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e시대의 절대문학을 펴내며 5
1부| 작가·시대·작품론
1장 <서유기>와 나 14
<서유기>를 만나다
2장 <서유기> 작가가 오승은이 아니라고?
노신의 <중국소설사략> 22
오승은 시문집과의 비교 26
명나라 시대 소설가의 지위29
3장 <서유기>는 어떤 시대에 태어났는가?
명나라 시대 34
평등한 질서에 대한 갈망-양명학 37
출판·인쇄의...
목차 전체
e시대의 절대문학을 펴내며 5
1부| 작가·시대·작품론
1장 <서유기>와 나 14
<서유기>를 만나다
2장 <서유기> 작가가 오승은이 아니라고?
노신의 <중국소설사략> 22
오승은 시문집과의 비교 26
명나라 시대 소설가의 지위29
3장 <서유기>는 어떤 시대에 태어났는가?
명나라 시대 34
평등한 질서에 대한 갈망-양명학 37
출판·인쇄의 발달-소설 발전의 촉매제42
늘어난 지식인 실업자 46
4장 <서유기>와 관련된 여러가지 책들
삼장법사와 관련된 책들 50
원숭이의 유래-<라마야나> 56
삼장법사 이야기와 원숭이 이야기의 결합 62
비슷한 시기, 비슷한 내용의 책 세권 65
5장 <서유기>의 소설가적 가치
환상적 세계의 새로운 질서 72
선악이 섞여 있는 재미있는 인물형의 제시 81
6장 <서유기>와 영화<매트릭스>
고대와 현대의 사이버스페이스 96
고대유물-마왕퇴1호 그림 99
<산해경>속의 하이브리드 생물 106
<서유기>의 공간 110
<서유기>와 <매트릭스>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115
문화적 연속성으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 121
2부| 리라이팅
1장 삼장의 말썽꾸러기 제자들
<서유기>의 구조 128
손오공-메이지 않은 자유영혼 131
저팔계-음식과 여자가 좋아 137
사오정-완충적 존재 141
용마-삼장의 다리역할 146
패잔병들의 자기구제책-서천취경 148
2장 여행길의 훼방자들-요마들의 모습
우마왕 가족-애정과 질투의 소용돌이 152
금각·은각 대왕-효성스런 자식들 161
인간과 요마의 접촉 163
인간세계에서 싸우는 요마들 171
3장 <서유기> 속의 인간들
아버지 진광예와 아들 삼장-길 떠나는 인간 178
위징과 당 태종-다른 세계의 경험 181
오계국 국왕과 주자국 왕후-요마와의 깊은 인연 187
4장 어려울 때 누가 도와주는가?
관음보살-남성형에서 여성형으로 194
탁탑이천왕과 나타태자-무서운 싸움꾼들200
태상노군-소치는 할아버지 204
조연들의 활약-세속화 206
3부| 자료 및 관련서
<서유기> 본문 자료 210
<서유기> 관련서 23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