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부 독일어 구조와 의미기술을 위한 언어학적인 소고 / 신수송 = 13
1. 언어연구의 역사적인 발자취 = 14
2. 독일어의 구조와 의미 = 46
제2부 음운론 / 유시택 = 75
1. 음운론 -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인가? = 75
2. 발음의 두 가지 표기형태 = 76
3. 소리를 구분하는 기준 = 83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부 독일어 구조와 의미기술을 위한 언어학적인 소고 / 신수송 = 13
1. 언어연구의 역사적인 발자취 = 14
2. 독일어의 구조와 의미 = 46
제2부 음운론 / 유시택 = 75
1. 음운론 -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인가? = 75
2. 발음의 두 가지 표기형태 = 76
3. 소리를 구분하는 기준 = 83
4. 변별자질 = 93
5. 자질수형도 = 107
6. 단어의 운율구조 - 형태적인 구조 vs. 음운적인 구조 = 111
7. 음절 = 116
8. 음보 = 128
9. 음운단어 = 134
10. 최소단어 Minimales Wort = 137
참고 문헌 = 140
제3부 통사론 = 143
Ⅰ. 문장의 구조 / 구명철 = 143
1. 문법적 범주 : 품사 = 143
2. 문장의 구성 = 150
3. 문법적 관계 = 155
4. 문장성분 = 165
5. 독일어 문장 구조상의 특징 = 174
참고문헌 = 183
Ⅱ. 생성문법론 / 신효식 = 185
1. 개요 = 185
2. 연구대상 및 주요개념 = 186
3. 문법모형 = 188
4. 어휘부(Lexikon)의 구성 = 190
5. 통사부의 문법원리 = 194
6. 독일어의 정동사 두 번째 위치 현상 = 207
7. 최소주의 문법 = 212
8. 맺는 말 = 217
참고 문헌 = 219
제4부 의미론 = 221
Ⅰ. 어휘 의미론 / 류병래 = 221
1. 서론 = 221
2. 기호로서의 언어 표현과 의미의 의미 = 226
3. 지시 의미론적 관계와 의의 의미론적 관계 = 242
4. 의미분석 방법론 = 259
5. 어휘 의미론의 최근 연구 경향과 활용 = 274
6. 맺는 말 = 282
참고문헌 = 285
Ⅱ. 문장 의미론 / 이해윤 = 288
1. 문장의 의미란? = 288
2. 형식 의미론 = 295
3. 형식의미론의 한계 = 315
4. 맺는 말 = 319
참고 문헌 = 321
제5부 화용론 / 강창우 = 323
1. 화용론의 연구 대상 = 323
2. 화행 = 329
3. 대화함축 = 346
4. 전제 = 354
5. 맺는 말 = 363
참고 문헌 = 366
제6부 독일어의 시제와 상 / 신수송 = 369
1. 서론 = 369
2. 시제 = 371
3. 상(Aspekt) : 전통문법에서의 표준적인 상의 특성 = 390
4. 시·상 체계에 대한 새로운 페러다임 = 396
5. 시간 일치 = 407
참고 문헌 = 415
제7부 독일어의 습득 : 형태론 지식 습득의 인지과정 / 홍우평 = 417
1. 들어가는 말 = 417
2. 언어습득론의 핵심적 쟁점과 실증적 증거 = 418
3. 독일어 형태론 지식 습득의 인지과정 = 434
4. 나오는 말 = 452
참고 문헌 = 454
제8부 전산독어학의 이해 : 디지털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 이민행 = 459
1. 들어가는 말 = 459
2. 독일어 한정절 문법과 자동 문장분석 = 460
3. 자동 문장분석 방법 - 챠트파싱 = 468
4. 담화분석 - 대명사의 선행사 탐색 = 482
5. 국내 연구동향과 앞으로의 전망 = 495
참고 문헌 = 497
부록 SWI-Prolog의 사용법 = 500
찾아보기 = 50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