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xvi
제1장 유전학 입문 = 1
1.1 유전학은 풍부하고 흥미로운 역사를 가진다 = 2
1.2 핵산과 단백질은 유전학의 분자적 기초로 작용한다 = 6
1.3 유전학은 다양한 접근법을 사용한다 = 8
1.4 유전학은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 10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프랑켄푸드(Franken Food) 논쟁들 = 14...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xvi
제1장 유전학 입문 = 1
1.1 유전학은 풍부하고 흥미로운 역사를 가진다 = 2
1.2 핵산과 단백질은 유전학의 분자적 기초로 작용한다 = 6
1.3 유전학은 다양한 접근법을 사용한다 = 8
1.4 유전학은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 10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프랑켄푸드(Franken Food) 논쟁들 = 14
[단원 요약] = 15
Key Terms = 15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15
Selected Readings = 16
제2장 체세포분열(Mitosis)과 생식세포분열(Meiosis) = 17
2.1 세포의 구조는 유전적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 18
2.2 이배체 생물에서 염색체들은 상동적 쌍으로 존재한다 = 20
2.3 핵분열은 염색체들을 분열하는 세포들로 나누어준다 = 23
2.4 세포주기는 유전적으로 조절된다 = 26
2.5 생식세포분열은 생식세포와 포자에서 염색체수를 이배체수에서 반수체수로 감소시킨다 = 28
2.6 배우자의 발달은 정자형성과정과 난자형성과정에서 서로 다르다 = 32
2.7 생식세포분열은 모든 이배체 생물들의 성공적 유성생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 33
2.8 전자현미경은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분열의 세포학적 성질을 잘 드러내 준다 = 34
[단원 요약] = 35
Key Terms = 35
통찰과 해법 = 36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88
Selected Readings = 91
제3장 멘델 유전학 = 39
3.1 멘델은 유전의 패턴을 연구하기 위해 실험적 접근법을 이용했다 = 40
3.2 단성 잡종 교배는 어떻게 한 형질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지를 보여준다 = 41
3.3 멘델의 양성 잡종 교배는 독특한 F₂ 비율을 만든다 = 44
3.4 삼성 잡종 교배는 멘델의 원리가 여러 형질의 유전에도 적용됨을 증명해 준다 = 47
3.5 20세기 초에 멘델 업적이 재발견되었다 = 48
3.6 독립적 분리는 광범위한 유전적 변이를 일으킨다 = 50
3.7 확률의 법칙은 유전적 사건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 51
어떻게 멘델의 콩들이 주름지게 되었나?: 분자적 설명 = 51
3.8 카이 제곱 분석법은 유전적 자료들에 대한 기회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 52
3.9 가계도는 인간의 유전 양식을 드러내 준다 = 54
[단원 요약] = 56
Key Terms = 56
통찰과 해법 = 57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59
Selected Readings = 60
제4장 멘델 비율의 변형 = 61
4.1 대립인자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형들을 변화시킨다 = 62
4.2 유전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대립인자를 표시한다 = 63
4.3 불완전(부분적) 우성 = 63
4.4 공우성(Codominance)에서는 이형접합성인 두 대립인자들이 뚜렷이 드러난다 = 64
4.6 치사 대립인자는 필수적인 유전자들을 나타낸다 = 66
4.7 두 가지 양식을 가지는 두 유전자 쌍의 조합은 9:3:3:1의 비율을 변형시킨다 = 67
4.8 표현형은 종종 유전자 하나 이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68
4.9 상보성 검정으로 비슷한 표현형을 만드는 두 돌연변이가 대립인자들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 72
4.10 X-연관은 X염색체상의 유전자들을 설명한다 = 73
4.11 한성 유전(sex limited inheritance)과 종성 유전(sex influenced inheritance)에서는 개인의 성이 표현형에 영향을 미친다 = 75
4.12 표현형적 발현(phenotypic expression)이 항상 유전자형을 직접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77
4.13 핵외 유전(Extranuclear inheritance)은 멘델 유전양식을 변형시킨다 = 80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순수 혈통인 개들의 유전적 운명 개선하기 = 85
[단원 요약] = 85
Key Terms = 86
통찰과 해법 = 87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88
Selected Readings = 91
제5장 성 결정과 성 염색체들 = 93
5.1 생활사는 성의 분화에 의존적이다 = 94
5.2 X와 Y 염색체들은 20세기 초에 성의 결정과 연관되었다 = 97
5.3 Y 염색체는 사람에서의 남성을 결정한다 = 98
5.4 사람에서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1.0이 아니다 = 103
5.5 인간 및 다른 포유동물에서의 양적 보상은 과도한 X 연관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 104
5.6 초파리에서 성은 상염색체에 대한 성 염색체의 비율로 결정된다 = 106
5.7 온도의 변화는 파충류에서의 성을 결정한다 = 108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성별의 문제: 사람에서의 성 선택 = 109
[단원 요약] = 110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111
Key Terms = 111
통찰과 해법 = 111
Selected Readings = 113
제6장 양적 유전학 = 115
6.1 연속적 변이는 양적 형질 유전의 특징이다 = 116
6.2 다인자 형질(Polygenic Trait)들에 대한 연구는 통계적 분석에 의존한다 = 120
6.3 유전력(Heritability)은 표현형적 변이에 대한 유전적 기여도를 측정한다 = 123
6.4 양적 형질의 좌위가 지도화 될 수 있다 = 126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다시 시작된 녹색혁명 (The Green Revolution Revisited) = 128
[단원 요약] = 129
Key Terms = 129
통찰과 해법 = 130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131
Selected Readings = 133
제7장 염색체 돌연변이:숫자와 배열의 변화 = 135
7.1 염색체 숫자의 변이를 설명하는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된다 = 136
7.2 염색체 수의 이상은 비분리에서 비롯한다 = 136
7.3 일염색체성(Monosomy)은 염색체 하나가 소실된 것으로 표현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 137
7.4 삼염색체성(Trisomy)는 이배체 게놈에 염색체 하나가 더 부가된 것이다 = 138
7.5 다배성(Polyploidy)은 반수의 염색체 세트가 두 벌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식물에서 흔히 발견된다 = 140
7.6 염색체구조와 배열에서의 변화 = 143
7.7 결실(Deletions)은 염색체 일부를 소실한 것이다 = 144
7.8 중복(Duplications)은 염색체 일부가 반복된 것이다 = 145
7.9 역위(Inversions)는 선형 유전자 배열이 바뀐 것이다 = 147
7.10 전좌(Translocations)는 유전체 내에서 염색체 분절의 위치를 바꾼다 = 148
7.11 사람에서의 염색체 취약 부위에서 염색체 절단이 일어나기 쉽다 = 151
[단원요약] = 153
Key Terms = 153
통찰과 해법 = 154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155
Selected Readings = 156
제8장 진핵생물에서의 연관과 염색체 지도의 작성 = 159
8.1 같은 염색체 상에 연관되어 있는 유전자들은 함께 분리된다 = 160
8.2 교차는 염색체 지도 작성 시 유전자들의 거리를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 = 162
8.3 지도 작성 시 다중교차 분석으로 유전자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 165
8.4 두 유전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도 작성의 정확성은 떨어진다 = 171
8.5 초파리의 유전자는 많이 지도화되었다 = 172
8.6 로드 스코어 분석과 체세포 혼성화 기법은 사람의 염색체 지도를 만드는데 역사적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 173
8.7 연관 및 지도 작성 연구들은 반수체 생물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 175
8.8 유전적 교환의 또 다른 측면들 = 177
8.9 멘델이 연관을 만났었을까? = 179
왜 멘델이 연관을 발견하지 못했을까? = 178
[단원 요약] = 179
Key Terms = 179
통찰과 해법 = 180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181
Selected Readings = 183
제9장 세균과 박테리오파지에서의 유전자 지도 작성 = 185
9.1 세균은 자발적으로 변이를 일으키며 기하급수적으로 생장한다 = 186
9.2 세균에서의 접합 (Conjugation)은 유전적 재조합의 한 방편이다 = 187
9.3 Rec 단백질은 세균의 재조합에 필수적이다 = 193
9.4 F 요소는 플라스미드이다 = 194
9.5 형질전환(transformation)은 세균에서 유전적 재조합을 일으키는 또 다른 과정이다 = 195
9.6 박테리오파아지는 세균성 바이러스이다 = 196
9.7 형질도입(transduction)은 바이러스에 의해 매개되는 세균 DNA의 전달이다 = 199
9.8 박테리오파아지는 유전자간 재조합을 겪는다 = 201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콜레라 뿌리뽑기: 먹는 백신들 = 203
[단원 요약] = 204
Key Terms = 204
통찰과 해법 = 205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206
Selected Readings = 207
제10장 DNA 구조와 분석 = 209
10.1 유전물질은 네 가지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 210
10.2 1944년까지도 유전물질로서는 단백질이 선호되었다 = 211
10.3 세균과 박테리오파아지에서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증거들이 확보되었다 = 211
10.4 진핵생물에서도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직ㆍ간접적인 증거들이 얻어졌다 = 217
10.5 어떤 바이러스들에서는 RNA가 유전물질로 기능한다 = 218
10.6 DNA의 구조는 그 기능을 이해하는 열쇠이다 = 218
10.7 다른 형태의 DNA들도 존재한다 = 226
10.8 RNA의 구조는 DNA와 화학적으로 유사하지만 단일 가닥이다 = 226
10.9 많은 분석 기술들이 DNA와 RNA를 조사하는데 사용된다 = 227
10.10 핵산들은 전기영동법으로 분리될 수 있다 = 229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꿈틀대는 나선 혁명 = 230
[단원요약] = 231
Key Terms = 232
통찰과 해법 = 232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233
Selected Readings = 234
제11장 DNA-복제와 합성 = 235
11.1 DNA는 반보존적 복제로 재생산된다 = 236
11.2 세균의 DNA합성에는 다른 효소들뿐 아니라 세 가지 중합효소들이 관여한다 = 240
11.3 DNA합성 중에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 243
11.4 통일된 모형들로 DNA합성을 요약할 수 있다 = 246
11.5 복제는 다양한 유전자들에 의해 조절된다 = 247
11.6 진핵생물의 DNA합성은 원핵생물의 것과 유사하지만 조금 더 복잡하다 = 247
11.7 선형의 DNA는 복제 과정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 249
11.8 DNA 복제와 마찬가지로 DNA재조합은 특정 효소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 250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텔로머레이즈: 불멸성의 열쇠인가? = 253
[단원요약] = 254
Key Terms = 254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255
통찰과 해법 = 255
Selected Readings = 257
제12장 염색체의 구조와 DNA 서열의 조직화 = 259
12.1 바이러스와 세균의 염색체들은 비교적 단순한 DNA 분자들이다 = 260
12.2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유사한 DNA를 포함한다 = 261
12.3 특수화된 염색체들은 DNA의 다양한 조직화를 보여준다 = 264
12.4 진핵세포에서 DNA는 크로마틴으로 조직화된다 = 266
12.5 진핵 세포의 유전체는 반복성 DNA들이 특징인 복잡한 조직화를 나타낸다 = 270
12.6 진핵세포의 유전체 대부분은 기능적인 유전자를 암호화하고 있지 않다 = 274
[단원요약] = 274
Key Terms = 275
통찰과 해법 = 275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276
Selected Readings = 277
제13장 유전자 암호와 전사 = 279
13.1 유전 암호들은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 280
13.2 초기의 연구들은 암호의 기본적 작동 방법을 알아내었다 = 281
13.3 니렌버그와 마태, 그 외의 연구자들에 의해 유전암호가 해독되었다 = 281
13.4 암호사전은 64가지 삼중자의 기능을 보여준다 = 286
13.5 박테리오파아지 MS2에 대한 연구에서 유전자 암호가 확인되었다 = 287
13.6 유전 암호는 매우 보편적이다 = 287
13.7 전사는 DNA 주형에서 RNA를 합성한다 = 288
13.8 RNA 중합효소는 RNA합성을 주도한다 = 288
13.9 진핵세포에서의 전사는 여러 가지로 원핵세포의 전사와 다르다 = 290
13.10 진핵세포 유전자의 암호부위는 간섭서열들(intervening sequences)에 의해 나뉘어 있다 = 293
13.11 RNA 편집(editing)은 최종 전사체를 변형시킨다 = 296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메신저 공격하기 = 298
[단원 요약] = 298
Key Terms = 299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300
통찰과 해법 = 300
Selected Readings = 302
제14장 번역과 단백질들 = 305
14.1 mRNA의 번역(Translation)은 리보솜과 운반 RNA(tRNA)에 의존한다 = 306
14.2 mRNA의 번역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 310
14.3 결정구조 분석으로 원핵세포의 리보솜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다 = 313
14.4 진핵세포에서의 번역은 좀 더 복잡하다 = 314
14.5 단백질의 유전적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 314
14.6 붉은 빵곰팡이(Neurospora)에 대한 연구는 일 유전자-일 효소 가설로 이어졌다 = 316
14.7 인간의 헤모글로빈에 대한 연구로 하나의 유전자가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 318
14.8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해당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는 일치성(colinearity)을 나타낸다 = 319
14.9 단백질의 구조는 생물학적 다양성의 기초가 된다 = 320
14.10 번역 후 변형은 단백질 최종 산물을 변화시킨다 = 323
14.11 단백질 기능은 분자의 구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 324
14.12 단백질들은 기능적 도메인들로 구성된다 = 325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광우병과 이상한 이야기: 프리온 이야기 = 327
[단원 요약] = 328
Key Terms = 328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329
통찰과 해법 = 329
Selected Readings = 331
제15장 유전자 돌연변이, DNA 회복 그리고 가동성 인자들 = 333
15.1 돌연변이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된다 = 334
15.2 유전학적 기술, 세포 배양, 그리고 가계도 분석 등이 돌연변이를 탐색하는데 사용된다 = 335
15.3 자연발생적 돌연변이율은 생물마다 매우 다르다 = 338
15.4 여러 형태의 돌연변이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하게 된다 = 338
15.5 자외선과 고에너지 방사선은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 343
15.6 유전자 서열 분석법은 사람에서의 돌연변이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344
15.7 에임즈 테스트(Ames Test)는 화합물의 돌연변이 유발력(Mutagenicity)을 검사하는데 이용된다 = 346
15.8 생물들은 여러 헝태의 수리기구들을 활성화시켜 DNA 손상을 중화시킬 수 있다 = 346
15.9 위치 지정 돌연변이화 방법은 특정 유전자를 연구할 수 있도록 한다 = 352
15.10 가동성 유전인자들(Transposable Genetic Elements)은 유전체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유전자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 353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체르노빌이 남긴 것 = 358
[단원 요약] = 359
Key Terms = 359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361
통찰과 해법 = 361
Selected Readings = 363
제16장 유전자 발현의 조절 = 365
16.1 원핵생물은 환경 조건에 반응하는 효과적인 유전적 기구를 가진다 = 366
16.2 E. coli에서의 젖당 대사는 유도적 체제에 의해 조절된다 = 367
16.3 억제 복합체에 대한 결정 연구는 오페론 모형을 확인시켜 주었다 = 373
16.4 E. coli에서의 트립토판 대사는 억제적 체제에 의해 조절된다 = 373
16.5 진핵 생물에서의 유전적 조절은 원핵세포와는 다르다 = 376
16.6 조절 요소들과 전사 인자들은 진핵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 377
16.7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은 몇 몇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 = 382
16.8 전사 후에 일어나는 사건들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도 한다 = 383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왜 효과적인 에이즈 백신은 없는가? = 384
[단원 요약] = 385
Key Terms = 385
통찰과 해법 = 386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387
Selected Readings = 389
제17장 재조합 DNA 기법 = 391
17.1 재조합 DNA기술의 개요 = 392
17.2 여러 가지 물질들을 사용하여 재조합 DNA분자를 만들 수 있다 = 392
17.3 원핵성 숙주 세포에서의 클로닝 = 397
17.4 진핵성 숙주세포에서의 클로닝 = 397
17.5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은 숙주 세포 없이도 클로닝을 가능하게 한다 = 398
17.6 유전자 도서관은 클론화 된 서열들의 집합이다 = 400
17.7 특정 클론들은 도서관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 401
17.8 클론화된 서열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석된다 = 404
17.9 DNA서열화: 클론을 설명하는 궁극적인 방법 = 407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돌리를 넘어서: 인간 복제 = 411
[단원 요약] = 412
Key Terms = 412
통찰과 해법 = 412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413
Selected Readings = 416
제18장 유전체학, 생물정보학 그리고 단백질체학(프로테오믹스) = 417
18.1 유전체학(Genomics): 서열화 작업은 유전체의 모든 유전자들을 밝히고 지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 418
18.2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은 유전정보를 분석하는 도구들을 제공한다 = 419
18.3 기능 유전체학은 유전자들을 분류하고 그들의 기능을 규명한다 = 423
18.4 원핵세포성 유전체들은 놀라운 특징들을 가진다 = 425
18.5 진핵세포성 유전체들은 구성 양식들의 모자이크를 가진다 = 428
18.6 유전체학은 유전체 진화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432
18.7 비교 유전체학(Comparative Genomics): 다중 유전자 집단(multigene family)들은 유전자의 기능을 다양화한다 = 436
18.8 단백질체학(프로테오믹스, proteomics)은 세포내 단백질들을 규명하고 분석한다 = 440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살인자의 발자국 = 443
[단원 요약] = 444
Key Terms = 445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446
통찰과 해법 = 446
Selected Readings = 448
제19장 생명공학의 응용과 윤리 = 449
19.1 생명공학은 농업 혁명을 일으켰다 = 450
19.2 의약품들이 유전적으로 조작된 생물들에서 합성된다 = 452
19.3 생명공학은 유전 질환을 진단하고 검사하는데 이용된다 = 455
19.4 유전질환은 유전자 치료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 461
19.5 유전자 치료는 많은 윤리적 우려를 낳는다 = 464
19.6 인간 유전체 사업으로 윤리 문제가 대두되었다 = 464
19.7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한 인간의 유전자 지도 작성 = 465
19.8 DNA 지문으로 개인을 확인할 수 있다 = 467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유전자 치료(Gene Therapy)-두 발자국의 진보인가, 두발자국의 퇴보인가? = 470
[단원 요약] = 471
Key Terms = 471
통찰과 해법 = 472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473
Selected Readings = 476
제20장 유전자와 발생 = 477
20.1 발생 유전학의 기본 개념들 = 478
20.2 초파리의 체축(body axis)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모계 유전자와 접합자 유전자가 상호작용한다 = 478
20.3 호메오틱 유전자들은 체축의 전후를 따라 생성되는 패턴을 조절한다 = 484
20.4 세포-세포 상호작용이 발생적 운명을 조절할 수 있다 = 489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줄기 세포 전쟁(Stem Cell Wars) = 492
[단원 요약] = 493
Key Terms = 493
통찰과 해법 = 493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494
Selected Readings = 496
제21장 암의 유전적 기초 = 497
21.1 세포 주기(Cell cylce) 질환으로서의 암 = 499
21.2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들이 암에 관여한다 = 500
21.3 종양 억제 유전자 (Tumor Suppressor gene)는 세포 분열을 억제한다 = 501
21.4 원종양 유전자(Proto-oncogene)들은 세포 분열을 촉진하거나 유지시킨다 = 505
21.5 암의 유전적 모델로서의 대장암 (colon cancer) = 507
21.6 암의 경로는 문지기 유전자와 관리인 유전자(Gatekeeper and Caretaker genes)들을 통한 것이다 = 509
21.7 염색체 전좌들은 백혈병의 표시이다 = 510
21.8 환경 요인들은 암에 기여한다 = 511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유전자 검사, 양날의 칼: 유방암의 경우 = 513
[단원 요약] = 514
Key Terms = 514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515
통찰과 해법 = 515
Selected Readings = 517
제22장 집단 유전학 = 519
22.1 집단과 유전자 급원 = 520
22.2 대립유전자의 빈도 계산 = 520
22.3 하디-바인버그 법칙 = 523
22.4 하디-바인버그 법칙의 확장 = 526
22.5 하디-바인버그 법칙의 이용: 이형접합자 빈도의 계산 = 527
22.6 자연선택은 대립인자 빈도를 변화시킨다 = 527
22.7 돌연변이(Mutation) = 532
22.8 이주(Migration) = 534
22.9 유전적 부동(Genetic Drift) = 535
22.10 비무작위적 교배(Nonrandom Mating) = 538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아프리카로부터 시작된 우리의 유전적 발자취 추적하기 = 542
[단원요약] = 543
Key Terms = 543
[연습 문제 및 토론문제] = 544
통찰과 해법 = 544
Selected Readings = 546
제23장 유전학과 진화 = 547
23.1 종 분화는 유전자 급원의 변형이나 분리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 548
23.2 개체군들과 종은 유전적 변이를 갖는다 = 549
23.3 개체군 내에는 높은 수준의 유전적 변이가 존재한다 = 550
23.4 개체군들의 유전적 구조는 공간과 시간을 통해 변화한다 = 551
23.5 감소된 유전자 흐름, 선택 그리고 부동은 새로운 종을 형성시킬 수 있다 = 554
23.6 진화사를 재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유전적 차이 = 559
23.7 진화사는 많은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제공한다 = 563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우생학 운동의 실패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566
[단원 요약] = 567
Key Terms = 567
통찰과 해법 = 567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568
Selected Readings = 570
제24장 보존 유전학 = 571
24.1 유전적 다양성은 보존 유전학의 핵심이다 = 573
24.2 개체군의 크기는 종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576
24.3 작고 고립된 개체군에서 유전적 영향은 더 심각하다 = 577
24.4 유전적 부식(Genetic Erosion)은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킨다 = 580
24.5 유전적 다양성의 보존은 종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 581
유전학, 기술 그리고 사회
유전자 풀과 위험에 빠진 종들: 플로리다 팬더(Florida Panther)의 곤경 = 585
[단원 요약] = 586
Key Terms = 586
[연습문제 및 토론문제] = 587
통찰과 해법 = 587
Selected Readings = 588
APPENDIX: Solutions to Problems and Discussion Questions = 589
INDEX = 61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