 순응 = 227
13장 트레이닝 생리학 최대산소섭취량, 경기력, 항상성, 근력의 효과
1. 트레이닝의 원리 = 233
1) 과부하의 원리 = 233
2) 특이성의 원리 = 233
2. 트레이닝의 연구 방법 = 233
3. 지구력 운동과 최대산소섭취량 = 234
l) 트레이닝과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 = 234
4. 최대산소섭취량 : 심박출량과 동정맥산소차 = 235
1) 1회 박출량 = 236
2) 동정맥산소차 = 238
5 . 트레이닝 중지와 최대산소섭취량 = 239
6. 지구력 트레이닝이 경기력과 항상성에 미치는 영향 = 239
1) 생화학적 적응현상과 산소결핍 = 240
2) 생화학적 적응현상과 혈장 포도당 농도 = 242
3) 생화학적 적응현상과 혈중 pH = 243
4) 생화학적 적응현상과 젖산제거 = 244
7. 지구력 트레이닝 : 근육과 계통생리학 = 245
1) 말초신경 순환계 = 247
2) 중추명령의 체계 = 247
8. 근력 트레이닝의 생리적 효과 = 248
9. 근력을 증가시키는 생리적 기전 = 248
l) 신경적인 요인 = 249
2) 근육의 크기 증대 = 249
3)근비대와 근섬유 증식 = 249
4) 근력과 지구력 트레이닝 = 250
2부 건강과 체력 생리학
14장 건강과 질병의 유형 : 역학과 생리학
1. 역학 = 258
2. 관상동맥질환 = 260
1) 위험인자로서 신체적 비활동성 = 261
3. 생리학 = 262
4. 결론 = 264
15장 심폐 기능 평가
1. 검사 절차 = 268
1) 의학적 검사 = 268
2) 안정시와 운동시 측정 = 270
2. 심폐 기능 평가를 위한 현장검사 = 270
1) 최대달리기검사 = 270
2) 걷기검사 = 271
3) 캐나다 가정 체력검사 = 272
3. 운동부하검사 : 측정 변인 = 273
1) 심박수 = 273
2) 혈압 = 273
3) 심전도 = 273
4) 운동자각도 = 274
5) 종료 기준 = 275
4. 최대산소섭취량 = 276
1) 최대운동시 최대산소섭취량의 평가 = 277
2) 최대하 수준의 심박수 반응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의 평가 = 277
5. 운동부하검사 : 방법 = 278
1) 트레드밀 = 279
2) 자전거 에르고미터 = 280
3) 스텝검사 = 283
16장 건강과 체력을 위한 운동처방
1. 운동처방 = 288
1) 운동량과 반응 = 289
2) 신체활동과 건강 = 290
2. 체력 증진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 = 291
1) 사전조사 = 291
2) 발달단계 = 291
3) 준비운동, 정리운동, 스트레칭 = 292
3.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 = 292
1) 빈도 = 292
2) 지속시간 = 292
3) 강도 = 293
4. 신체활동 단계 = 295
1) 걷기 = 295
2) 조깅 = 296
3) 게임과 스포츠 = 298
5. 근력과 유연성 훈련 = 299
6. 환경 관련 요인 = 299
17장 성인병을 위한 운동
1. 당뇨병 = 302
1) 운동과 당뇨병 = 302
2. 천식 = 306
1) 원인 진단 = 306
2) 천식의 예방과 회복 = 307
3) 운동 유발성 천식 = 307
3. 만성 폐쇄성 폐질환 = 309
1) 검사와 훈련 = 309
4. 고혈압 = 310
5. 심장재활 = 311
1) 환자분류 = 311
2) 검사 = 311
3) 운동 프로그램 = 312
4)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312
6. 노인의 운동 = 312
7. 임산부의 운동 = 315
18장 건강을 위한 신체 구성과 영양
1. 영양 목표 = 322
2. 영양기준 = 323
3. 영양소의 종류 = 324
1) 물 = 324
2) 비타민 = 325
3) 무기질 = 328
4) 탄수화물 = 329
5) 지방 = 333
6) 단백질 = 335
4. 음식섭취 권장기준과 식이 목표 달성 = 335
1) 식품군 계획 = 335
2) 식이 평가 = 337
5. 신체 구성 = 337
1) 신체 구성의 측정 방법 = 338
2) 신체 구성의 두 가지 구성 성분 체계 = 340
3) 건강과 체력을 위한 체지방 = 344
6. 비만과 체중조절 = 345
1) 비만 = 345
7. 식이요법, 운동 그리고 체중조절 = 348
1) 에너지와 영양균형 = 348
2) 식이와 체중조절 = 350
3) 에너지 소비와 체중조절 = 351
3부 경기력 향상을 위한 생리학
19장 경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피로 원인 = 366
1) 중추 피로 = 367
2) 말초 피로 = 367
2. 최대 무산소성 운동수행 능력 제한요인 = 371
1) 초단시간의 운동수행(10초 미만) = 371
2) 단시간의 운동수행(10∼180초) = 371
3. 최대 유산소성 운동수행 능력 제한 요인 = 372
1) 단시간대의 운동수행(3∼20분) = 372
2) 중시간대의 운동수행(21∼60분) = 373
3) 장시간대의 운동수행(1∼4시간) = 374
4. 운동선수의 잠재적 능력 = 374
20장 운동능력 평가를 위한 검사
1. 운동능력의 실험실 평가 = 378
1) 생리학적 검사 : 이론과 윤리 = 378
2. 생리학적 검사의 가치 = 378
3. 생리학적 검사의 제한점 = 379
4. 효과적인 생리학적 검사의 구성 요소 = 379
5. 직접적인 최대유산소 파워검사 = 380
1) 검사의 특이성 = 380
2) 운동검사 프로토콜 = 380
3) 장애 운동선수의 최고산소섭취량 결정 = 381
6. 지구성 운동수행 능력 실험실 예측검사 = 381
1) 운동수행 능력 평가를 위한 젖산역치의 이용 = 382
2) 임계파워의 측정 = 383
7. 운동효율 검사 = 384
8. 젖산역치와 달리기 효율성을 이용한 장거리 달리기의 경기 결과 예측 = 385
9. 무산소성 파워의 결정 = 386
1) 초단시간 최대 무산소성 파워검사 = 386
2) 단시간 무산소성 파워감사 = 388
10. 근력의 평가 = 390
1) 근력검사 방법의 선택기준 = 390
2) 등척성 근력측정 = 390
3) 등장성 근력측정 = 391
4) 등속성 근력측정 = 391
5) 가변성 근력측정 = 392
21장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1. 트레이닝 원리 = 398
1) 과부하, 특이성, 가역성 = 398
2) 성별, 초기의 체력 수준, 유전의 영향 = 399
2. 트레이닝의 구성 요소 : 준비운동, 본운동, 정리운동 = 400
3. 유산소성 파워 향상 트레이닝 = 400
1) 인터벌 트레이닝 = 401
2) 장거리, 저강도 운동 = 402
3) 고강도, 지속성 운동 = 402
4. 지구성 트레이닝과 상해 = 403
5. 무산소성 파워 향상 트레이닝 = 403
1) ATP-PC 시스템 향상 트레이닝 = 403
2) 해당작용 시스템 향상 트레이닝 = 403
6. 근력 향상 트레이닝 = 404
1) 점증부하 운동 = 405
2) 근력 트레이닝의 원리 = 405
3) 프리 웨이트와 머신 웨이트 = 406
4) 근력과 지구성 복합 훈련 프로그램 = 407
5) 근력 트레이닝의 반응에 있어 성별차이 = 407
6) 근육통 = 408
7. 유연성 향상 트레이닝 = 408
8. 운동선수의 연간 컨디셔닝 = 411
1) 휴식기 컨디셔닝 = 411
2) 시즌 전 컨디셔닝 = 411
3) 시즌기 컨디셔닝 = 411
9. 트레이닝 오류 = 412
22장 여성선수, 아동, 특정 집단을 위한 트레이닝
1. 엘리트 여성선수의 훈련 중 고려사항 = 418
1) 운동과 생리장애 = 418
2) 트레이닝과 생리 = 418
3) 여성선수와 식이장애 = 419
4) 여성선수와 골 무기질 장애 = 420
5) 임신 중 트레이닝 = 420
2. 아동을 위한 스포츠 컨디셔닝 = 421
1) 트레이닝과 심폐계 = 421
2) 트레이닝과 근골격계 = 421
3. 당뇨병 환자를 위한 트레이닝 = 422
4. 천식 환자를 위한 트레이닝 = 424
5. 간질과 트레이닝 = 424
1) 운동이 발작을 유발할까? = 424
2) 발작으로 인한 상해의 위험 = 425
23장 영양, 신체 구성 및 운동능력
1. 영양과 운동능력 = 430
1) 탄수화물 = 430
2) 단백질 = 435
3) 물과 전해질 = 437
4) 무기질 = 441
5) 비타민 = 441
6) 운동 전 식사 = 442
2. 신체 구성과 운동능력 = 443
3. 체형 = 443
1) 체지방과 운동능력 = 444
24장 운동과 환경
1. 고지 환경 = 450
1) 대기압 = 450
2) 단시간 무산소성 운동수행력 = 450
3) 장시간 유산소성 운동수행력 = 451
4) 고지대 환경에서의 최대 유산소성 파워 = 452
5) 고지대 적응 = 453
6) 고지대 훈련 = 454
7) 에베레스트 원정 = 455
2. 열 = 459
1) 고체온증 = 459
3. 추위 = 461
1) 환경적 요소 = 461
2) 단열요소 = 463
3) 에너지 생성 = 464
4) 저체온증 = 465
4. 대기오염 = 465
1) 오존 = 465
2) 아황산가스 = 465
3) 일산화탄소 = 465
25장 운동능력 향상 보조물
1. 연구 설계 = 470
2. 영양보충제 = 471
3. 유산소성 운동수행 능력 = 473
1) 산소 = 473
2) 혈액 도핑 = 475
4. 무산소성 운동수행 능력 = 476
1) 혈액 완화제 = 476
5. 약물 = 477
1) 암페타민 = 477
2) 카페인 = 478
3) 코카인 = 481
4) 니코틴 = 481
6. 준비운동 = 483
부록 = 487
부록 A - 산소섭취량과 이산화탄소 생성량의 측정 = 487
부록 B - 다양한 활동의 에너지 평가 = 490
부록 C - 신체활동의 운동처방 = 496
부록 D - 1일 권장량 = 497
부록 E - 1일 미네랄 권장섭취량 = 500
부록 F - 체중과 신장에 따라 권장 에너지 섭취량 = 501
부록 G - 남성의 체지방 평가 : 삼두근, 가슴, 견갑근 하부 피하지방의 합 = 502
부록 H - 여성의 체지방 평가 : 삼두근, 복부, 상장골 피하지방의 합 = 503
용어정리 = 504
찾아보기 = 51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