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CHAPTER 01 기상ㆍ지형과 군사활동
제1절 기상ㆍ지형과 군사작전 = 1
1. 자연환경과 인간활동 = 1
2. 기상ㆍ지형의 중요성 = 3
3. 기상ㆍ지형의 이용 = 4
제2절 기상 및 지형정보 분석 = 5
1. 전장정보분석 = 5
2. 기상분석 = 6
3. 지형분석 = 8
CHAPTER 02 대기의 에너지...
목차 전체
목차
CHAPTER 01 기상ㆍ지형과 군사활동
제1절 기상ㆍ지형과 군사작전 = 1
1. 자연환경과 인간활동 = 1
2. 기상ㆍ지형의 중요성 = 3
3. 기상ㆍ지형의 이용 = 4
제2절 기상 및 지형정보 분석 = 5
1. 전장정보분석 = 5
2. 기상분석 = 6
3. 지형분석 = 8
CHAPTER 02 대기의 에너지
제1절 대기의 열수지 = 13
1. 대기의 조성과 수직구조 = 13
2. 지구복사와 태양복사 = 20
제2절 단열 변화 = 25
1. 대기 중의 물 = 25
2. 단열과정 = 27
3. 기온감률 = 32
4. 단열도 = 34
5. 대기의 안정도 = 38
CHAPTER 03 기상의 변화
제1절 구름과 강수 = 45
1. 응결과정 = 45
2. 강수과정 = 47
3. 인공강우 = 52
제2절 구름과 안개 = 55
1. 구름의 생성 = 55
2. 구름의 종류 = 60
3. 안개 = 50
제3절 기단과 전선 = 64
1. 기단 = 64
2. 전선 = 68
제4절 저기압과 고기압 = 71
1. 저기압 = 71
2. 고기압 = 73
제5절 국지 기상 = 75
1. 태풍 = 75
2. 토네이도 = 78
CHAPTER 04 대기의 운동
제1절 바람 = 81
1. 바람에 작용하는 힘 = 81
2. 바람의 형태 = 85
제2절 국지풍 = 89
1. 육풍과 해풍 = 89
2. 산풍과 곡풍 = 90
3. 푄과 높새바람 = 91
제3절 대기의 순환 = 92
1. 대기의 대순환 = 92
2. 대규모 바람 = 99
제4절 엘니뇨와 라니냐 = 104
1. 개요 = 104
2. 적도 태평양에서 바람과 해류의 순환 = 105
3. 엘니뇨 = 106
4. 라니냐(La Ni<TEX>$$\check n$$</TEX>a) = 107
5. ENSO = 109
제5절 기후 변화 = 110
1. 개요 = 110
2. 최근 기온 상승의 원인 = 111
3. 기후 변화의 영향 = 112
CHAPTER 05 기상 관측과 예보
제1절 관측 설비 및 절차 = 113
1. 관측 설비 = 113
2. 관측 절차 = 115
제2절 기상요소 관측 = 116
1. 기압 관측 = 116
2. 기온 관측 = 119
3. 습도 관측 = 121
4. 강수량 관측 = 123
5. 바람 관측 = 124
6. 기타 기상요소의 관측 = 127
제3절 우리나라의 계절별 일기도 = 130
1. 일기도의 기호 = 130
2. 계절별 일기도 = 132
제4절 수치예보 = 134
1. 개요 = 134
2. 원리 = 135
3. 과정 = 135
4. 우리나라의 수치예보 = 136
CHAPTER 06 악천후 기상
제1절 산악 기상 = 139
1. 산지 대기의 구분 = 139
2. 산악 기상요소 = 140
3. 소백산의 산악 기상 = 146
4. 산간곡지의 기상특성 = 150
제2절 악천후 기상과 군사작전 = 154
1. 기온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154
2. 장진호전투와 산악 기상 = 162
CHAPTER 07 지구 구성물질과 변화
제1절 지구 구성물질 = 165
1. 지질시대의 구분 = 165
2. 광물 = 168
3. 암석 = 173
제2절 판구조론 = 180
1. 대륙표이설 = 180
2. 해저확장설 = 183
3. 판구조론 = 184
4. 지진과 화산 = 187
제3절 지질구조 = 195
1. 단층과 단층선 = 195
2. 습곡과 절리 = 197
제4절 토양 = 200
1. 정의 및 생성인자 = 200
2. 토양 단면 = 202
3. 토양의 특성 = 203
CHAPTER 08 한반도의 산지지형
제1절 한반도의 지질과 조산운동 = 207
1. 지질 = 207
2. 조산운동 = 211
제2절 한국 지형의 특색 = 212
1. 경동지괴의 지형 = 212
2. 탁월한 침식지형 = 214
3. 화강암 지형 = 215
4. 추가령곡을 중심으로 대비되는 지형ㆍ지질 형태 = 217
5. 지질구조선과 산맥의 방향성 = 219
제3절 산지지형과 군사문제 = 220
1. 산사태 = 220
2. 산지지형이 군사작전에 미치는 영향 = 227
제4절 화산지형 = 230
1. 한라산 = 230
2. 울릉도와 독도 = 232
CHAPTER 09 하천지형
제1절 하천의 형태와 작용 = 235
1. 하천의 형태 = 235
2. 하천의 작용 = 238
제2절 주요 하천지형 = 248
1. 하천 퇴적지형 = 248
2. 평야지형 = 254
제3절 하천지형과 군사작전 = 258
1. 하천정보 = 258
2. 하천지형과 군사작전 = 265
CHAPTER 10 해안지형
제1절 해안지형의 형태와 형성작용 = 269
1. 해안지형의 형태 = 269
2. 해안지형의 형성작용 = 270
제2절 해안지형의 종류 = 273
1. 해안침식지형 = 273
2. 해안퇴적지형 = 278
제3절 주요 해안지형 = 282
1. 우리나라 해안의 일반적인 특징 = 282
2. 파식대 = 285
3. 서해안의 간석지 = 286
제4절 조석과 그의 이용 = 287
1. 조석에 의한 해수면 변화 = 287
2. 기조력 = 294
CHAPTER 11 북한지형
제1절 영역과 행정 = 297
1. 위치와 영역 = 297
2. 행정구역 = 298
3. 지역구분 = 300
4. 지체구조 = 302
제2절 산지ㆍ평야지형 = 303
1. 산지지형 = 303
2. 평야지형 = 315
제3절 북한의 하천 및 해안지형 = 316
1. 하천지형 = 315
2. 해안지형 = 317
제4절 북한지형과 군사작전 = 319
1. 확대된 동ㆍ서 정면과 지형적 분리 = 319
2. 험준한 산지지형과 혹한의 기상 = 321
3. 중요한 평지ㆍ해안지형 = 322
CHAPTER 12 중력과 측지
제1절 회전타원체 = 323
1. 지구의 크기와 형상 = 323
2. 타원체 = 324
3. 표준타원체 = 325
제2절 중력 = 326
1. 중력 = 326
2. 표준중력 = 328
3. 중력의 측정 = 328
4. 중력 보정 = 329
5. 지각평형설 = 331
제3절 중력퍼텐셜과 지오이드 = 334
1. 중력퍼텐셜 = 334
2. 지오이드 = 335
제4절 WGS84 측지체계 = 336
1. Bessel 타원체와 GRS 타원체 = 337
2. WGS84 타원체 = 338
3. WGS84 중력모델(Earth Gravity Mode; EGM) = 339
4. WGS84 지오이드 = 341
5. WGS84의 좌표변환법 = 342
CHAPTER 13 지형분석기법
제1절 지도 = 347
1. 투영법 = 348
2. 좌표체계 = 352
제2절 항공사진 = 357
1. 카메라와 필름 = 357
2. 항공사진의 특성 = 358
3. 항공사진 판독 = 361
제3절 원격탐사 = 365
1. 원격탐사의 개념과 원리 = 365
2. 위성영상의 처리와 보정 = 374
3. 영상의 종류와 정보 = 378
4. 원격탐사기술과 그 활용 = 389
제4절 GPS와 GIS = 395
1. GPS = 395
2. 지리정보체계(GIS) = 400
찾아보기 = 40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