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장 2025년 지구촌의 모습 / 전경만 = 11
2025년 지구촌은 평화로울 것인가
시나리오1 : 세계화로 더욱 평화로워지는 세계
시나리오2 : 민족주의와 보호주의로 평화가 위태로운 세계
시나리오3 : 신냉전 도래로 평화가 심각하게 위협받는 세계
'팍스 아메리카나'는 여전히 전성기를 누릴 것인가
세계 3권역 각축이 국제질서의 핵심이 될 ...
목차 전체
1장 2025년 지구촌의 모습 / 전경만 = 11
2025년 지구촌은 평화로울 것인가
시나리오1 : 세계화로 더욱 평화로워지는 세계
시나리오2 : 민족주의와 보호주의로 평화가 위태로운 세계
시나리오3 : 신냉전 도래로 평화가 심각하게 위협받는 세계
'팍스 아메리카나'는 여전히 전성기를 누릴 것인가
세계 3권역 각축이 국제질서의 핵심이 될 것인가
경제력과 군사력은 여전히 지배적 요소인가
도전세력은 어디에 있는가
2장 아시아 태평양, 어떤 세력이 등장할 것인가 / 김창수 = 37
'재발견' 한 인도
인도의 저력은 기술과 경영
인구대국 인도의 성장 촉진요인과 억제요인
인도 국가안보전략과 외교정책의 비전
인도가 추진하는 지역다자안보협력
인도의 등장과 전략적 함의
잠재적 강대국들 : 인도네시아, 호주, 베트남
3장 동북아시대는 도래할 것인가 / 차두현 = 59
'동북아시대', 그 장밋빛 비전
'동북아시대'의 개념과 특성
무한한 경제적 가능성
새로운 한반도와 동북아 : 한국의 기회?
동북아 평화ㆍ번영의 열쇠와 현실적 제약
역내의 군사력 증강과 잠재적 군사위협의 증대
지속되거나 확대될 한국의 안보 딜레마
2025년 동북아 질서 속에서의 한반도 : 구한말 악몽의 재현?
동북아시대 도래를 위한 한국의 선택
어떤 역학관계가 최선인가
성공의 전제조건
4장 '미국의 시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 김재두 = 89
미래의 미국에 대한 시각은 다양하다
동맹 재편의 시대
1강 2약의 삼각구도 정착
판도변화의 핵심 : 유라시아, 에너지, 테러
2025년 미국의 지위를 생각한다
5장 2025년의 모습이 궁금한 중국 / 황재호 = 111
2025년의 중국 경제
낙관적 중국 경제
비관적 중국 경제
2025년의 중국 정치
연착륙 중국 정치
경착륙 중국 정치
2025년의 중국 외교
체제편입적 중국 외교
체제도전적 중국 외교
2025년의 중국 군사
방어적 중국 군사
패권적 중국 군사
준(準)초강대국으로서의 중국과 대만 아킬레스
준초강대국으로서의 중국
대만문제 시나리오
6장 '보통국가'로 돌아간 2025년의 일본 / 송화섭 = 133
향후 20년의 일본을 움직일 중요 변수
경제대국의 지위는 유지될 것인가
기술 및 산업능력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응
보통국가로서의 국제적 위상은
보통국가화와 개헌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일본의 국제적 위상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과 일본
일본의 군사적 변신
핵무기를 보유할 것인가
예상되는 일본의 안보위협
주변국과의 갈등 가능성
군사적 위상
7장 2025년 러시아, 다시 일어설 것인가 / 심경욱 = 157
숨만 겨우 내쉬던 공룡이 눈을 뜨다
미국 네오콘, 러시아를 공황에서 구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다시 집권 연장하다
미국은 과연 러시아의 전략적 동지인가
불거지는 사회ㆍ경제 위기와 중앙-지방 갈등
에너지꽃 피우는 '동방우선정책'
캄차트카-알래스카 해저터널, 두 대륙의 끝을 잇다
8장 2025년의 대한민국을 그린다 / 김태우 = 183
군사적 균형자와 외교적 균형자
경제ㆍ기술 강대국 대한민국
부패로부더 자유로운 대한민국
삼불상(三不祥)의 가르침을 기억하자
'날개'가 대접받는 사회
핵문제로부터 자유로운 대한민국
동아시아 평화지대
영토분쟁으로부터 자유로운 대한민국
'고슴도치' 군사력
경제외교 강대국 대한민국
동아시아에 들어설 국제질서
2025년 통일한국을 꿈꾼다
9장 2025년 에너지 안보 지도 / 김재두 = 227
통계의 진실과 왜곡
따져보아야 할 세 가지 사실
이라크와 이란의 가치는 새롭게 재평가된다
석유 빅뱅은 미국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
미국이 앉아서 당할 것인가
과학기술의 격차가 에너지 질서의 판도를 바꾼다
고유가시대의 종식과 에너지 기술 패권의 등장
한국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10장 2025년 미래 전장을 본다 / 조남훈 = 261
미래 전장은 과학기술의 발달에 좌우된다
미래 전장에서 볼 수 없는 곳이란 없다
초정밀 무기체제의 성능향상과 새로운 타격체제의 등장
전쟁터에는 무인무기체제와 로봇만이
우주공간과 사이버공간도 전쟁터가 된다
지휘통제능력과 다른 무기체제의 발달
신무기체계와 새로운 작전개념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