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강동묵 [외]공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 강동묵 [외]공저
개인저자강동묵.
고상백.
김성아.
김수영.
김용진.
박정선.
성지동.
우종민.
장세진.
정진주.
정혜선.
조성일.
조정진.
채정호.
최봉규.
최수찬.
하미나.
발행사항서울 : 고려의학, 2005
형태사항316 p. : 삽화 ; 26 cm
ISBN8970434607
일반주기공저자 : 고상백, 김성아, 김수영, 김용진, 박정선, 성지동, 우종민, 장세진, 정진주, 정혜선, 조성일, 조정진, 채정호, 최봉규, 최수찬, 하미나
색인 : p.313-316
서지주기참고문헌수록
분류기호616.98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876029 616.98 직무스 강 c2 보존서고B2 B201-1-1 대출가능
2 876028 616.98 직무스 강 보존서고B3 B350-5-7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제1장 개론
 Ⅰ. 스트레스의 정의 및 스트레스 유형
  1. 스트레스의 정의 = 9
  2. 스트레스 유형 = 12
 Ⅱ.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및 직무스트레스 요인
  1.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 13
  2. 업무와 관련된 주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요인들 = 14
 Ⅲ. 국내ㆍ외 직무스트레스 현황 및 스트레스 대책 동향
  1. 국내ㆍ외 직무스트레스...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개론
 Ⅰ. 스트레스의 정의 및 스트레스 유형
  1. 스트레스의 정의 = 9
  2. 스트레스 유형 = 12
 Ⅱ.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및 직무스트레스 요인
  1.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 13
  2. 업무와 관련된 주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요인들 = 14
 Ⅲ. 국내ㆍ외 직무스트레스 현황 및 스트레스 대책 동향
  1. 국내ㆍ외 직무스트레스 현황 = 15
  2. 스트레스 대책에 관한 국제 동향 = 17
  참고문헌 = 20
제2장 직무스트레스의 이론과 평가
 Ⅰ. 직무스트레스의 이론적 고찰
  1. 역사적 개관 = 23
  2. 스트레스의 원인과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들 = 26
  3. 스트레스 반응의 구성요소들 = 33
 Ⅱ. 직무스트레스의 설명모형
  1. 카라섹 직업성 긴장 모형(Demand-Control Model) = 40
  2. 노력-보상 불균형 모형 = 59
  3. NIOSH의 통합 모델 = 68
 Ⅲ. 직무스트레스 중재요인
  1. 머리말 = 80
  2. 사회심리적 중재요인 = 81
  3. 맺음말 = 93
  참고문헌 = 94
제3장 스트레스와 생물학적 지표
 Ⅰ. 서론
 Ⅱ. 신경내분비계 지표
  1. 카테콜아민 = 115
  2. 코르티졸과 ACTH = 115
  3. 도파민 = 116
  4. 세로토닌 = 116
  5. 기타 = 117
 Ⅲ. 면역지표
  1. 면역 평가방법 = 119
  2. 스트레스 평가방법 = 119
  3. 만성적 스트레스와 면역 연구의 평가와 전망 = 120
 Ⅳ. 심혈관계의 생물학적 지표
  1. 고혈압 = 121
  2. 호모시스테인 = 122
  3. 죽상경화 형성 및 혈액응고인자 = 123
  4. 심박동수 변이 = 124
  참고문헌 = 128
제4장 직무스트레스와 건강
 Ⅰ. 심혈관계 질환
  1. 서론 = 135
  2. 심혈관질환에 대한 스트레스의 병태 생리적 기전 = 137
  3. 근거를 통해 살펴본 스트레스와 심혈관계 질환의 관계 = 139
 Ⅱ. 근육골격계질환
  1. 근육골격계질환의 정의 = 146
  2. 근육골격계질환의 원인 = 146
  3. 근육골격계질환과 사회심리적 요인의 관계 = 147
  4. 사회심리적 요인과 근육골격계질환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 150
  5. 방법론적 문제 = 153
  6. 근육골격계 질환의 관리와 중재 = 154
 Ⅲ.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1. 서론 = 156
  2. 정신건강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병태 생리적 기전 = 158
  3. 근거를 통해 살펴본 직무스트레스와 정신질환 = 162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170
  5. 결론 = 175
  참고문헌 = 176
제5장 직무스트레스의 관리
 Ⅰ. 서론
 Ⅱ. 직무스트레스 관리의 조직적 접근
  1. 직무스트레스관리의 조직적 접근에 대한 일반적 이해 = 195
  2.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s) = 206
 Ⅲ. 직무스트레스 관리의 개인적 접근
  1. 대처전략에 초점을 맞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 220
  2. 구체적 스트레스 관리 훈련 기법 = 222
  3. 관리 프로그램의 구성 = 224
  4. 스트레스 관리 훈련의 효과 = 225
  5. 스트레스 관리 방법 적용시 유의사항 = 227
 Ⅳ. 직무스트레스의 법적 관리 및 보상
  1. 직무스트레스 예방 = 229
  2.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업무상 질병 보상 = 232
 부록
  1. 관리 관련 법규 = 248
  2. 보상관련 법규 = 249
제6장 연구현황 및 과제
 Ⅰ. 서론
 Ⅱ. 국내 연구현황
  1. 초기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전개 = 255
  2. 연구의 본격화 :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표준화 연구의 발전과정 = 256
  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내용 = 258
 Ⅲ. 국제연구동향
  1. 노동의 사회심리적 환경요인에 대한 이론적 틀 = 261
  2. 직무스트레스 연구방법 = 262
  3. 국가차원의 직무스트레스 가이드라인 = 264
 Ⅳ. 향후 연구과제
  1. 건강영향 평가 및 임상적 지표 개발과 발전 = 265
  2. 작업환경 및 사업장 평가와 관리 = 267
  3. 다양한 평가도구의 개발 = 271
  4. 노동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건강장해에 대한 책자와 가이드라인 제시 = 271
  5. 직무스트레스와 '정치' = 272
  6.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의료ㆍ사회적 비용 추계 = 273
  7. 근육골격계 질환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성 확인과 대안마련 = 273
  8. 가정과 직장 양립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 273
  9. 직무스트레스 연구인력 인프라 구축과 교육과정 구축 = 273
 Ⅴ. 결론
  참고문헌 = 274
〈부록〉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들
 Ⅰ.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1.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배경 = 279
  2. 한국인 직무스트레스를 구성하는 영역에 대한 정의 = 279
  3. 일반적 안내 = 280
  4. 직무스트레스 점수 산출 및 평가방법 = 281
  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참고치 = 283
 Ⅱ. 한국어판 직무내용설문(45 추천문항)[JCQ-K(45q), 2004]
 Ⅲ. 한국어판 노력-보상 설문지(ERI-K, 2004)
 Ⅳ. 한국어판 NIOSH 직무스트레스 설문지
찾아보기(국문) = 313
찾아보기(영문) = 313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