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역학개론(Introduction of Epidemiology)
제1장 역학개요 = 17
1. 역학의 정의 = 17
2. 역학의 목적 = 19
1) 인구집단의 건강상태 기술(記述) = 19
2) 건강문제의 원인 규명 = 20
3) 인구집단에서의 건강문제 발생 예견 = 21
4) 건강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통제 = 21
...
목차 전체
제1부 역학개론(Introduction of Epidemiology)
제1장 역학개요 = 17
1. 역학의 정의 = 17
2. 역학의 목적 = 19
1) 인구집단의 건강상태 기술(記述) = 19
2) 건강문제의 원인 규명 = 20
3) 인구집단에서의 건강문제 발생 예견 = 21
4) 건강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통제 = 21
5) 보건사업평가 = 22
3. 역학의 역사적 배경 = 23
1) 초기 역학연구 = 23
2) 20세기 초기 역학연구 = 24
3) 만성병 역학연구 = 24
4) 건강증진 역학시기 = 26
4. 역학의 분야 = 27
1) 전염병역학 = 27
2) 만성병역학 = 28
3) 임상역학 = 28
4) 환경역학 = 29
5) 산업역학 = 29
6) 사고역학 = 30
7) 영양역학 = 31
8) 행동역학 = 31
5. 질병발생의 역학적 개념 = 32
1) 질병의 자연사 = 32
2) 원인적 연관성 = 33
3) 원인적 연관성의 확정방법 = 34
제1장 연습문제 = 39
제2장 지역사회 건강수준 cmr정 = 41
1. 측정치의 종류 = 42
1) 발생수 = 42
2) 비 = 43
3) 비율 = 44
4) 조율 = 44
5) 특수율 = 45
6) 표준화율 = 46
2. 출생측정 = 51
1) 조출생률 = 52
2) 출산율 = 52
3) 재생산율 = 54
4) 성비 = 55
5) 그 외 출산력 분석에 사용되는 지수 = 55
3. 사망 측정 = 55
1) 조사망률 = 56
2) 연령별 사망률 = 57
3) 원인별 사망률 = 57
4) 비례사망비 = 58
5) 비례사망지수 = 58
6) 치명률 = 59
7) 영아사망률 = 60
8) 신생아사망률과 후신생아기 사망률 = 60
9) 태아 및 주산기사망률 = 61
10) 태아사망비 = 62
11) 모성사망률 = 62
4. 질병측정 = 71
1) 유병률(Prevalence rate) = 71
2) 발생률(Incidence rate) = 72
3) 발병률(Attack rate) = 75
4) 측정치간의 관계 = 76
5. 인구특성 측정 = 79
1) 연령별 및 성별 인구 구조 = 78
2) 인구증가율 = 79
3) 부양비 = 80
4) 생명표 = 80
6. 측정치의 오류를 유발하는 요인들 = 83
제2장 연습문제 = 83
제3장 한국인의 건강지표 = 87
1. 평균수명 = 87
2. 학생들의 체격 변화 = 88
3. 노인 인구 증가 = 90
1) 고령자규모 및 추이 = 90
2) 고령자의 지역별 분포 = 91
3) 고령자 분포의 국제적 비교 = 92
4. 사망양상 = 94
1) 영아사망률 = 94
2) 모성사망비 = 95
3) 사망률 = 96
5. 상병양상 = 100
1) 전염병 발생 실태 = 100
제3장 연습문제 = 106
제4장 역학연구방법 = 107
1. 기술연구(Descriptive study) = 108
1) 사람의 특성 = 109
2) 장소의 특성 = 110
3) 시간의 특성 = 112
2. 분석연구 = 113
1) 관찰연구 = 114
2) 실험연구 = 124
제4장 연습문제 = 130
제2부 전염병 역학(Infection Disease Epidemiology)
제5장 전염병 역학개요 = 133
1. 전염병 역학 모형 = 133
1) 삼각형 모형 = 133
2) 생태학적 모형 = 143
2. 전염병 생성과정 및 관리방법 = 144
1) 전염병 발생과 관련된 특성 = 145
3. 전염병 역학 단계 = 154
1) 진단의 확인 = 155
2) 유행의 확인 = 155
3) 유행자료의 수집 및 분석 = 156
4) 감염원과 전파방식에 대한 가설설정 = 157
5) 가설의 검정 = 158
6) 방역활동 = 159
7) 보고서 작성 = 159
4. 전염병 관리 원칙 = 160
1) 전염병 관리의 단계적 접근 = 160
2) 전염병의 예방 및 관리 방법 = 160
3) 보건의료인의 역할 = 161
5. 병원감염 = 161
1) 병원감염의 원인 = 161
2) 병원감염 현황 = 162
3) 병원감염관리 대책 = 163
제5장 연습문제 = 164
제6장 법정 전염병 관리 = 165
1. 전염병 감시체계 = 165
2. 법정전염병의 분류 및 변동 추이 = 166
3. 1군 전염병 = 168
1) 장티푸스 = 168
2) 파라티푸스 = 171
3) 콜레라 = 173
4) 세균성이질 = 176
5) 페스트 = 178
6) 장출혈성 대장균 = 181
4. 2군 전염병 = 182
1) 디프테리아 = 182
2) 백일해 = 185
3) 파상풍 = 187
4) 폴리오 = 189
5) 홍역 = 191
6) 유행성 이하선염 = 193
7) 일본 뇌염 = 195
8) B형 간염 = 197
9) 풍진 = 201
5. 3군 전염병 = 203
1) 발진티프스 = 203
2) 성홍열 = 205
3) 수막구균성수막염 = 207
4) 렙토스피라증 = 209
5) 신증후군성 출혈열 = 211
6) 후천성 면역결핍증 = 213
7) 공수병 = 215
8) 말라리아 = 218
9) 발진열 = 220
10) 쯔쯔가무시병 = 222
11) 결핵 = 225
12) 나병 = 230
성병, 성 전파 질환(sexually transmitted disease) = 231
1) 매독 = 232
2) 임질 = 235
3) 연성하감 = 238
4) 레지오넬라증 = 240
5) 인플루엔자 = 242
6) 비브리오 패혈증 = 244
7) 브르셀라증 = 245
8) 탄저 = 246
6. 4군 전염병 = 248
1) 황열 = 248
2) 뎅기열 = 250
3) 마머그열 = 251
4) 에볼라열 = 252
5) 라싸열 = 253
6) 리슈마니아증 = 255
7) 바베시아증 = 256
8) 아프리카 수면병 = 257
9) 크립토스리디움증 = 259
10) 주혈흡충증 = 260
제6장 연습문제 = 262
제3부 만성병 역학(Chronic Disease pidemiology)
제7장 만성병 역학개요 = 265
1. 만성병의 정의 = 265
2. 만성병 역학 모형 = 267
1) 바퀴 모형 = 267
2) 거미줄 모형 = 269
3. 만성병 역학 단계 = 270
1) 역학 대상인 만성병 선정 = 272
2) 선정된 만성병의 분포 기술 = 272
3) 가설 설정 = 273
4) 가설 검정 = 273
5) 만성병 관리 및 예방을 위한 노력 = 274
6) 보고서 작성 = 274
제7장 연습문제 = 275
제8장 암 역학 = 277
1. 암 사망률 = 277
2. 암의 종류 = 280
1) 위암 = 281
2) 간암 = 282
3) 폐암 = 283
4) 대장암 = 284
5) 자궁암 = 285
6) 유방암 = 285
3. 암의 유발 요인 = 286
1) 숙주 요인 = 286
2) 환경 요인 = 288
3) 각종 암의 유발요인 = 293
4. 암의 예방 = 295
1) 암 위험 사정 = 296
2) 암의 조기 발견 = 299
3) 암 조기 발견을 위한 지침 = 303
4) 검진 방법의 정확성 = 306
제8장 연습문제 = 309
제9장 심혈관계 질환 역학 = 311
1. 심혈관계 질환 사망률 = 311
2. 심혈관계 질환의 종류 = 314
1) 동맥경화증 = 314
2) 고혈압 = 314
3) 심장마비 = 318
4) 뇌졸중 = 319
3. 심혈관계 질환의 유발 요인 = 319
1) 흡연 = 319
2) 고혈압 = 320
3) 고지방식이 = 320
4) 스트레스 = 320
5) 운동부족 = 321
4.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 321
1)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도 평가 = 321
2) 심혈관계 질환 위험 정도 줄이기 = 322
제9장 연습문제 = 327
제4부 건강증진 역학(Health Promotion Epidemiology)
제10장 건강증진 역학 개요 = 331
1. 건강증진의 개념 = 332
2. 건강증진 활동 = 337
1) 1차 예방 = 339
2) 2차 예방 = 341
3) 3차예방 = 342
3. 국민건강목표 = 346
1) 우리나라 건강목표 = 344
2) 미국의 건강목표 = 346
3) 일본의 국민건강목표 = 347
4) 영국의 국민건강목표 = 348
5) 캐나다의 국민건강목표 = 348
4. 건강증진 역학 단계 = 349
1) 건강증진 역학 대상인 건강행위 선정 = 350
2) 선정된 건강행위의 분포기술 = 351
3) 가설 설정 = 351
4) 가설 검정 = 351
5) 건강행위 관리 및 예방을 위한 노력 = 353
6) 보고서 작성 = 353
제10장 연습문제 = 354
제11장 건강행위와 건강증진 = 355
1. 건강행위 = 345
2. 건강위험 행위 = 356
1) 흡연 = 356
2) 음주 = 360
3) 식습관 = 362
4) 식품 및 영양소 섭취실태 = 364
5) 수면 = 364
6) 스트레스 = 366
3. 건강 기여 행위 = 368
1) 운동 = 368
2) 체중조절 = 370
3) 건강검진 = 372
4) 구강보건 = 374
4. 건강행위의 사정 = 375
1) 흡연 = 376
2) 음주나 약물 복용 = 376
3) 식습관 = 376
4) 운동 = 377
5) 스트레스 = 377
6) 안전 = 378
5. 건강행위가 건강에 미친 영향 = 378
제11장 연습문제 = 380
제12장 건강행위와 예측모델 = 381
1. 건강신념모델(HBM : Health Belief Model) = 382
1) 건강신념모델 개요 = 382
2)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연구 = 386
2. 건강증진모델(HPM : Health Promotion Model) = 390
1) 건강증진모델 개요 = 390
2) 건강증진모델을 이용한 연구 = 395
3. 합리적 행동이론(TRA : Theory of Reasoned Action) = 397
1) 합리적 행동이론 개요 = 397
2) 합리적 행동이론을 이용한 연구 = 402
4. 계획된 행위이론(TPB : Theory of Planned Behavior) = 403
1) 계획된 행위이론 개요 = 403
2) 계획된 행위이론을 이용한 연구 = 406
5. 범 이론적 모델(TTM : Trans-theoretical model) = 406
1) TTM 개요 = 406
2) TTM을 이용한 연구 = 409
6. PRECEDE 모델 및 PRECEDE-PROCEED모델 = 409
1) PRECEDE 모델 개요 = 409
2) PRECEDE 모델을 이용한 연구 = 413
제12장 연습문제 = 427
제13장 건강증진 전략 = 429
1. 체중관리 = 430
1) 비만의 원인 = 430
2) 비만측정 = 433
3) 체중관리 전략 = 436
4) 체중관리 연구의 예 = 441
2. 운동관리 = 443
1) 운동의 종류 = 444
2) 운동의 효과 = 445
3) 운동관리 전략 = 446
4) 운동관리 연구의 예 = 457
3. 금연관리 = 461
1) 담배의 구성물질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 462
2) 흡연상태의 측정 = 464
3) 금연관리 전략 = 465
4) 금연관리 연구의 예 = 470
4. 스트레스 관리 = 476
1)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원의 개념 = 477
2) 스트레스 증상 = 478
3) 스트레스 측정 = 480
4) 스트레스 관리 전략 = 481
5) 스트레스 관리 연구의 예 = 485
제13장 연습문제 = 488
참고문헌 = 491
찾아보기 = 495
부록
【부록 2-1】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 63
【부록 2-2】 한국간이 사인분표(124항목) = 67
【부록 2-3】 1999년 간이생명표(전체인구) = 82
【부록 13-1】 점진적 근육이완요법 = 48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