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調査方法의 基礎理論
제1절 科學의 本質 = 21
Ⅰ. 과학의 정의 = 21
Ⅱ. 산물로서의 과학 : 정태적 정의 = 22
1. 기술 = 22
2. 설명 = 23
3. 예측 = 26
4. 설명과 예측의 관계 = 28
5. 과학적 지식대 비과학적 지식 = 29
Ⅲ. 과정으로서의 과학 : 동태적 정의 = 29
...
목차 전체
제1장 調査方法의 基礎理論
제1절 科學의 本質 = 21
Ⅰ. 과학의 정의 = 21
Ⅱ. 산물로서의 과학 : 정태적 정의 = 22
1. 기술 = 22
2. 설명 = 23
3. 예측 = 26
4. 설명과 예측의 관계 = 28
5. 과학적 지식대 비과학적 지식 = 29
Ⅲ. 과정으로서의 과학 : 동태적 정의 = 29
1. 합리성 = 30
2. 실증주의 = 31
3. 통제 = 33
제2절 知識習得方法과 科學的 方法 = 34
Ⅰ. 경험을 통한 지식습득 = 34
Ⅱ. 합리성에 의한 지식습득 = 35
Ⅲ. 믿음·신념을 통한 지식습득 = 36
Ⅳ. 혼합적 방법 = 37
1. 경험주의와 합리주의의 결합 = 37
2. 경험주의와 신념주의의 결합 = 37
3. 합리주의와 신념주의의 결합 = 38
Ⅴ. 과학적 지식습득방법 : 경험주의ㆍ합리주의ㆍ신념주의의 결합 = 38
제3절 科學 또는 科學的 方法의 限界 = 39
1. 부정확한 관찰 = 39
2. 지나친 일반화 = 39
3. 선별적 관찰 = 40
4. 잘못 연역된 정보 = 40
5. 논리적 오류의 방어적 사용 = 40
6. 자기중심적 이해 = 40
7. 조사의 성급한 종결 = 40
8. 설명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한 신비화 = 41
9. 인간은 잘못을 범하는 존재라는 인식 = 41
제4절 科學的 方法의 一般的 節次와 調査硏究 過程 = 41
Ⅰ. 과학적 방법의 의의 = 41
Ⅱ. 과학적 방법의 제 단계 = 42
1. 착상단계 = 42
2. 자료수집단계 = 43
3. 사실의 요약단계 = 43
4. 사실의 설명단계 = 44
5. 설명의 검증단계 = 45
Ⅲ. 연구조사의 과정 = 46
제5절 科學的 氷法의 理論過程 = 47
Ⅰ. 주제의 선정 = 48
1. 과학적 이론의 발전을 위한 주제로서의 중요성 = 48
2. 사회적 문제 = 48
3. 조사자의 개인적 가치 = 48
4. 실용성 = 49
Ⅱ. 주제에 대한 과거의 연구검토 = 49
Ⅲ. 분석단위의 검토 = 51
1. 분석단위의 의의 = 51
2. 분석단위의 종류 = 52
3. 분석단위의 한계 = 53
Ⅳ. 가설의 설정 = 54
1. 가설의 의의 = 54
2. 가설의 근원 = 55
3. 가설의 조건 = 56
4. 가설의 종류 = 57
Ⅴ. 용어의 조작화 = 60
1. 용어의 조작화 의의 = 60
2. 용어의 조작화 과정 = 61
3. 조작적 정의의 역할 = 62
4. 이론구성의 세계와 실증의 세계 = 63
Ⅵ. 용어의 조작화 과정 : 사례연구 = 64
1. 개관 = 64
2. 용어의 조작화 과정 = 64
3. Fixed-Point Analysis = 65
제6절 假設檢證의 戰略 = 67
Ⅰ. 전략수립의 기본요소 = 67
Ⅱ. 인과관계의 분석 = 69
1. 인과성(또는 인과관계)의 의의 = 69
2. 인과관계의 성립을 위한 기준 = 70
3. 제3의 변수의 공동영향에 의한 허위의 인과관계 = 72
2장 社會科學 調査硏究設計(Ⅰ)
제1절 硏究調査의 種類 = 75
Ⅰ. 기술적 조사 = 75
Ⅱ. 설명적 조사 = 76
Ⅲ. 기술적 조사와 설명적 조사의 관계 = 76
제2절 事例調査硏究 = 77
Ⅰ. 사례조사연구의 의의 = 77
Ⅱ. 사례조사연구의 종류 = 79
Ⅲ. 사례조사연구의 절차 = 80
Ⅳ. 사례조사연구의 평가 = 81
1. 장점 = 81
2. 단점 = 81
제3절 實態調査 = 82
Ⅰ. 실태조사의 의의 = 82
Ⅱ. 실태조사의 구성요소 = 83
1. 표본추출 = 84
2. 질문설계 = 84
3. 조사실시 = 85
4. 통계기법 = 85
Ⅲ. 실태조사의 절차 = 86
1. 제1단계(착상단계) = 86
2. 제2단계(사실 또는 자료수집단계) = 86
3. 제3단계(사실의 요약단계) = 87
4. 제4단계(사실의 설명단계) = 87
5. 제5단계(설명의 검증단계) = 87
Ⅳ. 실태조사의 종류 = 87
1. 기술적 실태조사 = 88
2. 설명적 실태조사 = 91
제4절 實驗設計 = 94
Ⅰ. 실험설계의 개념 = 94
1. 실험의 의의 = 94
2. 실험설계의 종류 = 95
3. 실험설계의 유용성 = 96
Ⅱ. 진실험설계 = 97
1. 고전적 실험설계 = 97
2. 솔로몬 네 집단설계 = 106
3. 통제집단 후 비교설계 = 108
Ⅲ. 전실험과 유사실험설계 = 110
1. 개관 = 110
2. 전실험설계 = 111
3. 유사실험 또는 준실험설계 = 114
제3장 社會科學 調査硏究設計(Ⅱ)
제2절 內容分析 = 129
Ⅰ. 내용분석의 의의 = 129
Ⅱ. 내용분석과 기존자료분석연구 = 131
Ⅲ. 내용분석의 목적 = 132
Ⅳ. 내용분석의 적용 = 133
Ⅴ. 내용분석의 절차 = 133
1. 주제와 가설의 형성 단계 = 134
2. 표본추출 = 134
3. 분석단위의 결정단계 = 135
4. 카테고리의 정의, 자료의 해독 및 코딩 = 139
5. 설명체계의 결정 : 자료의 해독, 부호화, 척도화 = 139
6. 자료의 해석 = 144
Ⅵ. 내용분석의 제 문제 = 144
1. 자료 자체에 관한 문제 = 144
2. 신뢰도 문제 = 146
3. 타당도 문제 = 147
제2절 시뮬레이션과 게임 = 149
Ⅰ. 시뮬레이션의 의의 = 149
Ⅱ. 시뮬레이션의 종류 = 150
1. 실험 시뮬레이션 = 151
2. 게임 시뮬레이션 = 151
3. 컴퓨터 시뮬레이션 = 152
4. 인간-컴퓨터 혼합 시뮬레이션 = 152
Ⅲ. 시뮬레이션의 타당도 = 152
Ⅳ. 시뮬레이션의 장점과 단점 = 153
1. 시뮬레이션의 장점 = 153
2. 시뮬레이션의 단점 = 155
제4장 測定
제1절 測定의 意義와 過程 = 157
Ⅰ. 측정의 의의 = 157
Ⅱ. 측정과정 = 158
1. 개념화 = 158
2. 변수와 지표의 구체화 = 159
3. 조작화 = 161
제2절 測定의 水準 = 162
Ⅰ. 명명적 측정 = 162
1. 개요 = 162
2. 명명적 측정의 조건 또는 속성 = 164
Ⅱ. 서열적 측정 = 165
1. 개요 = 165
2. 서열적 측정의 조건 또는 속성 = 166
Ⅲ. 등간적 측정 = 167
1. 개요 = 167
2. 등간적 측정의 조건 또는 속성 = 168
Ⅳ. 비율적 측정 = 168
1. 개요 = 168
2. 비율적 측정의 조건 또는 속성 = 169
Ⅴ. 측정의 네 수준비교 = 170
제3절 測定의 質을 위한 基準 = 171
Ⅰ. 신뢰도 = 173
1. 신뢰도의 의의 = 173
2. 신뢰도 검증방법 = 173
Ⅱ. 타당도 = 177
1. 타당도의 의의 = 177
2. 타당도 검증방법 = 178
Ⅲ. 신뢰도와 타당도 = 184
제5장 標本抽出과 標本設計
제1절 標本抽出 = 187
Ⅰ. 표본추출의 의의 = 187
Ⅱ. 표본추출의 역사 = 188
Ⅲ. 표본추출의 개념과 용어 = 189
1. 요소 = 189
2. 우주 = 190
3. 모집단 = 190
4. 서베이 모집단 = 190
5. 표본추출의 단위 = 191
6. 표본추출의 틀 = 191
7. 관찰의 단위 = 191
8. 변수 = 192
9. 파라메터 = 192
10. 통계 = 192
11. 유의수준과 유의간격 = 193
제2절 標本設計 = 193
Ⅰ. 표본설계의 종류 = 193
Ⅱ. 확률표본설계 = 194
1. 확률표본추출이론 = 194
2. 확률표본설계의 종류 = 195
Ⅲ. 비확률표본설계 = 203
1. 비확률표본설계의 의의 = 203
2. 비확률표본설계의 종류 = 204
제3절 標本 틀의 要素와 吳差 = 209
Ⅰ. 표본추출설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209
1. 연구의 단계의 자료사용 = 209
2. 가용한 자원 = 210
3. 자료수집 방법 = 210
Ⅱ. 표본 크기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211
1. 모집단 변이성 = 211
2. 요구되는 정밀성의 수준 = 212
3. 표본추출설계 유형 = 212
4. 가용한 자원 = 213
5. 카테고리의 다양성 = 213
6. 기타 = 213
Ⅲ. 표출오차와 비표출오차 = 214
1. 표출오차 = 214
2. 비표출오차 = 215
3. 표출오차와 비표출오차의 관계 = 215
제4절 電話調査의 標本抽出 = 216
Ⅰ. 적절한 표본추출설계의 선택 = 217
1. 조사의 목적 = 217
2. 추출되어야 할 대상 = 218
3. 누락된 대상의 처리 = 219
4. 자원의 한계 = 219
Ⅱ. 전화번호부 추출 = 220
1.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 220
2. 체계적 표본추출 = 221
3. 숫자추가 표본추출 = 221
Ⅲ. 무작위 전화추출 = 222
제6장 資料蒐集
제1절 資料蒐集과 調査硏究設計와의 關係 = 225
제2절 관찰법 = 226
Ⅰ. 관찰법의 의의 = 226
Ⅱ. 관찰의 유형분류 = 227
1. 관찰과정의 계획성 여부에 의한 분류 = 227
2. 참여여부에 의한 분류 = 228
Ⅲ. 관찰자의 역할유형 = 228
1. 완전참여자 = 229
2. 관찰자로서 참여자 = 229
3. 참여자로서 관찰자 = 230
4. 완전한 관찰자 = 230
Ⅳ. 관찰법의 종류 = 231
1. 참여관찰법 = 231
2. 비참여관찰법 = 233
Ⅴ. 관찰의 기록 = 238
Ⅵ. 관찰법의 보완 = 239
Ⅶ. 결론 = 240
제3절 質問紙法 = 241
Ⅰ. 질문지법의 의의 = 241
Ⅱ. 질문지법과 면접법 = 242
Ⅲ. 질문지 준비단계 = 243
Ⅳ. 질문문항의 종류 = 245
1. 질문의 내용에 따른 분류 = 245
2. 질문문항의 구조에 따른 분류 = 248
3. 질문의 형식에 따른 분류 = 252
Ⅴ. 질문지 작성시 유의사항 = 258
1. 질문문항들의 배열 및 순서상 유의사항 = 258
2. 질문의 용어와 내용에 관한 유의사항 = 261
Ⅵ. 사전검사 = 263
Ⅶ. 응답자에 대한 지시사항 = 264
Ⅷ. 표지편지와 안내문 = 265
Ⅸ. 질문지법의 집행유형 = 268
1. 직접대면조사 = 268
2. 집단조사 = 268
3. 우편조사 = 269
4. 전화조사 = 275
Ⅹ. 질문지법의 신뢰도와 타당도 = 278
1. 질문지의 신뢰도 = 278
2. 질문지의 타당도 = 279
XI. 질문지법의 보완으로서 판별분석 = 279
XII. 질문지법의 윤리성 = 280
1. 윤리성의 원칙 = 281
2. 사전적 승인 = 281
3. 신뢰성 = 281
제4절 面接法 = 282
Ⅰ. 면접법의 의의 = 282
Ⅱ. 면접의 종류 = 283
1. 면접질문의 조직화 정도에 의한 분류 = 283
2. 면접대상의 만나는 방법에 따른 분류 = 286
Ⅲ. 면접의 절차 = 288
1. 제1단계 : 준비단계 = 288
2. 제2단계 : 면접의 실시단계 = 292
3. 제3단계 : 면접기록의 정리단계 = 296
Ⅳ. 면접법의 평가 = 296
1. 면접법의 장법 = 296
2. 면접법의 단점 = 297
제5절 2次的 資料의 使用 = 298
Ⅰ. 2차적 자료의 의의 = 298
Ⅱ. 2차적 자료의 사용용도 = 299
1. 조사의 주된 자료 = 299
2. 보조자료로서의 2차적 자료 = 300
3. 확인자료로서의 2차적 자료 = 301
제7장 資料處理와 尺度
제1절 尺度와 指數 = 303
Ⅰ. 척도의 성격 = 303
Ⅱ. 척도와 지수 = 305
1. 공통점 = 305
2. 차이점 = 306
제2절 尺度의 種類 = 307
Ⅰ. 써스톤(유사등간)척도 = 308
1. 써스톤척도의 의의 = 308
2. 써스톤척도의 작성 = 309
3. 써스톤척도의 평가 = 312
Ⅱ. 거트만척도 = 313
1. 거트만척도의 의의 = 313
2. 거트만척도의 결정요소 = 313
3. 거트만척도의 작성절차 = 316
4. 거트만척도의 평가 = 320
Ⅲ. 리커트척도 = 321
1. 리커트척도의 의의 = 321
2. 리커트척도의 작성 = 321
3. 리커트척도의 평가 = 324
Ⅳ. 어의차척도 = 326
1. 어의차척도의 의의 = 326
2. 어의차척도의 작성 = 326
3. 어의차척도의 평가 = 328
Ⅴ. 사회적 거리척도 = 330
1.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척도 = 330
2. 소시오메트리 = 334
제8장 資料處理
제1절 資料處理 = 341
Ⅰ. 자료처리의 의의 = 341
Ⅱ. 자료처리의 방법 = 342
1. 수작업집계 = 342
2. 기계집계 = 344
Ⅲ. 컴퓨터의 유용성과 사용조건 = 349
1. 컴퓨터의 유용성 = 349
2. 컴퓨터의 사용조건 = 350
Ⅳ. 컴퓨터의 작업과정 = 350
1. 코드화 작업 = 351
2. 코딩용지 기록작업 = 354
3. 천공작업= 357
4. 컴퓨터 처리 = 357
5. 변수들의 위치설정 = 358
Ⅴ. 컴퓨터의 기본요소 = 359
1. 입력장치 = 360
2. 기억장치 = 360
3. 연산장치 = 360
4. 통제장치 = 360
5. 출력장치 = 361
제2절 資料分析 = 361
Ⅰ. 자료분석의 의의 = 361
Ⅱ. 자료분석의 종류 = 362
1. 기술적 분석 = 362
2. 설명적 분석 = 368
제3절 資料分析의 手段 : 統計 = 378
Ⅰ. 개관 = 378
1. 통계의 의의 = 378
2. 통계의 종류 = 379
Ⅱ. 기술적 통계 = 381
1. 단일변수의 기술적 통계 = 381
2. 복수변수의 기술적 통계 = 388
Ⅲ. 추론적 통계 = 403
1. 추론적 통계의 의의 = 403
2. 추론적 통계의 기술도구 = 404
제4절 調査結果 의 要約 및 報告 = 405
Ⅰ. 요약민 보고의 의의 = 405
Ⅱ. 요약민 보고상의 유의사항 = 406
統計附表一覽 = 409
參考文獻 = 421
찾아보기 = 43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