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국문학 공간과 문화콘텐츠

김수복 편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문학 공간과 문화콘텐츠 / 김수복 편저
개인저자김수복.
발행사항서울 : 청동거울, 2005
형태사항351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문화콘텐츠 총서 ;01
ISBN8957490442
기금정보주기이 책은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됨
분류기호811.0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855720 811.09 김수복 한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28 대출가능
2 855721 811.09 김수복 한 c2 보존서고B3 B352-5-2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제1부 문학공간과 문화콘텐츠 
 문학과 공간: 그 이론적 모색=11
 문학공간에 대한 분석적 기술 방법=33
 문학공간 답사와 문학교육=61
 '문화콘텐츠탐사'에 의한 한국문학 공간의 '가상현실'화=83
 디지털콘텐츠로의 문학공간 구현 방법=101

제2부 현대시와 공간 
 현대시와 지형학적 상상력=131
 1990년대 한국시의 공간과 그 전망 =143
 ...

목차 전체

제1부 문학공간과 문화콘텐츠 
 문학과 공간: 그 이론적 모색=11
 문학공간에 대한 분석적 기술 방법=33
 문학공간 답사와 문학교육=61
 '문화콘텐츠탐사'에 의한 한국문학 공간의 '가상현실'화=83
 디지털콘텐츠로의 문학공간 구현 방법=101

제2부 현대시와 공간 
 현대시와 지형학적 상상력=131
 1990년대 한국시의 공간과 그 전망 =143
 장소시의 발견과 창작=170
 정지용 시의 '산'의 공간인식=185
 백석 시의 '집' 의 공간 인식=217
 
제3부 한국현대문학의 현장들
 땅과 우리 문학=247
 문학공간 '임진강'에 대한 갈등론적 시각=258
 기억의 장소에서 변신의 공간으로 =278
  -정호승의 <첨성대>
 문학공간 '현저동'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301
 원심력의 공간에서 구심력의 공간으로 =327
  -윤후명의 소설공간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