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와인의 개요
제1절 와인의 역사 = 13
1. 와인의 기원 = 13
2. 와인의 이해 = 14
제2절 와인의 발전 = 16
1. 유럽의 와인 = 16
1) 고대 이집트의 와인 = 16
2) 고대 그리스의 와인 = 16
3) 고대 로마의 와인 = 16
4) 중세 이후의 와인 = 17
2. 우리 나라의 와인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와인의 개요
제1절 와인의 역사 = 13
1. 와인의 기원 = 13
2. 와인의 이해 = 14
제2절 와인의 발전 = 16
1. 유럽의 와인 = 16
1) 고대 이집트의 와인 = 16
2) 고대 그리스의 와인 = 16
3) 고대 로마의 와인 = 16
4) 중세 이후의 와인 = 17
2. 우리 나라의 와인 = 18
제2장 포도재배 및 포도품종
제1절 테루아르 = 21
1. 토질 = 21
2. 포도품종 = 23
3. 지형 = 23
4. 재배법 = 24
5. 기상조건 = 24
6. 양조기법 = 25
제2절 와인원료포도 = 25
1. 포도와 와인 = 25
2. 포도의 구조 = 26
3. 탄닌성분 = 27
제3절 포도의 품종 = 28
1. 품종구분 = 28
1) 유럽종 = 28
2) 미국종 = 28
3) 아시아종 = 29
2. 주요 포도품종별 특징 = 29
1) 레드 와인용 주요품종 = 29
2) 화이트 와인용 주요품종 = 33
제4절 포도의 재배 = 35
1. 재배적정지대 = 35
1) 기온조건 = 35
2) 일조조건 = 36
3) 수분조건 = 36
4) 토양조건 = 36
2. 포도생장주기 = 37
1) 휴지기 = 37
2) 포도나무의 기상 = 37
3) 새싹 = 38
4) 포도 봉오리 및 개화 = 38
5) 포도의 성숙 = 39
6) 포도수확 = 40
3. 와인과 수령의 관계 = 41
제3장 와인의 양조
제1절 와인양조의 기본원리 = 43
제2절 와인양조 준비과정 = 43
1. 레드 와인의 양조 = 44
1) 파쇄 = 44
2) 주발효과정 = 45
3) 압착발효 = 45
4) 2차 발효 = 46
5) 정제 = 46
6) 숙성 = 46
7) 브렌딩 = 47
8) 병입과 병숙성 = 48
2. 화이트 와인의 양조 = 48
1) 파쇄와 압착 = 49
2) 정제 = 49
3) 발효 = 50
4) 2차 발효 = 50
5) 재여과 및 유황처리 = 51
6) 저장과 숙성 = 51
3. 로제 와인의 양조 = 51
1) 레드 와인과 유사한 방법 = 51
2) 화이트 와인과 유사한 방법 = 52
3)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의 혼합방법 = 52
4. 샴페인 제조과정 = 52
1) 착즙 = 53
2) 1차 발효 = 53
3) 퀴베 = 53
4) 병입 = 53
5) 2차 발효 = 54
6) 숙성 = 54
7) 리들링 = 54
8) 침전물 제거 = 55
9) 치장 = 56
제3절 와인의 숙성과 보존 = 56
1. 와인숙성의 의의 = 56
2. 오크통 숙성 = 57
3. 병숙성 = 58
4. 와인의 저장 및 보관 = 59
1) 와인의 보관요령 = 59
2) 와인저장고의 조건 = 59
제4절 와인의 분류 = 61
1. 색에 대한 분류 = 61
1) 레드 와인 = 61
2) 로제 와인 = 62
3) 화이트 와인 = 62
4) 옐로우 와인 = 63
2. 맛에 의한 분류 = 63
1) 단맛이 나는 와인 = 64
2) 단맛이 없는 와인 = 64
3) 단맛이 조금 있는 와인 = 64
3. 알콜첨가의 유무에 의한 분류 = 64
1) 강화주 = 64
2) 비강화주 = 65
4. 탄산가스의 유무에 의한 분류 = 65
1) 발포성 와인 = 65
2) 비발포성 와인 = 65
5. 용도에 의한 분류 = 65
1) 식전용 와인 = 65
2) 테이블 와인 = 66
3) 식후용 와인 = 66
6. 저장년도에 의한 분류 = 67
1) 영 와인 = 67
2) 에이지드 와인 = 67
3) 그레이트 와인 = 67
제5절 오크통과 코르크 = 68
1. 오크통 = 68
1) 오크통의 개요 = 68
2) 오크의 특징 = 68
3) 오크통의 제조과정 = 69
2. 코르크 = 74
제4장 국가별 와인산지
제1절 프랑스 와인 = 77
1. 프랑스 와인등급 = 79
1) AQC = 79
2) VDQS = 79
3) 뱅 드 빼이 = 80
4) 뱅 드 따블 = 81
2. 프랑스 와인생산지 = 81
1) 보르도 지방 = 81
2) 부르고뉴 지방 = 87
3) 꼬뜨 뒤 론 지방 = 91
4) 샹파뉴 지방 = 93
5) 알자스 지방 = 95
6) 발 드 르와르 계곡 지방 = 96
7) 꼬뜨 드 프로방스 지방 = 98
제2절 이탈리아 와인 = 100
1. 이탈리아 와인의 개요 = 100
2. 와인의 등급 = 100
1) DOCG = 101
2) DOC = 101
3) 비노 티피코 = 101
4) 비노 다 타보라 콘 인디카지오네 게로그라피카 = 101
5) 비노 다 타볼라 = 101
3. 와인의 주요생산지역 = 102
1) 삐에몬떼 지역 = 103
2) 베네토 = 104
3) 에밀리아 로마냐 = 104
4) 토스카나 = 104
5) 기타지역 = 106
제3절 독일 와인 = 108
1. 독일 와인의 개요 = 108
2. 독일 와인의 등급 = 109
1) 쿠엠피 바인 = 109
2) 쿠베아 바인 = 110
3) 란트바인 = 111
4) 타펠바인 = 111
3. 주요생산지역 = 112
1) 라인 지역 = 112
2) 모젤 지역 = 114
제4절 스페인 와인 = 115
1. 와인생산지역 = 115
1) 헤레스 지역 = 116
2) 리오하 지역 = 117
3) 카탈로니아 지역 = 118
4) 몬틸라 지역 = 118
2. 쉐리 와인의 양조 = 118
1) 팔마 = 119
2) 라야 = 119
3) 포로코르타도 = 119
3. 스페인 와인의 등급제도 = 119
1) DOC = 120
2) DO = 120
3) Vino de la Tierra = 120
제5절 포르투갈 와인 = 120
1. 포르투갈 와인의 개요 = 120
2. 포르투갈 와인의 생산지 = 121
1) 비뇨 베르드스 지역 = 121
2) 다웅 지역 = 122
3) 마데이라 지역 = 122
3. 포르투갈 포도품종 = 122
1) 또우리가 나시오날 = 123
2) 띤또 까웅 = 123
3) 띤따 로리즈 = 123
4) 띤띠 바로까 = 123
5) 또우리가 후란세사 = 123
6) 띤따 아마렐라 = 124
4. 포르투갈 와인의 종류 = 124
1) 포트 와인 = 124
2) 로제 와인 = 125
3) 마데이라 와인 = 125
5. 포트 와인의 분류 = 125
1) 화이트 포트 와인 = 126
2) 루비 포트 = 126
3) 타우니 포트 = 126
4) 에이지드 타우니 포트 = 126
5) 빈타지 포트 = 127
6) 싱글 퀸따 포트 = 127
7) LBV 포트 = 127
6. 포르투갈 와인의 등급 = 127
1) DOC = 128
2) IRP = 128
제6절 미국와인 = 128
1. 기후와 지리적 배경 = 129
2. 재배품종 = 129
3. 주요생산지 = 130
1) 캘리포니아 = 130
2) 뉴욕 = 132
3) 워싱턴 지역 = 132
4) 오리건 지역 = 132
4. 미국 와인의 관리 = 132
1) 지역명칭에 표기규정 = 133
2) 품종표기규정 = 133
3) 빈티지 표기에 대한 규정 = 134
제7절 칠레 와인 = 134
1. 칠레 와인의 개요 = 135
1) 칠레 와인의 기원 = 135
2) 지리와 기후조건 = 135
3) 칠레 와인의 특징 = 136
2. 주요생산지 = 137
3. 칠레 와인등급 = 137
제5장 와인 서비스
제1절 소믈리에 = 139
1. 소믈리에 유래 = 139
2. 소믈리에 역할 = 140
3. 소믈리에의 서비스 순서 = 141
제2절 와인 취급방법 = 142
1. 와인의 보관요령 = 143
2. 와인의 시음온도 = 144
1) 온도에 관한 조건 = 146
2) 산화에 관한 조건 = 146
3) 도구에 관한 문제 = 146
3. 와인 오프닝 방법 = 146
1) 테이블 위에서 오픈 = 148
2) 와인 쿨러 안에서 오픈 = 149
3) 샴페인 오픈방법 = 149
4. 와인 서비스의 절차 = 150
5. 와인 서비스시 주의사항 = 151
6. 와인 맛보기 = 152
1) 시각 테스트 = 152
2) 후각 테스트 = 153
3) 미각 테스트 = 154
7. 와인 테스팅의 일반절차 및 핵심 = 155
1) 와인 테스팅의 일반절차 = 155
2) 와인 테스팅의 핵심 = 156
제4절 와인과 요리의 조화 = 156
1. 코스별 음식과의 조화 = 158
1) 에피타이저와 와인 = 158
2) 수프와 와인 = 158
3) 생선과 와인 = 158
4) 육류요리와 와인 = 158
5) 샐러드와 와인 = 158
2. 음식별 와인과의 조화 = 159
1) 요리가 와인의 특징을 없애는 경우 = 159
2) 아주 짠 음식 = 159
3) 훈향이 강한 와인 = 159
4) 해산물요리 = 159
5) 육류요리 = 159
6) 후식과 와인 = 160
제5절 빈티지 = 160
제6절 와인과 건강 = 162
1. 와인의 의학적 효용 = 162
2. 건강한 음주방법 = 163
1) 적절한 음주량 = 163
2) 몸에 좋은 안주 = 164
3) 간장을 보호하는 음주법 = 164
4) 숙취해소 = 165
제7절 건배 에티켓 = 166
1. 건배의 유형 = 166
2. 공식 만찬의 건배 = 166
3. 비공식 만찬의 건배 = 167
제6장 와인 액세서리
제1절 디캔팅 = 169
1. 디캔팅의 의의 = 169
2. 디캔팅의 순서 = 170
제2절 와인 리스트 = 170
1. 와인 리스트의 의의 = 170
2. 와인 리스트의 역할 = 171
3. 와인 리스트 제작방법 = 172
제3절 와인 액세서리 = 173
1. 코르크 스크류 = 173
1) 코르크 플라이어스 = 173
2) 소믈리에 나이프 = 173
3) 캡슐 커터 = 174
4) T자형 스크류 = 174
5) 스크류 풀 = 174
6) 지그재그 = 174
7) 버틀러스 프랜드 = 175
8) 코르크 리무버 = 175
9) 레버 스크류 풀 = 175
2. 와인 버켓 = 176
3. 와인 바스켓 = 176
4. 와인 디캔터 = 176
5. 와인 글라스 = 177
1) 세리ㆍ포트 글라스 = 178
2) 화이트 와인 글라스 = 178
3) 레드 와인 글라스 = 178
4) 샴페인 글라스 = 179
제4절 와 인 병 = 179
1. 와인병의 기원 = 179
2. 와인병의 크기 = 180
3. 와인용기의 재질과 모양 = 180
제5절 와인라벨 = 181
1. 와인 라벨의 개요 = 181
2. 와인 라벨의 기재조항 = 181
1) 포도의 생산년도 = 182
2) 포도의 품종 = 182
3) 생산지역명 = 182
4) 와인제품명 = 182
5) 와인등급 = 183
6) 와인생산회사 = 183
7) 포도의 숙성도 = 183
8) 알콜도수와 용량 = 184
9) 기타 요구사항 = 184
3. 각국의 와인 라벨 = 184
부록 : 용어정리 = 18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