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펴내며 = 5
프롤로그를 대신하여 = 13
고구려의 역사, 과연 어느 나라의 역사인가? = 14
제1부 역사는 내 안에서 살아 숨쉰다 = 43
전쟁통에 사라진 큰형의 편지 - 단기 4283년 1월 1일 = 44
치유를 통해 완성되는 해방의 역사 - 식민지시대의 증언 = 53
해방 정국의 역사서를 다시 읽으며 - 다시 찾은 역사...
목차 전체
목차
책을 펴내며 = 5
프롤로그를 대신하여 = 13
고구려의 역사, 과연 어느 나라의 역사인가? = 14
제1부 역사는 내 안에서 살아 숨쉰다 = 43
전쟁통에 사라진 큰형의 편지 - 단기 4283년 1월 1일 = 44
치유를 통해 완성되는 해방의 역사 - 식민지시대의 증언 = 53
해방 정국의 역사서를 다시 읽으며 - 다시 찾은 역사 = 62
박제된 해방을 넘어 축제의 통일로 - 광복절 유감 = 71
역사의 상처가 키운 '작은 것' 콤플렉스 - '나'의 나라, '나'의 역사 = 80
대립의 역사에서 공존의 시대로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88
제2부 선인들의 삶에 오늘을 비추다 = 97
같은 뜻을 지녔으되 다른 길을 택한 두 벗 - 포은 정몽주와 삼봉 정도전 = 98
비정함과 통찰력의 경계에서 - 태종 이방원 = 106
세상이 아니라 자신을 바꾸려 한 사람 - 정암 조광조 = 115
젊은 지식인에게 띄우는 두 가지 가르침 - 퇴계 이황, 하나 = 128
결단으로 얻은 고요와 정일의 삶 - 퇴계 이황, 둘 = 136
스스로 경계하여 글을 짓다 - 율곡 이이 = 145
매력적인, 너무나 매력적인 영웅 - 충무공 이순신 = 154
제3부 또 다른 창으로 조선을 바라보다 = 175
한 나라의 건강성을 지키는 길 - 대간제도 = 176
조선다움을 주도한 인재들의 전당 - 집현전 = 185
조선을 바라보는 또 다른 창 - 과거제도 = 194
변화를 놓치면 평화가 깨진다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 203
예를 넘어서 정체성을 구하다 - 다시 보는 예송 논쟁 = 211
진정한 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 오백 년 양반사회의 유산 = 220
에필로그를 대신하여 = 231
'나'의 발견과 조선 건국사의 새로운 모색 = 232
부록 = 269
올바른 한·중관계 정립을 위한 한국사 관련 학회 공동 성명 = 27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