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서론 = 11
1.1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 11
1.2 논의의 구성 = 14
1.3 연구 대상 자료 = 16
제2장 구결과 구결문 = 19
2.1 현결방식 = 19
1. 구결의 개념 = 19
2. 분절 기준 = 21
3. 현결태도 = 22
4. 간접현결 = 23
5. '이-'와 '하-'의 용법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서론 = 11
1.1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 11
1.2 논의의 구성 = 14
1.3 연구 대상 자료 = 16
제2장 구결과 구결문 = 19
2.1 현결방식 = 19
1. 구결의 개념 = 19
2. 분절 기준 = 21
3. 현결태도 = 22
4. 간접현결 = 23
5. '이-'와 '하-'의 용법 = 25
6. 연첨형구결 = 28
7. 시가자료의 현결 = 33
2.2 구결 형태의 용법 = 35
1. 조사류 = 35
2. 어미류 = 39
2.3 구결문과 언해문의 관계 = 41
제3장 문법형태와 구결문 = 49
3.1 처격조사 '-애/에' = 49
3.2 속격조사 '-애/의' = 56
3.3 존경법 선어말어미 '-시-' = 68
3.4 선어말어미 '-오/우-' = 84
제4장 통사구조와 구결문 = 99
4.1 명사구 = 99
4.2 계사구문 = 116
4.3 이중대격구문 = 134
4.4 인용문 = 148
1. 주석문의 인용문 = 148
2. '닐온' 구문과 '닐오대' 구문 = 167
제5장 직역문헌의 특성 = 187
5.1 한자어의 사용 = 187
5.2 동명사 표현 = 191
5.3 중첩 표현 = 202
5.4 구문 파악의 경향 = 206
5.5 그 밖의 특징 = 212
1. '-어 잇-'과 '-엣-' = 212
2. '-어'와 '-히' = 213
3. 문장의 접속 = 215
제6장 결론 = 219
참고문헌 = 227
찾아보기 = 23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