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제1장 도서관 장서관리 = 9
1.1 장서의 의의 = 9
1.2 장서관리 개념의 발전과정 = 12
1.3 도서관 서비스와 장서관리 = 15
1.3.1 장서관리 = 15
1.3.2 장서관리와 지역사회 = 18
1.3.3 장서관리와 도서관환경 = 20
1.4 정보기술과 장서관리의 변화 = 22
1.4.1 정보매체의 다양화 = 22
...
목차 전체
머리말
제1장 도서관 장서관리 = 9
1.1 장서의 의의 = 9
1.2 장서관리 개념의 발전과정 = 12
1.3 도서관 서비스와 장서관리 = 15
1.3.1 장서관리 = 15
1.3.2 장서관리와 지역사회 = 18
1.3.3 장서관리와 도서관환경 = 20
1.4 정보기술과 장서관리의 변화 = 22
1.4.1 정보매체의 다양화 = 22
1.4.2 장서관리 영역의 확장 = 23
1.4.3 정보서비스의 변화 = 31
1.4.4 학술환경의 변화 = 33
1.4.5 관리적 측면의 변화 = 34
제2장 이용자연구 = 39
2.1 의의 = 39
2.2 연구방법 = 41
2.2.1 연구자 = 41
2.2.2 연구내용 = 42
2.2.3 데이터의 수집 = 45
2.2.4 데이터의 해석 = 52
2.3 연구결과의 활용 = 53
제3장 장서개발 = 57
3.1 장서개발정책 = 57
3.1.1 의의 = 57
3.1.2 장서개발정책의 구성요소 = 60
3.1.3 작성의 실제 = 66
3.2 장서기준 = 68
3.2.1 의의 = 68
3.2.2 관종별 기준 = 70
3.3 자료예산분배 = 86
3.3.1 의의 = 86
3.3.2 예산분배방법 = 87
제4장 자료선택과 평가 = 99
4.1 선택의 의의 = 99
4.2 선택이론의 발전 = 103
4.2.1 가치론 = 103
4.2.2 요구론 = 104
4.2.3 웰라드의 도서선택론 = 108
4.2.4 선택환경론 = 111
4.2.5 장서관리론 = 114
4.3 선택의 원리 = 116
4.3.1 자료의 가치 = 118
4.3.2 이용자의 요구 = 119
4.3.3 도서관의 목적 =120
4.3.4 시간적 요소 = 121
4.4 평가기준 = 123
4.5 관종별 선택 = 127
4.5.1 공공도서관 = 127
4.5.2 학교도서관 미디어센터 = 129
4.5.3 대학도서관 = 131
4.5.4 전문도서관 = 133
4.6 선택조직 = 134
4.6.1 기능 = 134
4.6.2 유형 = 136
4.6.3 선택사서의 자질 = 137
4.7 선택보조자료 = 140
4.7.1 국내 = 141
4.7.2 국외 = 144
제5장 출판과 유통 = 151
5.1 출판 = 151
5.1.1 의의 = 151
5.1.2 출판현황 = 154
5.1.3 전자출판 = 174
5.2 유통 = 183
5.2.1 의의 = 183
5.2.2 유통체계 = 184
5.2.3 출판유통의 정보화 = 191
제6장 연속간행물 = 199
6.1 정의 = 199
6.2 선택 = 201
6.2.1 선택모델 = 203
6.2.2 선택도구 = 206
6.3 연속간행물 대행사 = 212
6.4 협력체제 = 213
제7장 전자저널 = 215
7.1 정의 = 215
7.2 선택 = 216
7.3 전자저널의 관리 = 220
7.3.1 가격책정 = 220
7.3.2 라이선싱 = 223
7.3.3 접근 = 226
7.3.4 아카이빙 = 227
7.4 전자자료 개발정책 = 229
7.5 주요 전자저널 데이터베이스 = 232
제8장 정부정보 = 239
8.1 정의 = 239
8.2 국내 정부정보 관리체제 = 242
8.2.1 발행현황 = 242
8.2.2 선택도구 = 244
8.2.3 판매 = 247
8.3 미국의 정부정보 관리체제 = 248
8.3.1 정부인쇄국의 역할 = 248
8.3.2 선택도구 = 249
8.3.3 수서 = 251
8.4 정부정보와 전자정부 = 252
8.4.1 전자정부 = 252
8.4.2 정보공개법 = 254
8.4.3 전자정부의 정보이용 = 255
제9장 수서업무 = 259
9.1 의의 = 259
9.2 기능 = 261
9.3 조직 = 265
9.4 자료입수의 유형과 수서절차 = 269
9.4.1 구입 = 269
9.4.2 기증과 교환 = 290
9.5 등록 = 292
9.6 수서업무의 자동화 = 294
9.6.1 수서자동화 시스템의 기능 = 295
9.6.2 자료선정 및 주문전 탐색 = 295
9.6.3 자료의 주문 및 입수 = 296
9.6.4 수서 시스템의 기본파일 = 297
제10장 장서관리 웹사이트 = 301
10.1 의의 = 302
10.2 사레 = 304
10.3 콘텐츠 구성 = 306
제11장 장서평가 = 317
11.1 의의 및 필요성 = 317
11.2 방법 = 320
11.2.1 자료중심적 평가방법 = 322
11.2.1 이용중심적 평가방법 = 332
11.3 전자자료와 장서평가 = 341
제12장 장서보존과 폐기 = 345
12.1 보존 = 345
12.1.1 자료보관과 관리 = 346
12.1.2 환경조절 = 346
12.1.3 안전대책 = 348
12.1.4 자료보존처리 = 350
12.1.5 매체전환 = 356
12.2 폐기 = 362
12.2.1 의의 = 362
12.2.2 기준 = 364
12.2.3 폐기 자료의 처리 = 368
제13장 협동장서개발과 자원공유 = 371
13.1 의의 = 371
13.2 발전 = 375
13.3 지역 컨소시엄을 통한 자원공유 = 380
13.3.1 OhioLINK = 384
13.3.2 CIC = 386
13.4 디지털정보자원과 컨소시엄 = 388
13.5 국내의 협동장서개발 및 자원공유 = 390
13.5.1 국가적 수준의 자원공유 = 391
13.5.2 주제별 자원공유 = 394
13.5.3 지역의 자원공유 = 395
참고문헌 = 397
국문색인 = 415
영문색인 = 42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