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이론
제1장 아동 및 청소년 상담의 발달적 기초 = 3
도입 = 3
아동, 청소년 상담의 기초가 되는 가정들 = 4
발달적으로 적절한 개입 = 6
아동상담과 가족상담에서 특별히 고려할 점 = 20
치료적 반응 = 22
토론을 위한 질문들 = 26
제2장 가족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27
도입 = 27
가족발달 단계들...
목차 전체
제1부 이론
제1장 아동 및 청소년 상담의 발달적 기초 = 3
도입 = 3
아동, 청소년 상담의 기초가 되는 가정들 = 4
발달적으로 적절한 개입 = 6
아동상담과 가족상담에서 특별히 고려할 점 = 20
치료적 반응 = 22
토론을 위한 질문들 = 26
제2장 가족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27
도입 = 27
가족발달 단계들 = 28
가족의 지속적인 참여 = 28
가족상담에서의 상담자 역할 = 29
가족구조와 기능 = 29
가족중심적 개입 = 30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신념체계 = 31
다문화적 요인들 = 32
문화적 맥락에서의 상담적 접근 = 36
가족역동 = 44
회복력에서의 개인차 = 45
이혼 = 46
죽음 = 49
정신적 외상 = 50
긍정적인 생활사건들 = 53
토론을 위한 질문들 = 53
제3장 이론의 실제 적용 = 55
도입 = 55
도움이 되는 치료적 관점 = 56
발달이론 적용하기 = 66
발달적으로 적절한 진단 및 평가도구 판단하기 = 69
감별진단 = 73
약물치료 = 78
보고서 쓰기 = 81
토론을 위한 질문들 = 85
제2부 적용
제4장 상담의 초기단계 = 89
도입 = 89
어린 내담자와의 면담시작 = 89
효과적인 탐색방법: 사례 개념화를 향한 작업 = 90
말이 적은 내담자와 라포형성을 위한 비 언어적 기법 = 91
가족 상담에서의 비밀보장 = 93
아동, 청소년과의 라포형성 = 94
발달적 측면에 대한 고려 = 99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진단적 고려 사항 = 102
아동, 청소년 상담을 위한 BEACON 접근 방법 = 104
초기회기를 위한 절차들 = 110
청소년 내담자와의 상담절차 = 111
아동상담에서의 비지시적 접근과 비언어적 행동 = 113
내담자에 대한 상담 외적인 압력들 = 114
토론을 위한 질문들 = 115
제5장 상담의 작업단계 = 11
도입 = 117
상담동기와 관심 = 118
작업동맹 = 119
보다 깊은 수준으로의 이행 = 120
상담관계를 위한 도전 = 126
내담자와 가족의 강점을 위한 활동 = 130
변화에 도움이 되는 상담에서의 작업 = 131
창작기법들 = 133
회기 중 인지적-행동적 치료작업 = 136
가족치료 = 137
단기상담 = 140
집단들 = 141
역전이 점검 = 143
작업단계에서의 도전과제들 = 143
장난감과 도구들 = 146
기법들 = 149
다학문적 접근들 = 156
효과적인 개입요인들 = 157
토론을 위한 질문들 = 158
제6장 종결단계 = 161
도입 = 161
상담의 종결단계: 상담이 끝날 때를 알기 = 162
조기 종결과 관련된 요인 = 163
종결 시의 증상재발 = 164
상담성과 검토하기 = 165
아동, 청소년과 부모 간의 균형 맞추기 = 166
상담현장에 따른 종결 = 166
의외 = 168
종결계획 = 169
조기 종결 = 171
윤리적인 고려 사항 = 176
토론을 위한 질문들 = 176
제3부 특수문제와 장애들
제7장 기분장애 = 179
도입 = 179
우울 = 180
불안 = 188
불안장애의 세부특징 = 191
불안장애의 사담 = 195
인지치료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197
양극성 장애 = 197
자살 = 200
토론을 위한 질문들 = 207
제8장 외현화장애 209
도입 = 209
공격성 = 209
반사회적 행동 = 2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213
적대적 반항장애 = 217
기여요소들 = 218
약물남용 = 218
약물남용 = 219
외현화장애의 공통특질 = 221
토론을 위한 질문들 = 221
제9장 발달장애 = 223
도입 = 223
아스퍼거장애와 자폐 = 223
아동의 경계선 인격장애 = 230
섭식장애 = 233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 = 234
토론을 위한 질문들 = 242
제10장 아동과 청소년이 경험하는 심리, 사회적 문제들 = 245
도입 = 245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요인 = 245
학교에서의 경험 = 246
데이트 = 252
섭식장애 = 255
토론을 위한 장애= 256
제4부 전문성과 관련된 주제들
제11장 상담관계에서의 윤리와 편견 = 259
도입 = 259
상담과 다문화적 접근 = 259
상담자의 편견 = 264
역전이 반응들 = 268
상담자의 개인력이 상담에 미치는 영향 = 269
상담에서의 신체적 접촉 = 273
상담자를 어렵게 하는 문제들 = 274
상담자의 윤리 = 276
상담의 실제와 전문성 = 282
다른 전문가에게 의뢰하거나 슈퍼비전이 필요한 역전이 반응들 = 283
가족치료를 할 �� 알아두어야 할 윤리적 문제들 = 284
신고와 관련된 어려움 = 285
결론 = 286
토론을 위한 질문들 = 286
제12장 상담자와 전문성과 관련된 쟁점들 = 287
도입 = 287
고려해야 할 상담환경 요인들 = 288
학교상담 = 289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 293
입원과 낮 치료 프로그램 = 283
사설 상담실 = 294
가정방문서비스 = 295
집단치료센터 = 296
상담장면 선택 시 고려사항 = 296
전문성의 발달 = 297
기타 윤리적인 문제들 = 302
토론을 위한 질문들 = 305
참고문헌 = 307
찾아보기 = 35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