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삐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삐아제의 생애 = 17
이론 소개 및 내용 구성 = 19
제1장 지적 발달의 메카니즘과 감각운동기 = 21
1. 지적 발달의 메카니즘 = 22
2. 감각운동 발달의 6단계 = 31
3. 대상 개념의 발달 = 38
제2장 전조작기 = 45
1. 표상 능력의 발달 = 46
2. 전조작기 사고의 제한점...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삐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삐아제의 생애 = 17
이론 소개 및 내용 구성 = 19
제1장 지적 발달의 메카니즘과 감각운동기 = 21
1. 지적 발달의 메카니즘 = 22
2. 감각운동 발달의 6단계 = 31
3. 대상 개념의 발달 = 38
제2장 전조작기 = 45
1. 표상 능력의 발달 = 46
2. 전조작기 사고의 제한점 = 50
3. 언어와 사고 = 56
제3장 구체적 조작기 = 69
1. 구체적 조작기 사고의 주요 특징 = 70
2. 구체적 조작기에 발달되는 구조들 = 78
제4장 형식적 조작기와 삐아제 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85
1. 형식적 조작기 사고의 주요 특징 = 86
2. 형식적 조작기에 발달되는 구조들 = 90
3. 형식적 사고의 내용 = 101
4. 삐아제 이론이 교수ㆍ학습에 주는 시사점 = 111
제2부 비고츠키의 교수ㆍ학습이론
비고츠키의 생애 = 119
내용 구성 = 120
제5장 고등정신기능의 사회적 기원 = 123
1. 초등정신기능과 고등정신기능 = 124
2. 내면화 = 126
3. 발달을 위한 매개 : 언어와 사고 = 130
제6장 발달과 교수ㆍ학습 = 151
1. 발달 = 151
2. 근접발달영역 = 159
3. 교수ㆍ학습과 발달 = 171
제7장 교수ㆍ학습의 조건 = 177
1. 교육적 만남 = 177
2. 교육적 상호작용 = 183
3. 비계설정 = 188
4. 역동적 평가 = 196
제8장 삐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 = 203
1. 지식발달의 기제 : 평형화와 내면화 = 203
2. 언어와 사고 = 206
3. 학습과 발달 = 209
4. 상호작용의 대상과 과정 = 211
제3부 장상호의 교육적 인식론
장상호의 생애 = 219
내용 구성 = 219
제9장 상구 활동으로서의 배움 = 223
1. 상구의 의미 = 224
2. 상구의 내재율 = 227
3. 진정한 상구 활동을 위한 물음 = 238
제10장 하화 활동으로서의 가르침 = 243
1. 하화의 의미 = 244
2. 하화의 내재율 = 247
3. 진정한 하화 활동을 위한 물음 = 258
제11장 상구 활동과 하화 활동의 만남 = 263
1.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교육의 관점 변화 = 264
2. 교육적 공조(共助)의 공간 마련을 위한 내재율 = 275
3. 교육적 인식론에서의 교수ㆍ학습 사례 = 289
제4부 실천적인 교수 전략의 이해
내용 구성 = 303
제12장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이론 = 305
1. 유의미학습의 이해 = 306
2. 유의미학습의 실천 전략 = 315
3. 유의미 교수ㆍ학습 모형 = 322
제13장 질문의 기술 = 327
1. 질문과 대답의 주체 = 328
2. 교사가 가져야 할 질문의 기술 = 329
3. 학생이 가져야 할 질문의 기술 = 346
제14장 인지 전략 = 353
1. 인지 양식 = 354
2. 인지 전략 = 358
3. 초인지를 활용한 학습 = 370
4. 인지 전략의 교수법 = 374
제15장 마인드 맵 = 381
1. 마인드 맵 이해 = 382
2. 마인드 맵 배우기 = 385
3. 마인드 맵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안 = 40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