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
1. 세계화의 개념 = 13
2. 세계화의 특징 = 14
3. 새로운 형태의 관리체제 = 16
4. 세계화와 국가이익 = 18
5. 세계화의 문제점 = 20
6. 본 연구의 개요 = 22
제2장 세계화와 21세기 국제질서 전망
1. 국제질서의 이해 = 28
2. 국제질서의 변화전망 = 42
3. 미국 패권체제 =...
목차 전체
제1장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
1. 세계화의 개념 = 13
2. 세계화의 특징 = 14
3. 새로운 형태의 관리체제 = 16
4. 세계화와 국가이익 = 18
5. 세계화의 문제점 = 20
6. 본 연구의 개요 = 22
제2장 세계화와 21세기 국제질서 전망
1. 국제질서의 이해 = 28
2. 국제질서의 변화전망 = 42
3. 미국 패권체제 = 58
제3장 민주평화론
1. 자유주의 및 신자유제도주의와 평화 = 65
2. 민주평화론 = 70
3. 21세기 동아시아 신질서 모색 = 74
제4장 인간안보
1. 서론 = 79
2. 인간안보의 개념 = 81
3. 인간안보, 포괄적 안보 및 국가안보 = 86
4. 결론 = 90
제5장 인종 분쟁
1. 서론 = 95
2. 공동체간 분쟁 = 96
3. 아시아에서 진행중인 공동체간 분쟁 = 100
1) 스리랑카 = 100
2) 아프가니스탄 = 104
3) 인도네시아 = 107
4) 파키스탄 = 112
4. 결론: 아시아에서의 공동체간 분쟁관리 = 114
제6장 강대국의 개입
1. 개입에 대한 정의 = 121
2. 개입의 정당화 = 123
3. 개입과 비개입 = 129
제7장 국제테러리즘
1. 문제제기 = 133
2. 냉전과 테러리즘 = 136
3. 세계화와 테러리즘 = 145
1) 탈냉전과 '새로운 세계 무질서'(new world disorder)의 등장 = 145
2) 세계화와 테러리즘의 변화 = 147
4. 21세기 테러리즘 = 152
1) 마약 테러리즘(narco-terrorism) = 152
2) 슈퍼 테러리즘(super terrorism) = 154
5. 결론 = 160
제8장 국제마약밀매
1. 마약의 이해 = 165
1) 마약의 기원 = 165
2) 마약의 종류 = 167
2. 국제마약밀매의 일반적 구조 = 171
3. 국제마약밀매의 역사 = 177
1) 1950년대: 쿠바 커넥션과 LCN의 전성기 = 179
2) 1960년대: 프렌치 커넥션과 코르시칸 조직의 전성기 = 182
3) 1970년대: 피자 커넥션과 시실리 마피아의 전성기 = 184
4) 1980년대: 반공 커넥션과 메데진 카르텔의 전성기 = 186
5) 1990년대: 세계화와 마약밀매의 확산 = 189
4. 21세기 국제마약밀매의 전망 = 191
제9장 국제조직범죄
1. 조직범죄의 이해 = 197
1) 조직범죄의 개념 = 197
2) 조직범죄의 특징 = 199
2. 국제조직범죄의 역사 = 201
1) 중국계 삼합회(Chinese Triad) = 201
2) 일본 야쿠자(Japanese Yakuza) = 204
3) 시실리 마피아(Sicilian Mafia) = 208
4) 미국 마피아(La Cosa Nostra) = 212
5) 중남미 카르텔(Colombian & Mexican Cartels) = 216
6) 러시아 마피아(Russian Mafia) = 220
3. 국제조직범죄의 새로운 경향 = 223
1) 탈냉전과 회색지대현상의 등장 = 223
2) 조직범죄의 정치화 현상 = 225
4. 21세기 국제조직범죄의 전망 = 228
제10장 네트전
1. 문제제기 = 233
2. 네트전(netwar)의 개념 = 236
3. 네트전에서의 주요 논쟁 = 241
1) 네트전에 대해: 낙관주의 vs. 염세주의 = 241
2) 네트전의 행위자에 대해: 해커 vs. 크래커 = 243
3) 네트전에 대비한 정부의 통제에 대해: 프라이버시 vs. 국가안보 = 244
4. 네트전의 전망 = 247
참고문헌 = 251
찾아보기 = 26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