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문학공간과 문화콘텐츠
문학과 공간: 그 이론적 모색=11
문학공간에 대한 분석적 기술 방법=33
문학공간 답사와 문학교육=61
'문화콘텐츠탐사'에 의한 한국문학 공간의 '가상현실'화=83
디지털콘텐츠로의 문학공간 구현 방법=101
제2부 현대시와 공간
현대시와 지형학적 상상력=131
1990년대 한국시의 공간과 그 전망 =143
...
목차 전체
제1부 문학공간과 문화콘텐츠
문학과 공간: 그 이론적 모색=11
문학공간에 대한 분석적 기술 방법=33
문학공간 답사와 문학교육=61
'문화콘텐츠탐사'에 의한 한국문학 공간의 '가상현실'화=83
디지털콘텐츠로의 문학공간 구현 방법=101
제2부 현대시와 공간
현대시와 지형학적 상상력=131
1990년대 한국시의 공간과 그 전망 =143
장소시의 발견과 창작=170
정지용 시의 '산'의 공간인식=185
백석 시의 '집' 의 공간 인식=217
제3부 한국현대문학의 현장들
땅과 우리 문학=247
문학공간 '임진강'에 대한 갈등론적 시각=258
기억의 장소에서 변신의 공간으로 =278
-정호승의 <첨성대>
문학공간 '현저동'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301
원심력의 공간에서 구심력의 공간으로 =327
-윤후명의 소설공간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