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조선민족 전통체육에 관한 토론회
전통민족놀이와 민족동질성 회복 / 이진수 = 15
씨름의 유래와 경기방법 / 황의룡
Ⅰ. 서론 = 30
Ⅱ. 씨름의 유래와 발전과정 = 32
1. 씨름의 기원 = 32
2. 전근대사회의 씨름 = 37
3. 씨름의 근대화 과정(1876~1945) = 43
4. 해방 후의 씨름 = 4...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조선민족 전통체육에 관한 토론회
전통민족놀이와 민족동질성 회복 / 이진수 = 15
씨름의 유래와 경기방법 / 황의룡
Ⅰ. 서론 = 30
Ⅱ. 씨름의 유래와 발전과정 = 32
1. 씨름의 기원 = 32
2. 전근대사회의 씨름 = 37
3. 씨름의 근대화 과정(1876~1945) = 43
4. 해방 후의 씨름 = 49
Ⅲ. �U음말 = 59
文化領地 속의 조선민족 씨름 / 윤학주
Ⅰ. 서론 = 64
Ⅱ. 민족 생존위기 시기에 보여준 조선민족 씨름 = 65
Ⅲ. 헤방 후 국제교류로 발전한 씨름운동 = 68
Ⅳ. 한ㆍ중 씨름 명칭의 변천과정에 보인 씨름문화 = 71
Ⅴ. 결론 = 75
활쏘기의 유래와 경기방법 / 손환
Ⅰ. 서론 = 76
Ⅱ. 활쏘기의 유래 = 77
Ⅲ. 활쏘기의 발전과정 = 79
1. 삼국시대 이전 = 79
2. 삼국시대 = 80
3. 고려시대 = 82
4. 조선시대 = 84
5. 구한말 및 일제시대 = 86
6. 대한궁도협회의 창립과 활동 = 91
Ⅳ. 활쏘기의 경기방법 = 93
1. 용구 = 93
2. 시설 = 96
3. 경기방법 및 규칙 = 99
Ⅴ. 결론 = 100
그네뛰기 및 널뛰기의 유래와 경기방법 / 김동선
Ⅰ. 들어가는 말 = 104
Ⅱ. 그네뛰기의 유래 = 108
1. 고려시대 = 113
2. 조선시대 = 117
3. 근ㆍ현대 = 122
Ⅲ. 그네뛰기의 경기방법 = 123
1. 종류 = 123
2. 시설 = 125
3. 경기방법 = 125
Ⅳ. 널뛰기의 유래 = 126
1. 널뛰기와 유구의 판무희 = 127
2. 널뛰기 민속과 시가 = 131
Ⅴ. 널뛰기의 경기방법 = 133
1. 시설 = 133
2. 종류 = 133
3. 경기규칙 = 134
Ⅵ. 나가는 말 = 135
중국 조선족 민속그네의 전승과 발전과정에 대한 사적고찰 / 김영웅
Ⅰ. 들어가며 = 149
Ⅱ. 민속놀이 그네의 유래 = 151
Ⅲ. 중국 조선족 그네의 전승과 변천과정 = 153
1. 전승과 도입단계 = 153
2. 민속놀이로부터 체육종목으로의 형성단계 = 155
3. 그네 경기화와 민속문화의 충돌 단계 = 157
Ⅳ. 맺으면서 = 158
택견의 유래와 경기방법 / 이승수
Ⅰ. 머리말 = 160
Ⅱ. 택견의 유래 = 162
1. 근대 이전 = 162
2. 근대 이후 = 182
Ⅲ. 택견의 경기방법 = 192
1. 광복 이전의 택견 경기방법 = 192
2. 광복 이후 택견 경기방법의 체계화과정 = 193
3. 1983년 문화재 지정 이후 경기방법의 변화 = 194
Ⅳ. 맺는말 = 203
연변 조선족 체육운동 산생과 발전으로 본 남북체육교류의 필요성 / 리재호 ; 김룡철
Ⅰ. 서론 = 207
Ⅱ. 연변지구의 자연 개황과 간도성 명칭의 유래 = 208
Ⅲ. 연변지구 개척과 조선민족 이주 및 문화 특색 = 210
Ⅳ. 학교 설립과 체육운동의 산생 발전 = 212
Ⅴ. 연변지구의 체육경기 상황 = 215
Ⅵ. 중국조선민족으로 불리게 된 유래 = 221
Ⅶ. 결론 = 222
무용극「사도성 이야기」로 본 최승희 무용 / 김은한
Ⅰ. 들어가며 = 225
Ⅱ. 무용극「사도성 이야기」의 전체 구성 = 226
1. 작품의 개괄 = 226
2. 작품의 줄거리와 주제 = 227
3. 무용영화에서 보이는 무용작품과 소재 = 230
4. 음악적 경향 = 231
5. 의상 및 무대예술 = 235
Ⅲ.작품에서 보는 무용형상 기법 = 237
1. 특징적인 동작 기법 = 237
2. 극적 연출기법 = 241
3. 움직임과 공간구도 = 242
Ⅳ. 맺으며 = 244
최승희 무용실체에 대한 연구 / 이애순
Ⅰ. 서론 = 249
Ⅱ. 무용이론실체에로의 접근 = 251
1. 이론실체에로의 접근 = 251
2. 이론실체에로의 이론적 접근 = 257
3. 이론실체에로의 총체적 접근 = 263
Ⅲ. '기본'실체의 특징과 발전구조 = 267
1. '기본'의 구성 및 원칙 = 267
2. '기본'의 전통 토대 = 271
3. '기본'의 참조계통 = 274
4. '기본'의 발전구조 = 277
토론 정리
씨름의 역사사회학적 변화과정 / 김춘식 = 284
파씨름에서 왼씨름으로 전환된 배경 / 김재우 = 287
한민족 체육교류의 새로운 정형 / 임태성 = 290
남북 민속놀이 교류에의 기대 /김청운 = 296
전통적인 민속문화요소 해석의 한계 /고재곤 = 305
왜곡된 택견의 정통성 바로잡아야 /김현석 = 309
중국 조선족사회의 문화전환기능 / 김창권 = 314
최승희 무용에 대한 첫 미시적 연구 / 이애순 = 317
최승희 무용실체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양정수 = 319
제2부 ‘민족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체육인의 역할’ 세미나
민족통일기반 조성과 체육인의 역할 / 서병철
Ⅰ. 서론 = 324
Ⅱ. 남북한 체육교류ㆍ협력 현황 및 성과 = 326
Ⅲ. 독일의 교훈 = 327
Ⅳ. 체육인의 역할에 거는 기대 = 328
북ㆍ미관계 개선과 재미 체육인의 역할 / 양동자
Ⅰ. 서론 = 330
Ⅱ. 북ㆍ미관계의 개선 = 332
1. 미국의 의지와 세계비전 = 332
2. 북ㆍ미관계의 과거와 현재 = 334
3. 북ㆍ미관계 개선 = 334
Ⅲ.재미동포 체육인의 역할 = 336
1. 재미동포 체육인의 실태 = 336
2. 미국체육의 조직기구와 관리 = 340
3. 대한체육회와 대한체육회 미주지부 = 341
4. 재미동포 체육인의 역할 = 342
Ⅳ.결론 및 제언 = 343
민단ㆍ조총련 화합과 단결 위한 체육인의 역할 / 신혜일
Ⅰ. 머리말 = 345
Ⅱ. 민단ㆍ조총련의 화합ㆍ단결과 체육인의 역할 방안 = 346
Ⅲ. 결론 = 349
민족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재중 체육인의 역할 / 윤학주
Ⅰ. 역사상으로 본 한반도 북반부 지역과 중국 조선족 체육인간의 빈번한 왕래 = 352
Ⅱ. 한반도 남북분단의 역사조건하에서 재중 조선족 체육인이 해야 할 역할 = 355
Ⅲ. 남북한 체육교류를 위해 재중 조선족 체육인들이 넘어야 할 과제 = 356
한반도 체육통합을 위한 체육단체ㆍ체육학술기관의 역할 / 박영옥
Ⅰ. 들어가며 = 359
Ⅱ. 체육교류와 체육인, 체육단체, 학술단체 역할 = 360
1. 6ㆍ15 이후 남북체육교류 = 360
2. 체육교류의 범위와 체육단체의 역할 평가 = 362
Ⅲ. 한민족체육의 통합과 체육단체ㆍ학술단체의 과제 = 364
1. 한민족체육의 통합 : 사회통합에서 체계통합으로 = 364
2. 체육단체와 학술단체의 역할 = 366
Ⅳ. 나가는 글 = 370
토론 정리
우회전략 구사하는 지혜와 체계 / 신승호 = 373
재미 체육인들의 대북 체육활동 / 정영태 = 384
검토되어야 할 조총련의 국내체육대회 참가 / 손환 = 391
하나가 되기 위한 준비 / 서상옥 = 394
연변 조선족은 한국인 아닌 중국의 한 소수민족 / 이선한 = 411
중국 조선족의 조정자 역할 가능성 / 이주형 = 415
민족통일기반 조성과 연변대학교의 역할 / 손동식 = 418
민족통일체육연구원의 사명과 역할 / 박주한 = 421
남북체육정보망 구축과 공동학술연구의 필요성 / 박진경 = 43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