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Ⅰ. 무용적 음악론
1. 음악이란 무엇인가 = 13
1) 장미와 장미꽃 = 13
2) 무용가는 음악을 듣지 않는다? = 16
3) 무용의 문법 혹은 호흡 = 17
2. 음악과 무 음악 = 20
1) 무 음악의 음악 = 20
2) 음악과 음향 = 23
3) 보면서 느끼는 음악 = 26
3. 무용에 작용하는 음악 요소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Ⅰ. 무용적 음악론
1. 음악이란 무엇인가 = 13
1) 장미와 장미꽃 = 13
2) 무용가는 음악을 듣지 않는다? = 16
3) 무용의 문법 혹은 호흡 = 17
2. 음악과 무 음악 = 20
1) 무 음악의 음악 = 20
2) 음악과 음향 = 23
3) 보면서 느끼는 음악 = 26
3. 무용에 작용하는 음악 요소 = 27
1) 형태적 요소 = 28
2) 비 형태적 요소 = 30
3) 이중적 요소 = 31
4. 리듬과 템포 = 32
1) 리듬 = 32
2) 템포 = 42
3) 리듬과 템포 사이 = 46
Ⅱ. 음악적 무용론
1. 무용이란 무엇인가? = 51
1) 음악의 형상화 = 51
2) 음악 지우개 = 52
3) 불필요한 노동 = 53
2. 새로운 어휘 = 56
1) 액팅 아티큘레이션 = 56
2) 바디 비팅 = 64
3) 액팅 인토네이션 = 73
3. 미적 분석의 패러미터들 = 75
1) 정체성과 독창성 = 75
2) 통일성과 다양성 = 76
3) 전개 원리와 형식성 = 76
4) 기량의 문제 = 77
4. 안무의 영역 = 78
1) 어휘와 문법의 확대 = 78
2) 기존 재료 개념의 확대 = 83
3) 기보의 문제 = 85
4) 남겨두는 해석의 여지 = 90
5. 재능의 문제 = 92
1) 재능과 성취 = 92
2) 음악성과 무용 = 94
3) 무용성의 개념 = 97
Ⅲ. 무용과 음악의 인터커뮤니케이션
1. 공통적 관심 영역의 문제 = 101
1) 미적 판단의 문제 = 101
2) 공통 문법의 문제 = 102
3) 기록의 문제 = 103
2. 해석의 관점에서 본 무용과 음악의 비교 = 106
1) 상대 원리의 비교 = 107
2) 동일 기준의 비교 = 108
3. 차별성의 극복 = 110
1) 상이한 장르의 조화 = 110
2) 통합 교육의 방법 모색 = 112
Ⅳ. 안무를 위한 음악작품 감상과 분석
1. 감상의 단계 = 118
1) 배경적 청취 = 118
2) 감상적 청취 = 119
3) 분석적 청취 = 121
2. 분석의 방법 = 123
1) 스타일 분석 = 123
2) 텍스츄어 분석 = 126
3) 정서 분석 = 130
3. 감상 및 분석의 예 : 생상의 사육제 중 '백조' = 132
Ⅴ. 음악 소품의 활용
1. 인체 음향 = 141
2. 비 인체 음향 = 142
3. 악기 소품 = 144
Ⅵ. 리듬의 훈련
1. 마디 안 리듬 = 150
1) 2박자 = 151
2) 3박자 = 152
3) 4박자 = 153
2. 마디 바깥 리듬 = 154
1) 기본 박자의 프레이즈 = 155
2) 임의의 악센트가 있는 프레이즈 = 155
3) 당김음이 있는 프레이즈 = 156
3. 복합 리듬 = 157
1) 복합박자의 분할 = 157
2) 분할박자의 통합 = 157
4. 리듬의 변주 = 158
1) 액티비티 변주 = 158
2) 액센트 변주 = 159
3) 박자의 변주 = 160
부록 : 무용관련 음악용어 해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