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정의와 위험
1. 서론 = 21
2.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정의 = 22
1) 목록기준에 의한 정의 = 22
2) 유해성기준에 의한 정의 = 24
3. 산업별 유해폐기물 배출구조 = 28
1) 섬유산업 = 30
2) 피혁산업 = 33
3) 제지산업 = 33
4) 석유산업 = 34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정의와 위험
1. 서론 = 21
2.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정의 = 22
1) 목록기준에 의한 정의 = 22
2) 유해성기준에 의한 정의 = 24
3. 산업별 유해폐기물 배출구조 = 28
1) 섬유산업 = 30
2) 피혁산업 = 33
3) 제지산업 = 33
4) 석유산업 = 34
5) 화학산업 = 35
6) 시멘트산업 = 38
7) 철강산업 = 38
8) 전자산업 = 40
9) 자동차산업 = 40
4.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위험 : 생화학적·의학적 내용 = 42
1) 재생산체계 이상 = 44
2) 암 = 46
3) 면역체계 이상 = 49
4) 신장기능 이상 = 49
5) 간기능 이상 = 50
6) 호흡기계 이상 = 50
7) 신경계 이상 = 51
8) '우선고려대상' 유해물질 = 53
제3장.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배출현황과 전망
1. 서론 = 63
2. 산업계 유해폐기물 발생추이 및 전망 = 65
1) 산업계 유해폐기물 발생추이 = 65
2) 산업계 유해폐기물 발생량 전망 = 68
3. 산업별·성상별 유해폐기물 발생추이 및 전망 = 75
1) 산업별 유해폐기물 발생추이 = 75
2) 성상별 유해폐기물 발생추이 = 79
3) 산업별·성상별 유해폐기물 발생추이 = 81
4) 산업별·성상별 유해폐기물 발생전망 = 85
4. 지역별 유해폐기물 발생추이 및 전망 = 90
1) 지역별 유해폐기물 발생량 추이 = 90
2) 지역별 유해폐기물 발생량 전망 = 92
5. 맺음말 = 95
제4장.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운반 및 처리 : 실태와 과제
1. 서론 = 101
2.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처리실태 = 103
1)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처리방법별 처리실태 = 104
2)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처리주체별 처리실태 = 110
3.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운반 및 처리능력 현황 = 117
1) 지역별 운반업소 및 운반능력 현황 = 118
2) 지역별 처리업소 및 처리능력 현황 = 119
4. 맺음말 = 125
제5장.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 관련제도 및 선진사례
1. 서론 = 129
2.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 관련제도 = 131
1) 산업계 유해폐기물 관리의 책임 = 131
2)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배출 관련제도 = 133
3)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 관련제도 = 135
4)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처리 관련제도 = 138
5) 사후관리 = 142
3. 선진사례 : 미국의 유해폐기물 관련제도 = 144
1)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배출 관련제도 = 147
2)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운반 관련제도 = 150
3)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처리 관련제도 = 154
4. 맺음말 = 163
제6장. 한국의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대안 모색
1. 서론 = 167
2. 유해폐기물 위험정책 : 평가와 과제 = 169
1) 유해폐기물 위험정책의 의의와 필요성 = 169
2) 위험평가(risk assessment)의 절차 = 170
3) 위험평가의 단계별 평가능력현황과 개선방안 = 172
3.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원천적 감량화 및 재자원화 방안 = 175
1) 폐기물의 원천적 감량화 = 175
2) 폐기물의 재자원화 = 179
4. 불법투기 최소화를 위한 대책 = 191
1) 폐기물 불법처리의 유형별 원인 및 실태 = 192
2) 건전한 폐기물처리시장의 육성 = 194
3) 적절한 감시 및 처벌체계의 구축 = 197
4) 지정폐기물 처리 관련제도와 불법투기 = 199
5. 산업단지의 유해폐기물 관리 = 201
1) 산업단지가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위상 = 201
2) 산업단지 환경관리의 일반원칙 = 203
3) 산업단지 환경관리 체계 = 207
4) 산업단지 환경관리의 실무원칙 = 209
6. 지방자치제와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관리 = 212
1) 지방자치제와 산업계 유해폐기물의 처리 = 212
2) 산업계 유해폐기물 처리시설의 입지선정 방안 = 216
7. 산업계 유해폐기물과 국제이동 = 220
1) 유해폐기물의 국경이동에 관한 국제협약 = 220
2) 국내의 유해폐기물 수출입 절차와 현황 = 221
3) 유해폐기물 수출입 관련제도 개선방안 = 223
제7장. 요약 및 결론
부록 = 239
참고문헌 = 253
찾아보기 = 25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