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저자 서문
1부 서론
1장 커뮤니케이션 정책 현상 및 정책 연구 = 3
1.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의 대상 = 3
2.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의 이론적 자원 = 7
3.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 방법 = 10
4. 정책 연구의 발전 과정 및 최근 동향 = 14
1) 발전 과정 = 14
2) 최근 동향 = 16
5. 국내에...
목차 전체
저자 서문
1부 서론
1장 커뮤니케이션 정책 현상 및 정책 연구 = 3
1.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의 대상 = 3
2.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의 이론적 자원 = 7
3.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 방법 = 10
4. 정책 연구의 발전 과정 및 최근 동향 = 14
1) 발전 과정 = 14
2) 최근 동향 = 16
5. 국내에서의 발전 과정 및 최근 동향 = 19
6.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를 둘러싼 시비들 = 21
1) 중립성, 객관성 시비 = 21
2) 학술성 시비= 23
3) 유용성 시비= 26
7. 향후 전망 및 과제 = 28
2부 커뮤니케이션 정책 이념
2장 공익 이념의 근거와 변화 = 35
1. 공익론과 산업론의 비교 = 38
2. 공익 개념 = 38
1) 사전적 의미 = 38
2) 실체설과 과정설 = 39
3. 방송에 있어서의 공익 개념 = 42
4. 방송 공익성의 실체설적 근거와 그 변화 = 46
1) 주파수의 희소성 = 46
2) 공공재 / 공공 산업= 50
5. 과정설적 입장에서의 비판 = 59
1) 정치적 산물로서의 공익 이념 도입 = 60
2) 정치적 과정으로서의 방송 정책 결정 과정과 공익 개념 = 62
6. 공익 이념의 새로운 지향점 = 63
3장 변화하는 방송 환경과 새로운 이념적 지향점 = 69
1. 보편적 서비스 = 69
1) 보편적 서비스의 개념 = 70
2) 공익 이념과 보편적 서비스 이념의 비교 = 74
2. 프로그램 질과 다양성 = 78
1) 다매체 다채널화와 프로그램의 다양성 = 78
2) 다매체 다채널화와 프로그램의 질 = 81
3.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 = 86
4. 이념적 목표의 구체화 = 87
5. 방송환경 변화와 우리나라의 방송 정책 이념 = 89
1) 변화를 수용하고자 하는 시도 = 89
2) 종래 우리나라의 방송 기본 이념에 대한 평가 = 92
4장 이념형적 지역주의와 그 현실적 전개 = 98
1. 지역주의 이념의 부상 = 98
2. 일반적인 의미의 지역주의 = 100
3. 방송에 있어서의 지역주의의 의미 = 104
4. 우리나라 방송에 있어서 지역주의의 현실적 전개 = 110
1) 1990년대 이전 = 111
2) 1990년대 이후 = 114
5. 지역주의 실현의 현황과 과제 = 119
5장 방송통신 융합환경 하의 새로운 정책 이념 - 연결된 개인주의 = 126
1. 방송통신 융합논의의 한계 = 126
2. 매체 융합의 사회적 맥락 :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 = 128
3.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방송과 통신의 변화 = 133
1) 방송의 변화 = 134
2) 통신의 변화 = 140
4. 새로운 정책 이념으로서의 연결된 개인주의 = 143
3부 커뮤니케이션 정책 결정 과정
6장 방송 정ㅊ액 결정 과정의 특성 및 주요 행위자 = 149
1. 정책 결정 과정 = 149
2. 방송 정책 결정 과정 = 150
3. 우리나라의 방송 정책 결정 과정 : 주요 행위자와 상호작용의 특성 = 155
4. 방송위원회 = 162
1) 구성과 업무 = 163
2) 방송위원회 실무조직 = 166
3) 중간실무조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 171
<별첨1> 방송위원회 위원 = 175
<별첨2> FCC의 구조 및 운영현황 = 177
7장 방송통신 규제기구 통합 정책 논의 사례 = 187
1. 방송통신 규제기구 통합을 둘러싼 논란 = 187
2. '방송통신 규제기구 통합'의 정책 사안적 성격 = 188
3. 방송통신 규제기구 통합을 둘러싼 주요 행위자들의 특성과 대응 = 191
1) 행정기구 = 191
2) 국회 = 197
3) 시민단체 / 언론노조 = 199
4) 청와대 = 200
4. 방송통신 규제기구 통합과 관련된 논의 내용 = 200
1) 방송통신 규제기구 통합방안 = 200
2) 해외 규제기구 사례 = 204
5. 방송통신 규제기구 통합 논의에 대한 평가와 전망 = 210
<별첨1> 방송통신 규제기구 통합 관련 주요 논의들 = 214
<별첨2> 방송통신 통합 정책, 규제기구로서의 FCC 설립의 역사적 배경
4부 미디어 조직 관련 쟁점
8장. 지상파 방송사 조직 구조와 여성 인력의 지위 = 237
1. 방송사 조직과 여성인력 = 237
2. 분석틀: 지상파 방송사의 조직구조 = 239
3. 자료수집방법 = 248
4. 분석결과 = 250
1) 전체여성 인력의 규모 및 연도별 변화추이 = 250
2) 수직적 직위구조와 여성인력 = 254
3) 직무구조와 여성 인력 = 254
4) 고용지위의 안정성 = 259
5) 비공식적 조직 구조와 여성 인력 = 261
5. 지상파 방송사 조직에 있어서의 성적 불평등 = 265
9장. 지상파 방송사 내 부서별 문화의 차이 = 273
1. 방송사 조직 문화와 부서별 하위문화 = 273
2. 부서별 하위문화의 의미와 유형 = 274
3. 방송사의 부서 단위 하위문화와 그 함의 = 278
1) 방송사의 부서 단위 하위문화 = 278
2) 부서별 하위문화와 가치지향성 간의 관계 = 280
4. 연구방법 = 281
1) 연구 설계 및 표집 = 281
2) 측정 척도 및 자료분석 방법 = 282
5. 연구결과 = 284
1) 주요 변인값 = 284
2)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 = 285
3) 연구문제 2의 분석결과 = 289
6. 부서 단위 하위문화의 현황 및 함의 = 290
5부 프로그램 유통관련 쟁점
10장.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의 외주 정책 = 299
1. 외주 정책을 둘러싼 논쟁 = 300
2. 방송 정책 사안으로서의 외주 정책의 특성 = 300
1) 지상파 방송사와 독립제작사 간의 구조적 거래관계 = 300
2) 정책 사안으로서의 외주 정책의 특성 = 302
3. 외주 정책의 도입 및 추진경과 = 304
1) 도입과정 = 304
2) 추진경과 = 306
4. 외주정책의 도입 및 추진경과 = 304
1) 외주 정책 옹호 논리 = 308
2) 외주 정책 반박논리 = 309
3) 성과에 관한 해석 = 312
5. 외주정책을 둘러싼 논리적 공방의 평가 = 313
6. 외주 정책에 대한 평가 = 318
11장. 지상파 프로그램 재전송 = 322
1. 다매체 다채널화와 지상파 TV 프로그램 재전송 = 323
2. 미국에 있어서 지상파 재전송 정책의 도입 및 발전 = 324
1) 재전송 규제정책의 도입 = 324
2) 케이블 TV 에 대한 규제완화와 재전송 정책 = 327
3) 재규제 정책으로의 전환과 재전송 정책 = 329
3. 미국 지상파 재전송 정책의 주요내용 = 332
1) 원격신호의 재전송 = 332
2) 권역 내 지역 방송신호의 의무재전송 = 333
3) 재전송 동의(retransmission consent) = 334
4) 위성 방송의 지상파 재전송 = 335
5)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른 쟁점들 = 337
4. 우리나라에 있어서 지상파 재전송 정책의 도입 및 발전과정 = 339
1) 재전송 규제정책의 도입 = 339
2) 역외 재전송 문제의 대두와 갈등의 고조 = 342
3) 탈규제 방향으로의 정책전환 모색 = 344
5. 재전송정책의 현황과 과제 = 346
6부 새로운 매체의 도입 관련 쟁점
12장. 초고속정보고속도로 상의 커뮤니케이션- 그 현실과 신화 = 355
1. 초고속정보고속도로의 신화 = 355
2. 정보화 = 357
3. 탈 매스 = 360
4. 공공정보 서비스 = 367
5. 정보고속도로 논의에 대한 종합적 평가 = 370
13장. 다채널화가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 = 375
1. '다채널화'의 영향에 대한 재검증의 필요성 = 376
2. 다채널화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래의 논의들 = 377
1) 다채널화에 따른 텔레비전 시청형태의 변화 = 378
2) 다채널화에 따른 타 매체 이용과 여타 생활시간의 변화 = 382
3) 다채널화와 매체환경의 격차 = 383
3. 연구방법 = 384
1)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384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 385
3) 주요변수의 기술 통계 = 387
4. 연구결과 = 388
1) 다채널화에 따른 텔레비전 시청형태의 변화 = 388
2) 다채널화에 따른 타 매체 이용과 여타 생활시간의 변화 = 393
3) 다채널화와 매체환경의 격차 = 394
5. 다채널화의 실질적 영향 = 396
14장. 위성 방송 도입에 따른 위성방송과 케이블 TV간 경쟁 = 405
1. 다매체 다채널 상황의 전개와 매체 간 경쟁 = 405
2. 위성 방송과 케이블 TV간의 경쟁 관련 쟁점들 = 407
1) 다채널 TV 방송 사업의 사업부문 및 연계방식 = 407
2) 주요 경쟁관련 쟁점들 = 409
3. 우리나라 위성 방송 도입초기에 예상되는 쟁점들 = 416
1) 서비스 제공을 둘러싼 쟁점 = 416
2) 채널확보를 둘러싼 쟁점 = 419
3) 망의 확보 관련 쟁점 = 423
4. 향후 전망과 과제 = 425
15장. DMB 도입 정책의 쟁점과 과제 = 429
1. DMB를 둘러싼 기대와 불안감 = 429
2. DMB의 매체적 특성과 정책적 과제 = 431
3. DMB에 있어서 공공적 목표 = 435
1) DMB가 담보해야 할 공공적 목표 = 436
2) 실제적인 DMB 정책에서 드러난 공공적 목표들 = 441
3) DMB의 공공적 목표와 공영 방송사의 역할 = 446
4. DMB 의 정책목표와 사업자 구도 = 447
1) 위성 DMB와 지상 DMB의 구분 = 448
2) 지상파 DMB 사업자 선정 방식 = 450
3) DMB 사업자 구도와 보편적 서비스 = 452
5. 현황과 과제 = 453
7부 격차의 문제
16장. 지식격차효과의 이론적 토대 = 461
1. 문제의 제기 = 462
2. 지식격차가설 및 그 이론적 배경 = 463
1) 지식, 격차 및 가설 = 463
2) 지식격차연구의 이론적 토대 = 465
3) 이론적 토대의 재평가 = 466
3. 지식격차 연구를 위한 이론 틀의 재구성 = 467
1) 정보와 메시지 = 467
2) 채널 = 470
3) 메시지의 해석 = 474
4) 수용자의 구성 = 478
5) 지식격차가설 = 480
4. 지식격차 이론 틀의 적용 = 482
1) 기존 연구결과의 재평가 = 482
2) 정보화 = 486
5.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 490
17장. 이동전화 격차 = 496
1. 다기능 전천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이동전화 = 495
2, 이동전화의 매체 특성과 격차의 가능성 = 496
3. 이동전화격차의 개념화 = 499
4. 이동전화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03
5. 연구방법 = 506
6. 연구결과 = 508
1) 단말기 접근 = 508
2) 이동전화 이용량 = 510
3) 이동전화 이용숙련도 및 이용성과 = 511
7.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자본요소로서의 이동전화 = 513
후기 = 519
찾아보기 = 52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