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기획의 말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글
서장 분석의 시각
1장 근대사회의 형성과 군대
1. 시간? 신체? 언어
2. 군대와 '문명개화'
3. 사회의 규율화와 조직화
2장 군대의 민중적 기반
1.'인생의례'로서의 병영
2. 군대가 가진 평등성
3. 사회적 상승 통로로서의 군대
4. 농촌의 가난
5.'충량'한 병사의 공급원
3장 총...
목차 전체
기획의 말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글
서장 분석의 시각
1장 근대사회의 형성과 군대
1. 시간? 신체? 언어
2. 군대와 '문명개화'
3. 사회의 규율화와 조직화
2장 군대의 민중적 기반
1.'인생의례'로서의 병영
2. 군대가 가진 평등성
3. 사회적 상승 통로로서의 군대
4. 농촌의 가난
5.'충량'한 병사의 공급원
3장 총력전의 시대로
1. 군부의 성립
2. 군 개혁에의 착수
3. 군 개혁의 한계
4장 15년 전쟁과 병사
1. 국군에서 황군으로
2. 대량동원과 그 모순
저자후기
색인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